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노자와 니체를 비판적으로 재해석하면서 자신만의 포스트-근대 철학의 경지를 개척했던 질 들뢰즈의 행동학이 제안하는 ‘되기devenir’ 개념에 착안하여 페미니즘적 입장에서 그 실천적 의의를 규명해낸 페미니즘 철학서 한 권이 출현했다. 『여성-되기: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이라는 제목의 이 책은 ‘되기’ 개념의 윤리적 의미와 정치적 함의를 샅샅이 살필 뿐 아니라, 그것이 페미니즘 주체화와 교차하는 위치를 조명함으로써 동시대 페미니즘을 여성만의 운동이 아닌 연대의 정치운동으로 제시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그것은 차이를 역량으로 삼고 체현성에 기반을 둔 새로운 집합적 여성 주체의 가능성을 탐구한 로지 브라이도티의 논의까지를 통과한 결과이다. 페미니즘 철학을 철학의 여러 분과 중 하나로나 간주하는 척박한 풍토에서 페미니즘 철학이 단지 안티의 수준을 넘어 세계를 새롭게 인식하고 새로운 세계를 발명할 인식의 무기로 등장하게 될 가능성을 보여 주는 값진 성과이다. 게다가 학술서이면서도 지루하지 않다.
Contents
시작하기 전에
일러두기
들어가며
PART 1/ 행동학의 이론적 의미
1장/ 차이와 윤리학
강도적 차이와 인간 중심주의 비판
윤리학과 도덕 비판
좋음과 나쁨을 다루는 윤리학
2장/ 행동학: 능력 이론으로서의 윤리학
변용과 변용 능력
존재하려는 노력으로서의 능동적 변용 능력과 정동
행동학: 신체와 능력 이론인 윤리학
PART 2/ 행동학의 실천적 의미로서의 되기와 페미니즘
1장/ 행동학과 되기
정동과 되기
되기의 특징과 되기의 블럭
동물-되기, 소수적인 것-되기
되기와 행동학의 실천적 의미
2장/ 되기와 페미니즘
되기와 여성-되기
되기와 여성 주체
3장/ 페미니즘과 긍정의 윤리학
긍정의 윤리학과 페미니즘
긍정의 윤리학으로서 페미니즘, 그리고 차이와 공동체
나가며
참고문헌
감사의 글
Author
김은주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헤겔에서 인간존재의 자기실현과 노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같은 대학 철학과에서 「여성주의와 긍정의 윤리학: 들뢰즈의 행동학을 기반으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트랜스포지션』(2011)을 공동 번역했고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2017)를 공동 저술했다. 「에토스로서의 윤리학과 정동」 「젠더 트러블을 넘어 되기로서의 젠더로」 「들뢰즈의 신체 개념과 브라이도티의 여성 주체」 「시각 기술의 권력과 ‘신체 없는 기관’으로서의 신체 이미지」 「‘여성혐오’ 이후의 여성주의의 주체화 전략: 혐오의 모방과 혼종적 주체성」 등의 논문을 썼다. 가장 큰 관심사는 윤리학이며, 지금은 포스트휴먼의 신체와 젠더의 관계를 공부한다.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여성 철학자들의 책을 읽는 세미나에서 토론하고 배우면서 살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헤겔에서 인간존재의 자기실현과 노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같은 대학 철학과에서 「여성주의와 긍정의 윤리학: 들뢰즈의 행동학을 기반으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트랜스포지션』(2011)을 공동 번역했고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2017)를 공동 저술했다. 「에토스로서의 윤리학과 정동」 「젠더 트러블을 넘어 되기로서의 젠더로」 「들뢰즈의 신체 개념과 브라이도티의 여성 주체」 「시각 기술의 권력과 ‘신체 없는 기관’으로서의 신체 이미지」 「‘여성혐오’ 이후의 여성주의의 주체화 전략: 혐오의 모방과 혼종적 주체성」 등의 논문을 썼다. 가장 큰 관심사는 윤리학이며, 지금은 포스트휴먼의 신체와 젠더의 관계를 공부한다.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여성 철학자들의 책을 읽는 세미나에서 토론하고 배우면서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