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신입생 시절
1. 낮은 학점과 학과 선택 54
2. 신입생 시절 56
3. 학사편입 59
4. 공법학과와 사법학과 61
제3장 엄혹한 시국
1. 진보와 보수 64
2. 중앙도서관과 아크로폴리스 67
3. 적법절차와 절차적 정의 71
제4장 경제학 공부
1. 사법시험과 행정고시 74
2. 상법과 경제 77
3. 법학과 마르크스경제학 79
4. 신문 스크랩 83
제5장 법학, 북한학 88
제6장 대학입시의 방향 94
제7장 사법시험과 세상만사 98
제8장 집안 배경 106
제9장 인생관
1. 고시공부와 시간 그리고 인생 112
2. 부처님과 법정스님 115
3. 행복 119
4. 독서와 가치관의 확립 122
제10장 다양한 경험
1. 풍요로운 인생 126
(1) 서예 128
(2) 불교 131
2. 텔레비전 방송 전성시대 136
3. 편지의 위력 140
제11장 가출 이후
1. 고군분투 146
2. 자기 객관화 149
3. 자기계발 152
4. 근력운동 경과 156
5. 고혈압 관리 163
6. 음식 요리 168
제12장 자기계발 일반론
1. 자기계발과 사회환경 174
2. 자기계발의 마음가짐→발전적 꼬리표 붙이기 178
3. 자기계발의 기초→책 읽고 메모하고 글쓰기 185
4. 자기계발로서 육체운동과 정신건강 188
5. 구체적인 자기계발 스킬 191
(1) 마음 내기 193
(2) 가볍게 시작하기 195
(3) 목표 세분하기 198
(4) 루틴 만들기 201
(5) 매일 꾸준히 204
6. 구체적이고 작은 것의 중요성 208
7. 자기계발과 행복 그리고 마음 214
(1) 자기계발에 마음 챙김을 포함해야 하는 이유 215
① 학습된 무기력 218
② 선별적 기억능력-무기력 학습 저지 220
(2) 스톡데일 패러독스 225
(3) 자아성찰과 메타인지 그리고 완급 조절 228
(4) 객관적 조건과 주관적 마음먹기 230
(5) 행복과 주관적 마음먹기 233
(6) 자기 객관화와 욕구 조절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