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의 간도 시찰 보고서

압록강·두만강 유역 『國境地方視察復命書』
$29.16
SKU
979119750046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6/28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91197500466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1914년 여름, 경술국치 이후 일제가 처음으로 압록강·두만강 일대의 간도를 조사한 보고서

『국경지방시찰복명서』는 조선 총독의 지시로 압록강·두만강 유역의 간도를 조사한 후, 1915년에 작성된 보고서이다. 재간도 조선인이 30만 명을 넘어서면서 중국 측과의 분쟁이 심화하자, 조선총독부는 간도 조사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일제가 1907년 8월 간도파출소를 설치하기 전에 여러 차례 간도를 조사한 바가 있지만, 이후 종합적인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조사반은 조선총독부 촉탁 3인, 일본육군 장교 6인 등 모두 9명으로 구성되었다. 조선총독부 試補 今村邦典(총독관방 총무국), 杉本良(총독관방 참사관실), 高武公美(내무부 지방국) 등과 육군 헌병 대위 太田淸松·長谷部巖·村井因憲 등이었다. 이들 외에도 일본군 참령(參領) 박두영(朴斗榮), 정위(正尉) 김태원(金泰元)·김형섭(金亨燮) 등도 참여하였다.

조사반은 1914년 8월 16일 서울에서 출발하여 약 2개월 동안 현지를 답사하고 그해 10월 23일 돌아왔다. 조사반은 요녕성(서간도)과 길림성(동간도) 두 팀으로 나눠 조사한 후, 1915년 『국경지방시찰복명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작성하여 조선 총독에게 제출하였다.

보고서는 ① 간도와 동변도 지역의 ‘지형적 조건’을 개괄한 후, ② 지방통치기구 ③ 인구의 구성과 변천 ④ 종교·교육·위생 등 소위 ‘사회문화시설’ 소개와 평가 ⑤ 토지·농업·임업·공업·상업 등의 산업 개황, ⑥ 금융·도량형·교통·통신 등의 인프라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정치, 행정, 인구 변천, 사회문화, 산업경제 등 지역조사의 정형적인 보고서인 만큼 1910년대 전반기 재간도 조선인의 생활상을 가장 생생하게 보여주는 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Contents
1. 편찬 경위와 조직 구성
2. 목차 구성 및 개요

서론
제1장 지세 및 범위
제2장 기후 기상
제3장 주민
제1절 주민 수(槪數)
제2절 주민의 종류
제3절 주민의 풍속

제1편 지방통치의 상태

제1장 일반지방행정
제1절 관치행정
제2절 지방자치행정
제3절 공공단체
제2장 사법
제3장 조세급공과
제4장 경비기관
제1절 군대
제2절 경찰
제5장 상부지 경영의 상황

제2편 종교·교육 및 위생

제1장 종교
제1절 중국인의 종교
제2절 이주한인의 종교
제2장 교육
제1절 중국인의 교육
제2절 한인의 교육
제3장 위생

제3편 산업

제1장 토지
제1절 토지 봉류 및 토지소유권 발생
제2절 토질
제2장 농업
제1절 耕地
제2절 소작제도
제3절 농작물
제3장 목축
제4장 임업
제5장 공업
제6장 광업
제7장 어업
제8장 상업
제1절 중요 수출입품
제2절 국경무역
제1관 국경세관
제2관 무역개황
제3관 통과무역 개황
제3절 중요상업지
제4절 商慣習 일반
제5절 압록강 방면 이주한인의 상업

제4편 금융

제1장 통화 및 신용증권
제2장 금융기관

제5편 도량형

제6편 교통 및 통신


제1장 육운
제2장 수운
제3장 통신

제7편 국경연선의 견문

제1장 압록강 연안지방의 중국인
제2장 압록강 연안의 국경계쟁문제 개황
제3장 도문강 연안 지방의 쌍방관계
제1절 양안의 교통
제2절 양안의 관계

제8편 이주한인의 개황

제1장 이주의 연혁
제2장 이주의 동기
제3장 이주의 경로
제4장 이주민 분포의 상태
제5장 이주민의 現狀
제1절 간도지방의 이주민의 생활 상태
제2절 간도지방의 생활비 비교
제3절 한인 상호의 관계
제4절 중한인 간의 관계
제5절 중국관헌의 이주한인 취급
제6절 일본관헌의 이주한인 취급
제7절 이주한인 가족의 조선 일본 취직
제8절 이주한인의 감상
제6장 도문강 방면의 이주한인의 귀환
제1절 귀환의 동기
제2절 귀환의 상황

제9편 도문강 연안의 월경 경작

제1장 개황
제2장 선내지 在主者의 대안 경작
제3장 대안지방 이주자 선내지 경작

제10편 도문강 연안의 국경 경찰
Author
문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