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기술 고도화 어디까지 왔나
기본형 원자탄과 수소탄, 고체추진제 ICBM 개발 성공
핵무기 기술적 성능 큰 진전, 전술적 성능 물음표
한반도 비핵화 난항, 제7차 핵실험은?
북한 핵능력, 기술적으로 분석한 대중서
북한 핵무장 고도화, 어떻게 풀어가야 할까
“북한은 2006년부터 지금까지 6차례의 핵실험을 감행했다. 우라늄 농축으로 핵무기 재고를 확대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투발 수단을 개발하고 핵전술을 고도화해, 한반도의 안보 상황이 크게 악화되었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국내외에서 많은 논란이 벌어졌고, 수많은 책들이 출간됐다. 다만 대부분의 관련 책들이 정치, 외교적 측면에 집중했으며, 정책 수립의 근거가 되는 과학기술적 해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정권 교체기에는 정치적 견해로 과학기술적 근거를 선별 선택해, 전체를 왜곡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핵무기라는 거대과학에는 독특한 개발 경로와 다양한 수단들이 있다. 냉전 시기에는 미국과 소련이 원자탄과 수소탄 개발 경쟁을 벌이면서, 자기들만의 장기계획을 수립하고 거대한 개발체제를 구축했다. 북한은 옛 소련이 개척한 사회주의 기술개발 경로를 추종하면서, 독자적인 시간 계획에 따라 핵무기를 개발했다. 따라서 이를 추적하고 세밀히 분석해 정책 대안을 수립하는 일이 아주 중요하다. 필자는 정치적 견해를 배제하고 과학적 방법론과 근거를 갖추어 북한 핵기술을 분석했다.
《북한의 핵패권_사회주의 핵개발 경로와 핵전술 고도화》 책의 핵심 주장은 사회주의 핵기술 개발 경로가 우리에게 익숙한 미국과 다르고, 북한이 이를 추종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북한 핵의 직접적인 당사자이면서도, 북한핵에 대한 해석의 대부분을 미국 등 서구 전문가들에게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외국 전문가들은 사회주의 특성과 북한의 내부 실정을 잘 모르고, 우리를 위한 정책을 내놓지도 않는다. 외국의 견해를 무조건 추종하면, 우리의 실익을 놓치거나 판단을 그르치기 쉽다. 따라서 북한의 핵기술 개발 경로와 특성 분석을 통해 보다 합리적인 정세 판단과 정책 수립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Contents
북한의 핵패권
사회주의 핵개발 경로와 핵전술 고도화
차례
저자의 말
1부 사회주의 핵기술 개발경로
1장 냉전과 사회주의 핵개발 경로의 탄생
1-1 냉전과 기술개발 경로 의존성
1-2 미국의 원자탄 개발과 기폭장치 특성
1-3 냉전과 미소 수소탄 개발 경쟁
1-4 미국의 수소탄 개발 경로
1-5 소련의 수소탄 개발 경로
1-6 냉전시기 미소 수소탄 개발 경쟁과 사회주의 개발경로
1-7 소련, 러시아의 우라늄 농축기술 개발경로
1-8 미국의 우라늄 농축 경로
1-9 미국과 소련의 우라늄 농축기술 경로 특성
1-10 소형 전술핵 개발과 미·소 경로차이 누적 효과
1-11 중성자탄 개발과 미국, 소련의 경로 차이
1-12 원자력 주기와 핵무기 개발경로의 차이
2장 경로 확산_중국의 핵무기 개발
2-1 중국의 핵개발 동기
2-2 중국의 핵개발 프로젝트 출범
2-3 연합핵연구소(드부나연구소) 참여와 핵무기 개발 활용
2-4 소련의 지원과 기반 구축
