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깡의 정치학

『세미나 11』 강해
$27.00
SKU
979119700450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4/10
Pages/Weight/Size 152*223*30mm
ISBN 9791197004506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프로이트로 돌아가자!”라고 했던 자크 라깡은 1964년 역설적이게도 프로이트의 문자들을 낡은 관념의 체계 속에 묶어 버리려 했던 프로이트 ‘후예’들이 주축이 된 국제정신분석협회(IPA)에서 파문당했다. 라깡의 『세미나 11』은 그가 바로 그렇게 축출당한 그해 시작되었다. 그래선지 『세미나 11』에는 지금까지와는 사뭇 다른 비장한 목소리가 느껴지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사태는 예견된 것이기도 했다. 그것은 프로이트 후속 세대들의 보수주의적 정치성에 맞서 정신분석의 급진적 정치성을 추구했던 라깡이 맞닥뜨려야 했던 필연적 운명인 셈이다. 한 예로, “인간”이라는 기표가 각자 주체들의 삶 속에서 다시 발명되어야 할 것으로 남겨져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인간과 자아를 이미 존재하는 하나의 셈해진 상황으로 가정하려는 자칭 프로이트 제자들의 관점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시도였을 테니까. 정신분석이 지닌 이러한 혁명적 차원을 추구한 데서 나아가 라깡은 이제 더욱 대담하게 『세미나 11』에서 정신분석 실천이 실제 임상의 차원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에서 거의 유일하게 라깡 원전을 토대로 정신분석 강의를 지속해 온 백상현은 두 파트로 나눈 이번 『세미나 11』 강해 1권에서 정신분석 임상의 ‘정치적’ 차원에 주목한다. 이는 라깡의 정신분석 이론이 “이론을 위한 이론일 뿐”이라는 터무니없는 주장을 비롯해 정치성과 임상을 분리하는 한국 학계의 보수적이고 안이한 태도와 대비된다. 라깡의 프로이트 해석이 정신분석 자체를 20세기의 가장 급진적인 사상에 의해 재구성해 내는 해체와 발명의 과정이었음을 밝히려는 지난하고 집요한 노력이 돋보인다.
Contents
프롤로그 파문당한 자들의 공동체

0번째 강의 시적 실천praxis으로서의 정신분석
1번째 강의 과학이 아닌 실천으로서의 정신분석
2번째 강의 무의식의 재발명
3번째 강의 무의식은 존재가 아닌 윤리적 위상을 갖는다
4번째 강의 그것이 있던 곳에 내가 도래해야 한다
5번째 강의 꿈과 깨어남의 이론
6번째 강의 시선의 정치학
7번째 강의 일그러진 상상계
8번째 강의 우상의 정치학
9번째 강의 그림이란 무엇인가
Author
백상현
Lacanian Praxis Institute(약칭 LPI) 대표. 자크 라깡의 '세미나' 원전 텍스트를 대중에게 강독하고 있는 정신분석학자이다. 프랑스 발랑스의 ‘에꼴데보자르’를 졸업한 후(학사), 다시 파리8대학에서 예술학을 공부했다. 이어 같은 대학 마스터 1, 2과정(석사), 철학과 박사원에서 라깡 정신분석 연구로 박사학위(「분쟁, 증상적 문장, 리요타르와 라캉Le differend; la phrase symptomatique, Lyotard et Lacan」)를 취득했다. 서울대, 고려대, 이화여대, 숭실대, 등에서 정신분석을 강의했고, 2016년에는 ‘SFP서울정신분석포럼’ 정회원으로서 산하기관인 ‘한국프로이트라깡칼리지FLC’ 상임교수로 활동했다. LPI의 전신인 한국라깡칼리지를 운영했으며, 현재, LPI의 대표 정신분석학자로서 일반인을 위해 정신분석 상담을 진행하고, 교육자로서 정신분석가를 양성하고 있다. 『라캉 미술관의 유령들』, 『고독의 매뉴얼』, 『라깡의 루브르』, 『라깡의 인간학: 세미나 7 강해』, 『나는 악령의 목소리를 듣는다: 소크라테스, 철학적 욕망의 기원에 관하여』, 『악마의 미학: 타락과 위반의 중세미술, 그리고 발튀스』 등을 썼다.
Lacanian Praxis Institute(약칭 LPI) 대표. 자크 라깡의 '세미나' 원전 텍스트를 대중에게 강독하고 있는 정신분석학자이다. 프랑스 발랑스의 ‘에꼴데보자르’를 졸업한 후(학사), 다시 파리8대학에서 예술학을 공부했다. 이어 같은 대학 마스터 1, 2과정(석사), 철학과 박사원에서 라깡 정신분석 연구로 박사학위(「분쟁, 증상적 문장, 리요타르와 라캉Le differend; la phrase symptomatique, Lyotard et Lacan」)를 취득했다. 서울대, 고려대, 이화여대, 숭실대, 등에서 정신분석을 강의했고, 2016년에는 ‘SFP서울정신분석포럼’ 정회원으로서 산하기관인 ‘한국프로이트라깡칼리지FLC’ 상임교수로 활동했다. LPI의 전신인 한국라깡칼리지를 운영했으며, 현재, LPI의 대표 정신분석학자로서 일반인을 위해 정신분석 상담을 진행하고, 교육자로서 정신분석가를 양성하고 있다. 『라캉 미술관의 유령들』, 『고독의 매뉴얼』, 『라깡의 루브르』, 『라깡의 인간학: 세미나 7 강해』, 『나는 악령의 목소리를 듣는다: 소크라테스, 철학적 욕망의 기원에 관하여』, 『악마의 미학: 타락과 위반의 중세미술, 그리고 발튀스』 등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