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년의 삶, 마음, 꿈’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21.8%는 한국 사회의 공정성에 대해 모든 영역이 불공정하다는 ‘전반적 부정 평가’를 내렸다. 또한, 국민일보가 글로벌리서치를 통해 조사한 여론조사 결과, MZ세대 3명 중 2명은 “한국 사회가 노력에 따른 공정한 대가를 제공하지 않는다”라고 했다. 이렇게 적지 않은 사람들이 공정성이 무너졌다고 느끼는 사회에서는 진보와 혁신이 더디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책에서는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청년들이 ‘공정’ 담론에 관해 분석하고, 본인들의 경험을 풀어간다.
1부의 글들은 2022년 1월 고려대학교 정치연구소가 〈불안(Insecurity): 청년세대가 바라본 한국 사회〉라는 주제로 진행한 에세이 공모전의 결과물이다. 청년들 스스로 자신들이 살아가는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자는 취지에서 공모전이 기획되었고, 다양한 내용의 글들이 투고되었다. 심사자들에게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네 편의 글들이 1부에 실렸고, 모두 ‘공정’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2부의 글들은 저자들 각각의 개인적인 경험, 고민, 관심사 등을 담은 글들이지만, 사회과학적인 문제의식을 담아 전개된다. ‘정치적인 반오십의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네 편의 글들을 묶었다. ‘청년’과 ‘공정’에 관해 세상의 일부분을 이야기했을 뿐이지만,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의 마음에 와닿는 이 이야기들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공정이란 무엇인지 살펴보자.
Contents
머리말 - 4
1부. ‘공정’들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엄준희) - 12
20대 남자는 정말 능력주의를 지지하는가?(김민준) - 45
누구를 위한 공정인가? : ‘진정한 능력주의’의 허상(김소영) - 67
이분법적 젠더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세대의 불안 : 내러티브 기법을 활용해 들여다본 청년들의 설움(조성빈) - 87
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하고 2022년에 수료했다. 학보사 기자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취업준비생이다. 이 나이대 즈음 누구나 그렇듯 한껏 불안해하고 있다. 책에 실린 에세이의 주제 의식은 이런 일상의 반영이다. 정치와 영화를 경유한 두 편의 글이 분열과 공존을 이야기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하고 2022년에 수료했다. 학보사 기자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취업준비생이다. 이 나이대 즈음 누구나 그렇듯 한껏 불안해하고 있다. 책에 실린 에세이의 주제 의식은 이런 일상의 반영이다. 정치와 영화를 경유한 두 편의 글이 분열과 공존을 이야기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