2-5 자주적인 핵무기 개발로 전환
2-6 중앙전문위원회의 설립과 종합 조정
2-7 국가계획 수립과 개발경로 선택
2-8 최초 핵폭발 실험 성공
2-9 실전배치를 위한 항공폭탄과 미사일 탄두 개발
2-10 수소탄 개발경로 선택과 폭발실험 성공
2-11 핵잠수함 개발
2-12 3선 건설과 문화대혁명
2-13 중성자탄 개발과 폭발 실험
2-14 전문인력 양성
2-15 중국의 핵무기 개발경로와 특성
3장 경로 전환 사례_중국의 핵공업 개편과 민수 전환
3-1 중국 국내외 정세 변화와 개혁개방 추진
3-2 군수산업의 구조조정과 칭하이(靑海) 핵무기 개발기지 폐쇄
3-3 원자력산업의 제2창업 선언과 추진
3-4 행정기관과 부처간 업무 분담
3-5 주요 연구기관 개편
3-6 중국핵공업집단유한공사 산하 연구소
3-7 중국공정물리연구원(제9연구설계원)
3-8 인민해방군 시베이(西北)핵기술연구소(제21연구소)
3-9 중국과학원 산하의 핵 관련 연구소
3-10 고급 전문가 양성
3-11 옛 핵공업부 산하 대학 구조조정
3-12 기술인력 양성
3-13 기능공학교
3-14 해방군 산하 대학과 로켓군(火箭?, 구 제2포병) 편제
3-15 중국의 핵공업 개편과 민수 전환의 특성
2부 핵실험과 핵폭발 피해
4장 경로 확인_핵실험과 실험장
4-1 핵실험의 목적
4-2 핵실험 유형과 핵실험금지조약
4-3 고고도 핵폭발 실험
4-4 지하 핵실험의 장단점
4-5 지하핵실험장 선정과 실험 절차
4-6 기폭실 깊이와 핵폭발 봉쇄 효과
4-7 지하 핵폭발로 인한 굴뚝(chimney)의 형성
4-8 갱도의 굴진 및 봉쇄
4-9 측정관 설치한 갱도의 봉쇄
4-10 수직갱도의 굴착 및 충진
4-11 연속식(Homogeneous Stemming)과 다단식(Layered Stemming) 충진법
4-12 수직갱도의 폭발 생성물 봉쇄와 자체 차단
4-13 핵폭발 따른 지진파와 국제 감시망의 구축
4-14 지진파를 통한 핵폭발 위력의 산출
4-15 핵실험 감시 회피기술의 발달
4-16 지하핵폭발 때 방사성 물질 생성과 분포
4-17 지하핵실험 누출사고 대기 중 방사능 오염과 피해
4-18 지하수의 방사능 오염과 감소 위한 조치
4-19 세미파라친스크 핵실험장 폐쇄
4-20 핵실험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5장 핵폭발 피해 유형과 특성
5-1 핵폭발 피해 유형과 정도
5-2 중성자탄의 피해 유형과 정도
5-3 고고도 핵폭발과 피해 유형
5-4 EMP 효과와 피해 유형
5-5 핵폭발 피해 유형과 방호에 대한 시사점
3부 북한의 핵기술 개발
6장 북한의 핵무기 개발 시동과 인력 양성
6-1 일제의 유산
6-2 초기 기반 구축
6-3 소련 및 사회주의국가들과의 협력
6-4 원자력주기 완성과 핵무기 개발 본격화
6-5 주요 핵무기 인력 양성기관과 학과 구성
6-6 김책공업종합대학 핵재료공학과의 교과과정
6-7 리과대학 현대물리학과의 교과과정
6-8 물리대학 핵 관련학과들의 교과과정
6-9 남북한 원자력 관련학과 교과과정 비교
6-10 북한의 핵 관련 인력 규모 추정
6-11 북한 핵 관련 인력의 특성
7장 북한의 핵무기 개발경로와 원자력 주기 완성
7-1 1980년대 사회주의 붕괴와 핵무기 개발 본격화
7-2 국가과학기술계획을 통한 산업기반 구축과 경제난 심화
7-3 국가과학기술계획과 핵무기 기초연구
7-4 국제과학기술협력에서의 관련 동향
7-5 국가과학원의 기여
7-6 원심분리기의 우라늄 농축기술 개발
7-7 원심분리기와 HEU 생산 능력
7-8 핵융합 물질 생산과 기술개발
7-9 원자력 주기 완성과 수준
4부 북한의 핵 능력
8장 북한의 핵실험과 핵 능력
8-1 핵무기 위력
