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집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글쓴이가 매체에 기고한 글을 엮어 발간한 것이다. 스스로의 글을 정리하여 하나의 책으로 발간한다는 것은 개인적으로도 의미가 있지만, 이 문집이 닿는 독자에게도 의미가 있는 책을 만들고자 관련한 법령, 규칙, 판례 등을 추가하여 아카이브(Archive)로서의 가치를 부여했다.
간행물에 기고한 글은 당시의 동향을 반영한다. 동향의 반영이 문집으로서 보편성과 영속성의 가치를 저해할 소지가 있어 보편적,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부분을 함께 담고자 하였다. 독자가 이러한 배경을 염두에 두고 볼 수 있도록 게재 일자를 표기하였다.
Contents
저자의 글
I. 계약관리 일반
01 설계서란 무엇인가?
02 실정보고란 무엇인가?
03 계약의 해제와 해지
04 공정률, 기성금, 기성고의 관계(1)
05 공정률, 기성금, 기성고의 관계(2)
06 공정률, 기성금, 기성고의 관계(3)
07 공정률, 기성금, 기성고의 관계(4)
08 선금, 선급금, 선금급의 의미는?
09 개산급의 활용 및 유의사항
10 대가지급 지연 시 적용되는 이자율(1)
11 대가지급 지연 시 적용되는 이자율(2)
12 합의서 작성 시 유의사항
13 계약금액 조정 청구기한
14 위탁취소의 금지
15 ‘수급인’과 ‘수급사업자’, 같은 용어 아닌가요?
16 사후정산계약 체결 시 유의사항(1)
17 사후정산계약 체결 시 유의사항(2)
18 중고자재 사용 가능 여부
II. 공사비 산정
19 공사비 산정 시 간접노무비 적용기준(1)
20 공사비 산정 시 간접노무비 적용기준(2)
21 공사비 산정 시 간접노무비 적용기준(3)
22 공사비 산정 시 간접노무비 적용기준(4)
23 일반관리비 및 이윤(1)
24 일반관리비 및 이윤(2)
III. 분쟁일반
25 분쟁관리의 우선적 목표는 분쟁의 예방(1)
26 분쟁관리의 우선적 목표는 분쟁의 예방(2)
27 건설분쟁 시 감정절차의 이해
28 건설분쟁에서의 감정인이란?
29 건설분쟁 시 감정인 지정절차
30 건설분쟁 시 ‘사감정’ 의미와 중요성
31 클레임 준비, 증거 사진만 찍으면 끝?
32 공사 도중 분쟁해결 절차이행이 가능한지 여부
33 분쟁 시 감정신청서의 중요성
34 분쟁해결 시 중재제도를 적극 활용하자(1)
35 분쟁해결 시 중재제도를 적극 활용하자(2)
36 중재절차에서 합의의 중요성
37 건설분야의 대체적 분쟁해결제도 활성화
IV. 설계변경
38 ‘설계변경’과 ‘계약금액 조정’의 의미
39 공공공사 계약의 설계변경 시 절차준수 요건(1)
40 공공공사 계약의 설계변경 시 절차준수 요건(2)
41 공공공사 계약의 설계변경 시 절차준수 요건(3)
42 하도급계약의 설계변경 시 금액결정의 기준(1)
43 하도급계약의 설계변경 시 금액결정의 기준(2)
44 하도급계약의 설계변경 시 금액결정의 기준(3)
45 설계변경 단가 협의 시 유의사항
46 공내역서 물량 누락으로 인한 설계변경 대응방안
47 설계변경 등 계약내용 변경 회신 소요기간
V. 공사중단·지연·연장
48 장기계속계약에서의 하도급 공기연장 추가간접비 청구가능 여부
49 계약체결 시 계획공정표의 중요성
50 공사물량 증가 시 공기연장 청구 가능 여부
51 선행공종 지연으로 인한 공사 지연 시 대응방안
52 기성 미지급 시 시공사의 공사중단 가능 여부(1)
53 기성 미지급 시 시공사의 공사중단 가능 여부(2)
54 기성 미지급 시 시공사의 공사중단 가능 여부(3)
55 야간공사 발생 시 대응방안
56 하도급계약에서의 공기연장 비용의 인정 여부
57 공기연장 시 하도급대금 조정신청권의 의미
58 공기연장 간접비 청구 시 본사관리비 인정 여부
59 공기연장 간접비 중 본사관리비 산정방식과 기준의 필요성
60 지급자재와 자체조달의 리스크 관리전략
61 공기연장 간접비 청구 시 차수별 청구 요건의 중요성(1)
62 공기연장 간접비 청구 시 차수별 청구 요건의 중요성(2)
63 건설공사 클레임에서 공정분석의 활용
64 공기연장 시 품질관리비 정산 기준
65 장기계속계약에서 계속비 계약 전환 시 공기연장 간접비 인정 여부
66 설계서 확정지연으로 인한 추가금액 및 추가공기 산정
VI. 돌관작업·작업능률저하
67 돌관작업 시 추가공사비 인정 여부
68 돌관작업 추가공사비 감정 시 유의사항
69 작업능률 저하 개념과 분쟁 발생 시 유의사항
VII. 물가변동
70 공공·민간공사서 물가변동 인정 여부
71 하도급 물가변동 계약금액조정 시 유의사항(1)
72 하도급 물가변동 계약금액조정 시 유의사항(2)
73 원도급 물가변동 정산 어떻게 받아야 하나
74 팬데믹 이후 물가변동 따른 현장리스크(1)
75 팬데믹 이후 물가변동 따른 현장리스크(2)
76 공공공사에서 물가변동제도의 의의
77 공사현장 물가변동 계약금액조정 관리의 중요성
78 공공 건설공사 물가변동 시 지수조정방식, 품목조정방식이란?
79 공공공사 물가변동 계약금액조정 시 기간요건과 등락요건이란?
80 자재가 급등, 아는 만큼 리스크 줄인다
94 불가항력의 사유 및 태풍 발생 시 대처방안(1)
95 불가항력의 사유 및 태풍 발생 시 대처방안(2)
96 태풍피해 시 손실비용과 공사손해보험
X. 근로시간 단축
97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클레임 관리방안(1)
98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클레임 관리방안(2)
99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클레임 관리방안(3)
XI. 펜데믹
100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현장 관리전략(1)
101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현장 관리전략(2)
102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공공공사 대응방안
103 국토부의 코로나 바이러스19 현장 대응 가이드라인(1)
104 국토부의 코로나 바이러스19 현장 대응 가이드라인(2)
105 코로나19에 따른 클레임 요청 시 유의점
XII. 입찰담합
106 입찰담합 손해액 산정, 학계에 기대한다
Author
정기창
서울에서 태어나 건축시공 및 건설관리를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사)한국산업융합연구원을 설립하여 원장으로서 재직·경영 중이다. 음악, 문학, 예술을 좋아하며, 연구활동에 지속적인 관심이 있어 건설계약 및 융합기술 관련 국내외 논문과 저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2017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세계인명사전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에 등재되었다.
서울에서 태어나 건축시공 및 건설관리를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사)한국산업융합연구원을 설립하여 원장으로서 재직·경영 중이다. 음악, 문학, 예술을 좋아하며, 연구활동에 지속적인 관심이 있어 건설계약 및 융합기술 관련 국내외 논문과 저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2017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세계인명사전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에 등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