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수업과 그 사상』은 일본과학사학회 회장을 역임한 이타쿠라 키요노부(板倉聖宣) 박사의 『たのしい授業の思想』의 한국어판이다. 역자인 오세현 박사는 40대 중반에 일본 동북대학대학원에 유학한다. 그는 현지에서 과학교육에 대한 그들의 열정을 하나씩 알아가면서 「우리가 일본을 몰라도 너무 몰랐구나!」라는 사실을 새삼 느꼈다고 한다. 1960년대부터 수십 년을 지속해온 「극지방식연구회(이하, 극지연)」와 「가설실험수업 연구회」를 비롯한 다양한 학습법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저자인 이타쿠라 키요노부(1930~2018) 선생은 1959년부터 일본 국립교육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1961년 미국에서 시작된 「PSSC물리」에 자극받아 과학교육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특히 그는 1963년에 그의 「과학사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수업과학」, 즉 「가설실험수업」을 제창하고 「즐거운 수업 사상」을 정립한다. 이타쿠라의 「가설실험수업」에 공명한 사람들의 수업 실천을 통해 지난 60년 동안 지속되고 있다. 「가설실험수업」은 그의 예상을 넘어 〈생각하는 것이 즐겁다, 과학 수업이 즐겁다〉라고 교사는 물론 학습자인 아이들에게 환영받아 온 것이다.
Contents
헌사 --------------------------------------------------- 3
일러두기 ----------------------------------------------- 4
머리말 ------------------------------------------------- 5
역자의 말 ---------------------------------------------- 7
차례 --------------------------------------------------- 9
제1부 즐거운 수업과 그 사상 ------------------------------ 15
1. 지금 왜 「즐거운 수업」인가? - 창간사 ------------------- 16
● 즐거운 것을 더욱 즐겁게! ● 교육을 근본적으로 재검토 ●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수업서를!
2. 「즐거운 수업」 사상 - 「이해하는 수업」과 「즐거운 수업」 --- 22
● 교육은 으레 좋은 것인가? ● 과거, 엘리트를 위한 공부는 확실히 도움이 되었다 ● 교육이 보급되면 될수록 학습의욕은 떨어진다 ● 모방의 시대는 지났다 ● 즐겁게 배운 지식이야말로 몸에 밴다 ● 신선미 없는 교육내용에 대한 반감 ● 책이 전제적인 모습을 발휘할 때 ● 재미없는 수업일수록 우등생이 탄생된다
3. 교육학을 「근대과학」으로 처음 확립한 사상과 방법 ------- 46
● 가설실험수업과 즐거운 수업의 관계 ● 수업이 즐겁지 않은 가장 큰 원인은 「강요」에 있다 ● 근대과학으로서 교육학을 확립하기 위한 과제 ● 가설실험수업의 역할 ● 가설실험수업의 해결 방법 ● 과학은 모든 것을 한꺼번에 해결하지 않는다 ● 즐거운 수업은 서서히
4. 「자신의 훌륭함」을 발견하는 수업 ----------------------- 61
● 본격적인 문화에 대한 신뢰 ● 교육계에 부족한 모방의 전통 ● 과학은 어디가 훌륭한가? ● 모든 사람이 알 수 없는 것은 과학이 아니다 ● 수업을 바꾸는 길은 과학의 관점을 바꾸는 일 ● 교사의 일 ● 나의 훌륭함의 사회성 ● 입학과 졸업
5. 어른들이 즐겁게 배우는 시대 -------------------------- 76
● 즐거운 수업은 서두르지 말고 차근차근히 ● 점점 어두워지는 교육계의 화제, 그것은 왜? ● 옛날에는 밝았던 교육의 화제 ● 망가진 것은 문화인·지식인들이지 아이들이 아니다 ● 착실한 모방 위에서 창조성을 ● 학문 · 예술 · 문화 그 자체의 되묻기로 시작할 것 ● 멋진 아이들의 모습이 보이는 즐거운 수업 ● 정치나 제도의 개혁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오늘날의 교육 문제 ●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새로운 수업계획의 개발을
