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과 한국문화

음과 양의 역동적 조화
$28.75
SKU
979119751881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2/31
Pages/Weight/Size 170*235*30mm
ISBN 9791197518812
Categories 인문 > 명리/주역/풍수
Description
이 책은 음과 양의 역동적 조화를 강조하는 역(易)은 동아시아의 시원적 사유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우리 한국문화에는 역의 사상과 문화가 풍부하게 남아있고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려 시대에 역동 우탁이 역을 연구한 이래로 양촌 권근?퇴계 이황?율곡 이이?우암 송시열?다산 정약용 등 조선의 대학자들은 주역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많은 연구를 해왔다. 학자들의 이론적 연구 이외에도 세종은 역학의 원리를 응용하여 한글을 창제하기도 하였다. 역학은 정치?종교?윤리?어문?의학?음악?예술?건축?천문?지리 등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었다.

우리 학계는 그간 역을 학문적 이론이나 사상 차원에서 많이 연구하였습니다. 이 책은 한국의 문화 전반으로 폭을 넓혀서 역과 한국문화의 관계에 대해서 탐구한 저술이다. 우리나라의 국기인 태극기에도 역학 사상이 들어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고, 우리 민족은 오래전부터 음과 양이 조화를 이루는 태극 문양을 향교의 정문을 비롯해 생활 곳곳에서 활용하였다. 현대에 와서도 청와대 영빈관 내부를 포함하여 많은 곳에서 태극 문양을 발견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 이제마는 역의 사상론(四象論)을 의학에 접목하여 독창적인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정립하였고, 한말에 일부 김항은 정역(正易)을 창조하여 신종교 사상가들에게 새로운 세상에 대한 희망을 주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우리 민족은 역을 수용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역을 새롭게 발전시키면서 한국문화를 풍부하고 다채롭게 가꾸어 왔다.

오늘날 세계는 기후변화와 정치적 경제적 양극화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만물의 역동적 변화와 균형, 음양의 조화와 상생을 강조하는 역의 문화와 정신을 회복하여 위기를 극복하는 단서를 찾아야 할 것이다. ‘오래된 미래’라는 말처럼 역의 역사는 유구하지만 오늘의 어두움을 이기고 빛을 되찾는 지혜로 재조명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Contents
간행사 / 3
서설: 주역과 한국문화 /장승구 / 7

제1부 기초이론과 담론의 확장가능성 /15

한국문화와 역易의 삼재론 17
한국사상사 연구방법론으로서 역易의 가능성 34
『주역』의 동문이역同文異譯-『주역언해』를 중심으로 58
십이소식괘十二消息卦에 대한 맹희와 정약용, 김승호의 비교연구 92
정역正易의 한국역철학적 의의 116

제2부 주역의 사회문화적 응용 /161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주역』 163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과거 천문역법 바이블과 현재 하늘 모습 188
제왕학의 구축에 있어서 이이李珥 ‘태극太極’개념의 역할 216
역과 한국전통의학-주요 의서醫書에 나타난 64괘를 중심으로 245
율곡의 ?의약책?에 담긴 의약醫藥과 대의大醫, 의국론醫國論 269

제3부 주역과 예술, 그리고 생활문화 /293

고구려 사신도四神圖에 나타난 고대인의 사생관 295
한국춤의 동작구조 324
『악학궤범』 악률론의 역학적 분석-황종黃鍾을 중심으로 345
『사소절士小節』의 문헌인용에 대한 고찰 368
한국 현대시와 『주역』의 만남 398
Author
한중철학회
1963년 서울 출생으로 중앙대 연극 영화과 졸업, 숭실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판테온-쏘르본느 파리 1대학(universite pantheon-sorbonne Paris1)조형예술 및 예술학(Arts plastiques &SC. Art)을 전공하였고 현재 한중철학회 섭외간사, 도서출판 어은 대표이사이다.
1963년 서울 출생으로 중앙대 연극 영화과 졸업, 숭실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판테온-쏘르본느 파리 1대학(universite pantheon-sorbonne Paris1)조형예술 및 예술학(Arts plastiques &SC. Art)을 전공하였고 현재 한중철학회 섭외간사, 도서출판 어은 대표이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