기후 응급상황, 기후비상사태가 디폴트값이 되는 시대가 이미 시작된 걸까?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국(CCCS)이 최근 발표한 지구평균온도 측정 결과, 기후 지체(climate lag) 현상에 관한 연구 결과 등은 ‘그렇다’는 답을 내놓고 있다. 기후환경 훼손의 심화로 지구상 거의 모든 생물과 사회적 약자들의 (잠재적) 취약함이 증대하고 있고 사회 재생산의 기반이 교란되고 있다. 이제는 기후 완화(온실가스 감축) 행동 못지않게 기후 회복력/돌봄 역량 강화가 ‘사회의 의무’로 등장했다. 저자들은 이러한 상황 인식하에 근미래의 위험 상황 속에서 요구될 전면적인(마음을 다한다는 의미에서 전면적인) 인간/비인간 돌봄을 ‘기후 돌봄’이라고 규정하고, 기후 돌봄 연대를 위해 우리 사회에 어떤 구체적 실천이, 왜 필요한지를 탐구했다.
기후 · 불평등 · 돌봄/재생산 위기라는 다중 위기가 돌봄을 중심 원리로 하는 사회경제 체제의 발명을 촉구하고 있다는 인식을, 저자들은 공유한다. 돌봄 혁명이야말로 이 위기를 타개할 유효한 방책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저자들이 조명한 것은 미래에 가능할 거시적 돌봄 혁명이 아니라, 오늘의 (한국) 현실에서 ‘활력의 소재지이자 피난처로서의 공동체’가 실행할 수 있는 조용한 돌봄 혁명이다. 인간 너머 비인간 존재도 새로운 친족/멤버로 초대하는 돌봄 공동체의 일상적 상호부조 혁명이 이들의 관심사이다.
Contents
1. 기후 돌봄 선언 우석영 외
2. 기후 회복력의 시대, 돌봄의 확장 신지혜
기후변화 대응에서 회복력과 돌봄의 의미
돌봄 대상의 확장―취약한 자 모두가 돌봄 대상이다
돌봄 공간의 확장―돌봄 관계자 간의 거리와 관계의 확장
돌봄 방식의 확장―취약성, 상호의존성에 대한 인지와 포용
회복력 시대의 돌봄, 기후 돌봄
3. 지역공동체에서 시작하는 기후 돌봄 한윤정
돌봄을 삶과 사회의 중심에 둔다는 것
기후 회복력 강화와 기후 돌봄
풀뿌리 민주주의, 지역공동체, 지역 기후 돌봄
기후돌봄공동체의 가능성―서울의 세 사례를 중심으로
난잡하게 관계 맺기―부정적 커먼즈에 주목하라
4. 인류세의 비인간 돌봄 우석영
인류세, 테크노스피어, 비인간 존재
친족의 확장―‘누구/무엇까지’라는 문제
비인간/인간에 대한 이해―‘왜’라는 문제
상품 친교와 상품 돌봄―새로운 욕망의 분화구
결론―돌봄 x 창작의 땅으로
5. 돌봄과 탈성장―땅과 공통하며 미래로 돌아가기 권범철
탈성장의 의미
탈주로서의 탈성장
구성으로서의 탈성장
도시를 시골화하기
미래로 돌아가기와 새로운 친족 만들기
6. 기후 돌봄의 정치, 로컬에서 실천하기 이재경
서론
인간과 비인간을 통합하는 기후 돌봄의 정치
기후 돌봄 정치의 진지로서의 지역
지역 기후 돌봄 정치, 그 구체적 대안
저감과 적응, 두 갈래 기후정치/정책의 병행
결론
7. 한살림 생명운동으로 본 생태적 돌봄 조미성
들어가며―생태적 돌봄
한국 생명 담론에서의 돌봄―모심과 살림
유기농업―땅과 생명을 돌보기
한살림 돌봄운동의 지향과 실천
지역사회 생태적 돌봄을 위한 한살림 돌봄운동의 과제
Author
신지혜,한윤정,우석영,권범철,이재경,조미성,우석영
환경교육 · 생태전환 연구자. 간학문적 상상을 즐기는 ‘몽상가’로서 지속가능발전, 생태도시, 환경커뮤니케이션, 바이오필리아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지방정부의 정책연구기관에서 일했고, 학교환경전문가로 교육행정을 담당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대학에서 <환경과인간>, <도시환경론> 등을 강의하며 다음 세대와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를 꿈꾸고 있다. 한신대 생태문명원(연구위원),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객원교수), 환경사회학회(이사)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모두를 위한 환경개념사전》(공저), 《지속가능한 사회와 환경》(공저) 등을 썼다.
환경교육 · 생태전환 연구자. 간학문적 상상을 즐기는 ‘몽상가’로서 지속가능발전, 생태도시, 환경커뮤니케이션, 바이오필리아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지방정부의 정책연구기관에서 일했고, 학교환경전문가로 교육행정을 담당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대학에서 <환경과인간>, <도시환경론> 등을 강의하며 다음 세대와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를 꿈꾸고 있다. 한신대 생태문명원(연구위원),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객원교수), 환경사회학회(이사)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모두를 위한 환경개념사전》(공저), 《지속가능한 사회와 환경》(공저) 등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