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아빠란 뭘까?
아이에게 늘 최고의 아빠가 되어주려고 하지만
사실은 아빠도 아프고, 아빠도 힘들고, 아빠도 슬프다.
한국정신건강상담사협의회 회장 조영진 교수가
우리 시대 아빠들에게 전하는 위로와 관계 회복 솔루션
사랑이 상처가 되는 아빠와 아이를 위하여
세상에 엄마 이야기는 많지만 아빠 이야기는 드물다. 어머니라고 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거의 반사적으로 따뜻함이나 무조건적인 사랑을 떠올리는 것과는 달리, 아버지에 대해서는 뭔가 복잡한 감정에 휩싸이는 경우가 많다.
“고마운데, 솔직히 상처받은 적이 많지.” 아마 많은 사람들이 아빠에 대해 가지고 있는 마음을 요약한 말일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아버지란 가족을 책임지는 기둥이자 스승 같은 존재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아이가 태어나 아빠가 되면 ‘좋은 아빠’의 역할을 감당하고자 열심히 애쓴다. 그러나 누구에게나 오늘은 밟아본 적 없는 내일이고, 이건 아빠 역할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서울장신대 조영진 교수는 상담심리학자이자 특히 ‘아빠’의 마음에 주목하고 수많은 ‘아빠’들을 만나온 ‘아빠 마음 전문가’다.
“소위 ‘나쁜 아빠’들을 많이 만나보았습니다. 그런 아빠들을 만나 상담하면서 그들의 절망과 분노, 후회와 반성, 자신도 미처 깨닫지 못한 내면의 아픔과 말하지 못한 속마음을 들었지요. 그런데 그분들이 당장 느끼고 있는 고통의 저변에는 아이를 향한 커다란 사랑이 있었어요.”
신간 『아빠 반성문』은 조영진 교수가 세상 모든 아빠들에게 건네고 싶은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아빠’의 역할을 감당하고자 열심히 애써왔던, 그런데 그 애씀이 오히려 사랑하는 아이들에게 이런저런 상처와 아픔을 주는 결과를 마주하고 어찌할 바 모르고 있는 많은 아빠들에게 “좋은 아빠가 되려 너무 힘주지 마세요. 아이에게 필요한 건 좋은 아빠가 아니라 ‘그냥 아빠’입니다. 당신 자체로서 아이 옆에 있어주면 됩니다.”라는 메시지를 담았다. 책 제목이 ‘아빠 반성문’인 것은 자신을 돌아보고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진정한 변화가 시작된다는 뜻이다.
Contents
추천의 글
프롤로그
Part 1. 아빠도 슬프고 아프다
: 문제는 아빠라고? 세상 억울한 아빠들의 속마음 이야기
모든 게 내 책임은 아니다
어린 나와 마주하는 용기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함께하는 것
내 안의 버럭이 끌어안기
그렇게 딸이 아빠의 두려움이 되었다
노를 열심히 저어도 섬은 멀어져만 갈 때
싸움을 피하고 도망가기만 하는 아빠
마음속 사거리를 빙빙 도는 어린아이
Part 2. 그랬어야 했는데, 혹은 그러지 말았어야 했는데
: 처음이라 서툰 아빠의 솔직한 반성문
다 너를 위해서야
아이는 가르치지 않아도 배운다
내 아이를 위한 카르페 디엠
말하면 좀스러워지는 잡다한 감정의 상처들
그 말을 하지 못해서 다행이다
떼쓰는 아이와의 한판 전쟁
몸이 함께여야 하는데 마음만 함께
몰랐다, 그러나 모르면 안 되는 것이었다
Part 3. 좋은 아빠 말고 그냥 아빠면 충분합니다
: 이해와 사랑으로 완성하는 아빠 마음 테라피
그냥 자연스럽게 되는 일은 없다
아이를 행복하게 만드는 아빠의 자리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일을 하라
우리 아빠한테 이를 거야!
아이들은 이렇게도 하고 저렇게도 한다
아빠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
잊어줘서, 몰라줘서 정말 고맙다
에필로그
Author
조영진
아빠라는 존재 없이 자랐다. 그래서 오히려 더 많은 사랑을 받고 자란 것처럼, 그렇게 열심히 자신을 포장하여 관계를 맺고 삶을 살아왔다. 어머니와의 가난한 삶이 너무 당연해 공고로 진학해 기술자가 되는 것이 꿈이었지만, 중학교 3학년 때 색약판정을 받고 상고에 진학하였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다양한 직업을 경험한 후 10년이 지나서 대학의 문을 두드렸고, 이런저런 과정을 거쳐 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는 멋진 행운을 얻게 됐다.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한보듬아빠(싱글대디)로서의 삶의 경험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아빠 없이 자라 ‘아빠’가 연구 주제가 되었고, 그런 아빠들과의 상담 과정을 통해 오히려 자신이 아빠 역할에 많은 도움을 받은, 부족한 상담사이고 교수이다. 현재 경기도 광주에 있는 서울장신대에서 상담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회장, 한국정신건강상담사협의회 회장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아빠라는 존재 없이 자랐다. 그래서 오히려 더 많은 사랑을 받고 자란 것처럼, 그렇게 열심히 자신을 포장하여 관계를 맺고 삶을 살아왔다. 어머니와의 가난한 삶이 너무 당연해 공고로 진학해 기술자가 되는 것이 꿈이었지만, 중학교 3학년 때 색약판정을 받고 상고에 진학하였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다양한 직업을 경험한 후 10년이 지나서 대학의 문을 두드렸고, 이런저런 과정을 거쳐 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는 멋진 행운을 얻게 됐다.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한보듬아빠(싱글대디)로서의 삶의 경험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아빠 없이 자라 ‘아빠’가 연구 주제가 되었고, 그런 아빠들과의 상담 과정을 통해 오히려 자신이 아빠 역할에 많은 도움을 받은, 부족한 상담사이고 교수이다. 현재 경기도 광주에 있는 서울장신대에서 상담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회장, 한국정신건강상담사협의회 회장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