1. 수업서란 무엇인가? ----------------------------------- 88
● 수업서와 수업의 법칙성 추구 ● 수업 법칙의 연구와 수업서의 보급 ● 교육방법 및 교육내용의 구체화 ● 어린이의 자유로운 생각을 연장하는 속박 ● 모두의 공유 재산(수업서)을 만든다 ● 수업서의 구상과 연구 운동
2. 보이지 않는 기체를 잡자 ------------------------------ 104
● 드라이아이스란?(문제와 실험) ● 드라이아이스 이야기
3. 정치 · 교육사상과 과학교육(상)(永田英治와 공동 집필) ----- 122
● [문제1] 근대적인 학교제도의 성립 ● [문제2] 어떤 교육내용을 중시했는가? ● [문제3, 4] 문부성의 방침 전환(학제서문과 교육에 관한 포고문)
4. 정치 · 교육사상과 과학교육(하)(永田英治와 공동 집필) ----- 137
● [문제5] 문부성의 방침 전환과 과학교육의 변화 ● [문제6] 소학교 이과교육 시기 ● [문제7] 소학교 저학년 이과교육의 시작 ● [문제8] 패전을 전후한 이과교육의 인식 변화 ● [문제9] 일본에서 이과교육 기초가 마련된 시기
5. 수업서 읽는 법 --------------------------------------- 153
● 수업서는 누가 읽는가? ● 실물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이해하기 쉽다 ● 힌트 읽는 법 ● 용어의 정의나 원리 · 법칙의 설명문 취급법
● 「읽기자료」 읽는 법 · 사용법
6. 「문제를 만들어라」라는 [문제]를 잊지 않도록 ------------- 161
● 새삼스럽게 다시 제안한다 ● 「정말 알겠다」는 어떤 의미인가?
7. 교과서란 무엇인가 ------------------------------------ 164
● 교사와 학생의 교육활동을 상호 속박하는 책 ● 「권위」로서의 교과서 ● 학생용 교과서 사용금지 시대의 과학교육 ● 수업서 개발과 획일적인 교과과정 ● 교과서적인 책이란 무엇인가? ● 책과 독자 사이에 개입하는 것 ● 절실한 내용은 수업서 없이도 배운다
1. 교육에서 「예상」의 의미 ------------------------------- 184
● 예상대로 들어맞을 때의 기쁨과 마음의 평안 ● 교육 속에서 예상의 축적 ●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에서 예상 ● 예상을 세우며 읽는다 ● 야생종과 재배종 씨앗의 발아가 주는 교훈 ● 예상할 수 없는 사회에서 교육 다양성의 중요성 ● 민들레 발아 실험(스즈키 타카시)
2. 담담한 수업을 재검토한다 ----------------------------- 199
● 아이의 활동이 눈에 보이는 수업만이 좋은 수업인가? ● 아이의 기분을 알기란 어렵다 ● 감동의 연속만으로는 녹초가 되고 만다 ● 토론이 거의 없는 고교에서 가설실험수업 ● 담담한 수업을 위한 조건
3. 숙달과 이해에 대해서 --------------------------------- 207
● 몰라도 「할 수 있다」라는 것 ● 미래에 맡길 꿈과 이해 중시의 전통 ● 간단하게 바뀌는 진심론과 명분론 ● 숙달과 이해의 모순론 ● 스스로 훈련을 시킬 정도의 흥미와 결단
4. 즐거운 수업과 반복 연습(드릴)의 구조 ------------------- 218
● 두 종류의 재미있는 수업 ● 마음에 여유를 가져오는 즐거운 수업 ● 또 하나의 즐거운 수업 ● 외우는 것의 즐거움 ● 드릴이 없는 테스트라니 ● 감동하기 위해서도 드릴 ● 테스트 없는 드릴이란? ● 즐거움을 기준으로 한다 ● 기본적인 것은 학교에서 ● 즐거운 공부의 길을 찾다 ● 즐거움을 추구하면 드릴에 해당한다 ● 경쟁 구조-과도한 경쟁과 적절한 경쟁 ● 당근과 채찍의 상호 전환
5. 학력 보장과 즐거운 수업 ------------------------------ 241
