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혼과 헌법』은 저자의 2021년 7월 최종 인준된 “국제결혼제도에 관한 헌법적 연구”란 동국대일반대학원 공법학과 법학박사학위논문을 서적형식으로 교정·편집한 발간본이다.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책으로 엮기로 한 것은 논문 내용 자체가 국제결혼제도에 대한 문제를 헌법적 시각에서 개선방안을 찾는 연구이므로 국제결혼당사자와 국제결혼관련자, 다문화관련 전공자, 출입국업무를 보는 행정사, 변호사, 외국인 쉼터, 이주민센터 종사자 등이 조금이나마 더 이 논문의 존재를 알고 널리 읽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출판사를 통한 출판한 것이다. 『국제결혼과 헌법』이 국제결혼당사자의 침해받는 기본권과 인권을 보호하고, 국제결혼관련자들의 지식에 도움을 주는데 일조했으면 하는 기대가 있다.
특히 저자와 같은 행정사 동료들은 이 논문을 국제결혼중개관련 피해 민원작성, 국제혼인신고 행정대행, 결혼이민사증발급관련 업무, 출입국관련 민원, 이의신청이나 행정심판 등에 수준높은 이론적 자료로 활용하면 큰 효용성이 있을 것이다. 저자는 제1회 일반행정사시험에 합격하여 행정사란 직업을 현재까지 가지고 있다. 행정사의 주요 업무가 결혼이민비자 관련 출입국행정이었는데 몸소 경험했던 행정사실무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싶은 욕구에 동국대 일반대학원 공법학과에 진학하게 되었다. 1년여에 걸친 피눈물로 논문을 완성하고 박사논문통과후에 온몸이 고장난 듯 아팠지만 나름 법학도로 학문의 체계를 세웠다는데 자부심과 보람을 느꼈다.
지도교수님의 헌법학 거장으로서 통찰력 있는 지도와 가르침, 본심 3차를 거치면서 심사위원님들의 적치한 논문수정 지도가 아니었으면 박사학위논문의 통과는 만무했을 것이고 이 책의 발간 또한 불가능했으리라. 공법에 관한 학문적 성취를 통해 스승님들의 고마움에 보답하리라 다짐 해 본다.
Contents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국제결혼의 개관 7
제1절 국제결혼의 배경 7
Ⅰ. 국제결혼의 개념 7
Ⅱ. 국제결혼의 역사 8
1. 1990년대 이전의 국제결혼 9
2. 1990년대 국제결혼 10
3. 2000년대 국제결혼 10
4. 2010년대 국제결혼 11
5. 국제결혼중개업결혼 이외의 국제결혼 양상 13
Ⅲ. 국제결혼중개업결혼의 문제 14
1. 국제결혼중개업결혼 당사자의 혼인결정이유 14
2. 국제결혼중개업결혼의 배우자선택 양상 15
3. 매매혼적 국제결혼중개업결혼 16
Ⅳ. 국제결혼중개업제도의 필요성 19
1. 국가적 관점의 필요성 19
2. 개인적 관점의 필요성 20
제2절 국제결혼과 헌법상 기본권보장실현 23
Ⅰ. 의의 23
Ⅱ. 헌법 제36조 제1항 24
1. 개요 24
2. 법적 성질 25
3. 헌법 제36조 제1항과 제2항의 관계 29
Ⅲ. 헌법 제36조 제1항과 관련된 절대적 기본권 31
1. 헌법 제10조의 인간의 존엄성과 행복추구권 31
2. 헌법 제11조의 평등권 32
3. 헌법 제17조의 사생활의 자유 33
Ⅳ. 관련 헌법소원 사례 34
1. 사실관계 34
2. 헌법재판소의 판단 35
3. 평석 37
Ⅴ. 소결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