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는 자연의 이치(理致)를 이해하는 것이 왕도이며 지름길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런 까닭은 명리는 지구를 둘러싼 각 행성들의 운동 원리와 지구의 공전과 자전이 만들어내는 자연의 이치, 즉 천문학과 지구과학의 자연법칙의 원리에 따라 확립된 학문이기 때문이다.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우주의 운행 법칙(질서)의 영향과 푸른 지구의 자연환경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그러므로 자연의 이치에 따라 살아온 인간 군상의 삶을 들여다보면서 인과관계를 도출하고, 실전으로 증명해가며 발전해온 학문이라고 말한다. 이와 같은 명리를 공부하는 이유가 다양하겠으나 궁극적으로는 자신에게 주어진 명을 알고, 앞으로 펼쳐질 운을 살펴서 나아가거나 물러서야 할 때를 알고, 지혜롭게 행동하기 위함임을 강조한다. 즉, 명리는 ‘앞을 내다보고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자’에게 주는 운명의 내비게이션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Contents
1장 명리와 과학
1. 명리는 종교가 아닌 학문이다 ·16
2. 명리는 미래를 내다보는 학문이다 ·17
3. 명리는 운명(運命)을 살피는 학문이다 ·23
2장 자연의 이치(理致) 속에 명리가 있다
1. 우주와 만물을 상징하는 기호들 ·31
2. 생명과학, 하도낙서(河圖洛書) ·33
3. 오행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작용 ·39
3장 하늘과 땅,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1. 천간과 지지의 음양 구분 ·41
2. 천간과 지지로 엮어 만든 60갑자 ·42
3. 시간의 길이를 나누다 ·44
4. 태양의 길, 24절기 ·46
4장 사주의 두 축,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1. 하늘의 기운, 천간(天干) ·50
2. 땅의 기운, 지지(地支) ·66
3. 생로병사의 12단계, 12운성(運星) ·75
4. 지지의 형충회합(刑沖會合) ·78
5. 하늘의 기운을 품은 땅, 12지지의 지장간(支藏干) ·84
5장 일간(日干)과 육친(六親), 십성론(十星論)
1. 일간(日干)의 신강(神强)과 신약(神弱) ·88
2. 육친(六親), 친족관계를 포함한 사회적 위치 ·90
3. 육친의 의미와 작용 ·91
6장 사주(四柱)의 구성
1. 사주의 구성요소 ·108
2. 사주 세우는 법 ·108
3. 대운 세우는 법 ·115
4. 대운의 대운수(大運數) 정하는 법 ·118
7장 사주를 간명하는 저울, 격국(格局)과 용신(用神)
1. 사주를 간명하는 핵심적 주체, 격국(格局) ·120
2. 격(格)의 종류 ·122
3. 격국 정하는 법 ·124
4. 격국을 완성시키는 용신(用神) ·132
13장 여성만을 위한 사주풀이
1. 남편의 복, 내 사주에 숨어있다 ·263
2. 자식 운 ·268
3. 결혼 시기 ·269
4. 자신의 사주로 배우자를 판단할 수 있다 ·270
5. 미혼 또는 이혼하는 여성 ·271
부록 - 일주(日柱)별 특성과 성품 ·277
Author
황충연
오래전에 탁월한 스승을 모시고 명리의 세계에 입문하여 깊이 천착했다. 직장에서 맡은 일의 특성상 여러 직종의 수많은 사람과 만났고 이를 계기로 그들의 사주를 간명하면서 배웠던 바를 풀어내고 농익게 하는 소중한 실전 경험을 가졌다. 나름 공부에 힘이 붙고 층이 두터워지자 명리를 익히고자 하는 이들에게 좀 더 착한 내비게이션 역할을 할 수 있는 입문서를 쓰겠다는 의욕이 『성공할 사주 실패할 팔자』의 집필로 이어졌다.
1988년 한겨레신문사 입사 후 2017년 한겨레신문사 이사를 역임했다. 2020년 환경재단 기획위원이며, 현재 씨네21 부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오래전에 탁월한 스승을 모시고 명리의 세계에 입문하여 깊이 천착했다. 직장에서 맡은 일의 특성상 여러 직종의 수많은 사람과 만났고 이를 계기로 그들의 사주를 간명하면서 배웠던 바를 풀어내고 농익게 하는 소중한 실전 경험을 가졌다. 나름 공부에 힘이 붙고 층이 두터워지자 명리를 익히고자 하는 이들에게 좀 더 착한 내비게이션 역할을 할 수 있는 입문서를 쓰겠다는 의욕이 『성공할 사주 실패할 팔자』의 집필로 이어졌다.
1988년 한겨레신문사 입사 후 2017년 한겨레신문사 이사를 역임했다. 2020년 환경재단 기획위원이며, 현재 씨네21 부사장으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