● 학력 보장이라는 말 ● 즐거운 수업이라는 말 ● 기초 학력이란 무엇인가? ● 인간은 왜 공부하는가? ● 사회가 요구하는 학력 ● 자신감과 의욕을 강하게 하려면 ● 반정볼-신 발견 신 실험 코너 ● 새로운 시대에는 새로운 시각과 사고방식이 필요 ● 새로운 자연의 시각과 사고방식 ● 수준을 높이면 즐거워지는 공부 ● 고대 그리스 문화와 일반 서민 ● 역사에 대한 시각과 사고방식을 창조하는 일
제4부 교재에 관한 생각 ----------------------------------- 265
1. 「신종합독본」 작성 운동의 제창 ------------------------- 266
● 「상식」은 어디서 가르칠 것인가? ●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는 지식
2. 좋은 교재는 학년을 불문한다 -------------------------- 279
3. 「읽기 교육」의 복권을 --------------------------------- 282
● 책의 보급과 교육의 시작 ● 「독서백편 의자현」의 교육적 의의 ● 독창성에 대한 고집보다 충실하게 읽는 것의 중요성 ● 가설실험수업과 읽기 수업
4. 문장 쓰는 법 · 쓰게 하는 법 --------------------------- 293
● 나 자신의 체험으로부터 ● 누구를 위해 글을 쓸 것인가? ● 읽어 줄 사람을 찾아주는 일 ● 글 머리 쓰기 연구 ● 생각하면서 쓰는 즐거움 ● 문장의 부분과 전체 ● 수업 감상문이 글쓰기 교육의 출발점? ● 모순된 표현에서 볼 수 있는 문장이 숨결 ● 논리적인 문장을 쓰기 위해서 ● 접속사 사용법
5. 실험으로 확인하는 산수 · 수학 수업 --------------------- 308
● 나와 수학교육 ● 즐거운 수업과 산수 · 수학교육 ● 수학적 감각을 몸에 익히는 교육 ● 실험으로 확인하는 산수 · 수학교육을 ● 실험하는 수학교육 연구의 지침
6. 암기수업을 재검토한다 ------------------------------- 319
● 암기수업의 거부감과 즐거움 ● 초등학교 시간표에 짜여 있던 암기 시간 ● 교육학의 가르침과 개인적 체험 ● 암기를 싫어했던 나의 체험 ● 기술에서 기본 연습의 의미 ● 암기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7. 놀이와 수업 ----------------------------------------- 331
● 놀이와 수업은 대립하는 것인가? ● 자유와 속박의 차이로 구별할 수 없다 ● 아이들은 교육의 주인공으로서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 ● 사회의 요구는 변한다 ● 즐거움의 다양성을 찾는다 ● 선택된 놀이로서 과학 · 예술
8. 기술과 사회-만들기 수업의 즐거움과 난점 --------------- 341
● 수제(手製) 존중 사상을 배제하다 ● 공부보다 노동이 즐거운 이유는 왜일까? ● 어떤 것을 만들면 좋을까? - 즐거움이 기본 ● 만들기 수업의 난점 - 이치에 깊이 들어가지 마라! ● 사회과 역사교육의 기초로서 「만들기 수업」의 문제점
9. 만들기 수업의 사고방식 ------------------------------- 350
● 가설실험수업과 만들기 수업 ● 달고나 만들기 수업의 경우 ● 농작물 재배 수업의 즐거움도 잊지 말고 ● 과학의 지속 관찰과 즐거운 작물 재배 수업의 차이 ● 만들기 수업의 교재 선택 기준 ● 기술 · 기능이 특별히 필요없는 만들기 수업 ● 모든 사람이 창의적인 활동을 기대하는 시대 ● 모든 아이가 다 할 수 있을 때까지 가르치는 것의 중요성 ● 혼자 궁리하기보다는 따라 하면서 확실하게 잘 할 수 있도록 ● 만들기 수업의 한계
10. 견학론 --------------------------------------------- 366
● 어떤 곳을 견학하면 좋을까? ● 누구와 함께 보는 것이 즐거울까? ● 수족관 견학기 ● 과수 시험장 견학기 ● 디즈니랜드에서 배울 점 ● 지금 당장 쓸 수 있게 ● 과학박물관 견학 안내서(아라이 키미타케)
「즐거운 수업 사상」을 읽고 (편지 후기) ------------------ 383
● 즐거움만으로 좋다 ●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문제로서 즐거운 수업 ● 교육의 상식 되묻기 ● 과학적 연구와 민주주의와의 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