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산불은 계절을 가리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봄에 가장 많은 산불이 발생하지만 다른 계절이라고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기후변화 탓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평균 기온 상승과 가뭄은 산불의 발생과 확산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고 진화를 어렵게 한다. 또한 산불은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대기로 배출하며 지구온난화를 촉진한다. 기후변화가 산불의 연중화, 대형화를 촉진하고 산불은 다시 기후변화의 기폭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산불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면 산림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산림과학을 바탕으로 통합적 산불 관리를 실현해야 한다.
Contents
들어가는 글
1부 산불의 발생과 피해
1장 역사 속의 산불
1. 태초의 불 2. 산불 연대기 3. 한국의 산불
2장 산불의 정의와 종류
1. 산불 2. 산불의 종류 3. 산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3장 기후변화와 산불
1. 국내 산불 2. 국외 산불
4장. 산불의 영향과 피해
1. 자연생태계 2. 인간 3. 대형 산불 피해
2부 산불 피해 방지와 복원
1장 숲가꾸기와 산불 연료 관리
1. 숲가꾸기 2. 산불 연료 3. 산불 피해를 줄이는 숲가꾸기
4. 국내외 숲가꾸기 연구 동향
2장. 산불 진화와 관리 조직
1. 산불 진화 2. 산불 관리 조직
3장. 산불피해지 복원과 피해목 활용
1. 산림 훼손과 복원 2. 산불피해지 복원 3. 산불 피해목 활용
3부 산불의 과거와 현재, 미래
1장 산불과 소나무
1. 소나무의 과거, 현재, 미래 2. 산불 발생과 소나무
2장. 산불과 산림 정책
1. 산불 정책의 흐름 2. 산불 예방 정책 추진전략 3. 산불 대응·진화 정책 추진전략 4. 산불 정책이 발전 방향
3장. 산불 관리를 위한 제언
나가는 글 │ 미주 │ 참고문헌 │ 저자 소개
Author
이창배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교수
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중심으로 산림의 탄소흡수 기능 증진까지 탐구하는 산림생태학자.
서울대학교에서 산림자원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2013년 충남대학교에서 산림생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9년부터 국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분포 패턴과 제어 인자 그리고 생물다양성과 탄소 저장의 연계성을 파악하여 산림의 생물다양성과 탄소 흡수 기능을 동시에 증진시키기 위한 관리 기술 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목재수확이 산림의 생물다양성 및 다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 세계 주요 연구들을 정리하고, 생물다양성과 다기능성을 유지하는 목재수확 방법을 소개했다. 지속가능한 산림의 이용과 보전에 동시에 기여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여러 연구 내용을 기술하였다.
《우리 숲 큰 나무 시리즈》, 《해외 주요 조림 수종 가이드》 등 8편의 국내 단행본 출간에 참여하였으며, 생물다양성, 산림생태학, 바이오매스 분야에서 50여 편의 국내외 논문을 발표하였다.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교수
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중심으로 산림의 탄소흡수 기능 증진까지 탐구하는 산림생태학자.
서울대학교에서 산림자원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2013년 충남대학교에서 산림생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9년부터 국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분포 패턴과 제어 인자 그리고 생물다양성과 탄소 저장의 연계성을 파악하여 산림의 생물다양성과 탄소 흡수 기능을 동시에 증진시키기 위한 관리 기술 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목재수확이 산림의 생물다양성 및 다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 세계 주요 연구들을 정리하고, 생물다양성과 다기능성을 유지하는 목재수확 방법을 소개했다. 지속가능한 산림의 이용과 보전에 동시에 기여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여러 연구 내용을 기술하였다.
《우리 숲 큰 나무 시리즈》, 《해외 주요 조림 수종 가이드》 등 8편의 국내 단행본 출간에 참여하였으며, 생물다양성, 산림생태학, 바이오매스 분야에서 50여 편의 국내외 논문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