8-2 출발점_북한 핵무기 개발 시점과 최초 핵실험
8-3 북한의 핵무기 개발 방향, 제2차 핵실험 통한 내폭형 Pu 원자탄 개발
8-4 핵물질 전환과 제3차 핵실험
8-5 원자탄 표준화와 미사일 탑재_제5차 핵실험
8-6 수소탄 개발과 실험_제4차와 6차 실험
8-7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와 복구
8-8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 붕괴와 방사능 유출 문제
8-9 원자력발전소 사고와 지하 핵실험의 방사능 오염 차이
8-10 북한 핵무기의 기술적 능력
9장 북한의 핵무기 투발 수단과 핵전술 고도화
9-1 핵탄두 소형화와 미사일 탑재 능력
9-2 투발 수단 현대화와 고도화: ICBM과 우주발사체 개발
9-3 고체추진제 개발과 투발 수단 확장
9-4 고체추진제 ICBM 개발
9-5 방열 소재 개발과 시험
9-6 핵전술 고도화_고공폭발과 탄두 기동
9-7 북한 핵무기의 전술적 성능
5부 핵 패권과 우리의 미래
10장 북한 핵의 위협과 대응 방안
10-1 북한의 핵무기 개발 특성
10-2 “화산-31”과 주요 투발수단
10-3 향후 전망
10-4 제7차 핵실험 전망
10-5 우리에게 위협과 대응 방향
10-6 경로 파악과 사회주의 핵정책 연구 강화
10-7 경로 차단 및 고도화 방지
10-8 탄도미사일 방어와 조기 경보체제 개선
10-9 핵 폭발시 방호
10-10 EMP 방호
10-11 복구와 치료 및 종합계획 수립
참고문헌
Author
이춘근
사회주의 과학기술 전문가이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학사와 석·박사, 중국북경사범대학에서 교육학 박사를 취득했으며, 중국과학원과 북경대학, 미국 스탠퍼드대학에서 연구했다. 1980년 육군화학학교(현 화생방학교)를 졸업한 이후 수십 년간 핵과 미사일을 포함한 북한, 중국의 과학기술, 국방기술을 연구했으며, 수십 편의 보고서와 논문, 이슈 페이퍼를 발표했다. 연변과학기술대학 부총장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을 지냈고, 통일부와 합동참모본부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과 화생방방호사령부 자문위원이다. 저서로 《북한의 과학기술》, 공학한림원 추천 도서인 《과학기술로 읽는 북한 핵》, 《지하 핵실험에 대한 과학기술적 이해》, 《러시아를 넘어 미국에 도전하는 _중국의 우주굴기》 등이 있다.
사회주의 과학기술 전문가이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학사와 석·박사, 중국북경사범대학에서 교육학 박사를 취득했으며, 중국과학원과 북경대학, 미국 스탠퍼드대학에서 연구했다. 1980년 육군화학학교(현 화생방학교)를 졸업한 이후 수십 년간 핵과 미사일을 포함한 북한, 중국의 과학기술, 국방기술을 연구했으며, 수십 편의 보고서와 논문, 이슈 페이퍼를 발표했다. 연변과학기술대학 부총장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을 지냈고, 통일부와 합동참모본부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과 화생방방호사령부 자문위원이다. 저서로 《북한의 과학기술》, 공학한림원 추천 도서인 《과학기술로 읽는 북한 핵》, 《지하 핵실험에 대한 과학기술적 이해》, 《러시아를 넘어 미국에 도전하는 _중국의 우주굴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