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어도어 아도르노의 철학은 난해하기로 이미 정평이 나 있다. 신칸트주의에서 출발하여, 후설 현상학의 완성을 거쳐 한편으론 루카치, 블로흐 그리고 벤야민과 같은 철학적 아방가르드주의자들의 영향을 받고, 다른 한편으로 프로이트와 키르케고르로 이어지고 무엇보다 헤겔, 맑스 그리고 니체를 향해 갔던, 그리고 하이데거에 대한 비판에서 정점에 올랐던 아도르노 사유의 방대하고 복잡한 철학사적 짜임은 그러한 철학들에 대한 사전 이해가 빈곤한 우리로서는 접근이 쉽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난해한 ‘고전’으로만 여겨지던 아도르노 사유에 대한 간결하면서도 신뢰할 만한 철학적 입문서가 출간된 것은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니다. 게르하르트 슈베펜호이저의 『아도르노, 사유의 모티브들(원제: Theodor W. Adorno zur Einfuhrung)』는 20세기 독일의 비판이론 철학을 이끌며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과 그것의 극복을 위해 철학과 사회학, 예술과 문화, 음악과 문학 미학에서 전방위적으로 예리한 사유를 펼쳤던 아도르노 철학을, 『미니마 모랄리아』와 『부정변증법』, 『계몽의 변증법』을 포함하여 그의 주요 텍스트들을 종횡무진 오가며 그의 복잡하고 세분화된 사유의 건축물의 구조를 이루는 핵심적 모티브들을 중심으로 규명해 낸다.
Contents
여는 글
1. 유년기를 새로이 붙잡으려는 시도
2. 비판
3. 이성의 자기비판
4. 희망을 상실한 것들의 구원
5. 총체적으로 사회화된 사회
6. 해방된 사회의 목표
7. 아름다움의 무기력한 유토피아
8. 문화의 실패
미주
아도르노 연보
Author
게르하르트 슈베펜호이저,한상원
1960년 프랑크푸르트 출생.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독문학, 교육학을 공부했고 철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카셀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고 교수자격논문을 제출했다. 2002년부터 뷔르츠부르크 실용 학문 대학 조형학부의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이론 학과 교수이며, 2018년부터 카셀 대학교 철학과 객원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박사학위논문인 『아우슈비츠 이후의 윤리: 아도르노의 부정적 도덕철학Ethik nach Auschwitz. Adornos negative Moralphilosophie』(1993), 교수자격논문인 『보편주의의 이율배반: 현대성의 도덕철학적 담론Die Antinomie des Universalismus. Zum moralphilosophischen Diskurs der Moderne』(2005), 『미학: 철학적 기본 개념들과 핵심 개념들Asthetik. Philosophische Grundlagen und Schlusselbegriffe』(2007) 등이 있다. 그의 부친인 헤르만 슈베펜호이저Hermann Schweppenhauser는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아도르노의 조교이자 제자로 수학했으며 뤼네부르크 대학 철학과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1960년 프랑크푸르트 출생.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독문학, 교육학을 공부했고 철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카셀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고 교수자격논문을 제출했다. 2002년부터 뷔르츠부르크 실용 학문 대학 조형학부의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이론 학과 교수이며, 2018년부터 카셀 대학교 철학과 객원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박사학위논문인 『아우슈비츠 이후의 윤리: 아도르노의 부정적 도덕철학Ethik nach Auschwitz. Adornos negative Moralphilosophie』(1993), 교수자격논문인 『보편주의의 이율배반: 현대성의 도덕철학적 담론Die Antinomie des Universalismus. Zum moralphilosophischen Diskurs der Moderne』(2005), 『미학: 철학적 기본 개념들과 핵심 개념들Asthetik. Philosophische Grundlagen und Schlusselbegriffe』(2007) 등이 있다. 그의 부친인 헤르만 슈베펜호이저Hermann Schweppenhauser는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아도르노의 조교이자 제자로 수학했으며 뤼네부르크 대학 철학과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