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는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며 의료와 함께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현대인이 관심을 가져야 할 의료인류학서이자 의료사회학서이다.
이 책은 수잔 E. 벨, 앤 E. 피거트가 펴낸 REIMAGINING (BIO) MEDICALIZATION, PHARMACEUTICALS AND GENETICS: Old Critiques and New Engagements (2015, Taylor & Francis)를 책방놀지가 독점 계약하여 번역 출판하였다.
이 책은 의료인류학과 의료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자뿐 아니라, 문화와 질병에 관심이 있거나 건강한 모습을 소망하는 이들, 즉 갈수록 의료와 함께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현대 사회의 구성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책이다.
이 책에서는 의료화가 지역과 글로벌 시공간을 넘나들며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차근차근 설명하면서, 생물학적인 몸이 어떻게 국경과 인종을 넘어 시장과 정치의 각축장이 되어왔는지를 여러 학문 분야 연구(역사학, 보건학, 인류학, 사회학)를 통해 조망한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에 처한 현대인이 앞으로 계속 엄습해올 미지의 질병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할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 책은 특히 시의적절한 책이다. 문화와 질병에 관심이 있는 전문가뿐 아니라, 의료와 함께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현대 사회에서 건강한 모습을 소망하는 이들이 읽어보기를 권한다.
[저자 및 역자 소개]
Contents
기획의 글 _ 아시아사회문화연구소
추천사 _ 피터 콘래드
서문: 과거 비평과 새로운 제안 _ 수잔 E. 벨, 앤 E. 피거트
1부 다시 그려본 이미지들: 21세기 (생)의료화와 기술과학
1. 횡적 확장과 전진: 21세기 “~화~Izations”의 재구성 _ 수잔 E. 벨, 앤 E. 피거트
2. 건강과 젠더 분야에 등장한 새로운 생명정치?: 21세기 “성인지의학GSM”과 약물화_ 엘렌 애넌데일, 앤 하머스트롬
3. 다시 그려본 인종과 혈통: 포스트게놈 주체들 간의 차이를 생의료화하기 _ 자넷 K. 심, 캐서린 워터포드 달링, 사라 L. 애크만, 산드라 수진 리, 로버트 A. 히야트
4. 1부를 되돌아보며: 계층화와 복합성 _ 레베카 M. 헤르치히
2부 약물
5. 생명을 위한 필수물질들: 필수약품이 남긴 주요 유산_ 제레미 A. 그린
6. 약을 삼키는 사람들: 멕티잔과 지스로맥스 기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등장한 과학적 주권과 약물화_ 아리 샘스키
7. 약물기술과 생물학적 시민권 관리: 칠레 사례를 바탕으로_ 코트니 A. 커스버트슨
8. 2부를 되돌아보며: 진행 중인 약물체제의 구성_ 매튜 E. 아치볼드
3부 유전학/유전체학
9. 생의료화와 새로운 인종 과학_ 캐서린 블리스
10. 인종적 운명인가, 인종적 재주인가?: 유전체학의 전 세계적인 확산과 정치적 활용_ 루하 벤자민
11. 유전화 이면을 보다: 인식가능성의 레짐과 사회적 건강 결정요인_ 사라 쇼스탁, 마고 모인스터
12. 3부를 되돌아보며: 매력적인 유전자_ 데이비드 K. 해취
에필로그: 정의를 위해 의료화된 세계를 지도화하기_ 수잔 M. 레버비
저자 약력
미주
참고 문헌
Author
수잔 E. 벨,앤 E. 피거트,이새롬
보든 대학에서 A. 마이릭 명예 교수/사회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회학과와 인류학과 학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체화된 지식 및 여성 건강 정치의 변화DES Daughters: Embodied Knowledge and the Transformation of Women’s Health Politics』(Temple, 2009)가 있다. 알란 래들리와 함께 논문 『예술, 질병, 질환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식Another Way of Knowing: Art, Disease, and Illness Experience』을 발표했다.
보든 대학에서 A. 마이릭 명예 교수/사회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회학과와 인류학과 학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체화된 지식 및 여성 건강 정치의 변화DES Daughters: Embodied Knowledge and the Transformation of Women’s Health Politics』(Temple, 2009)가 있다. 알란 래들리와 함께 논문 『예술, 질병, 질환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식Another Way of Knowing: Art, Disease, and Illness Experience』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