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충격적이다. 문화 속에 스며든 막시즘(Marxism)이 미국사회를 거의 점령했다고 증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용한 전파, 강력한 파급력을 가졌음에도 이것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주변에 별로 없다는 점이다. 한국사회 곳곳에 이 시꺼먼 먹구름이 밀려오고 있다.
더욱이 오늘날 ‘나쁜’ 차별금지법, 동성애, 성소수자의 성해방, 퀴어 퍼레이드, 젠더 이데올로기, 급진 페미니즘 등 서구풍조가 급속히 밀려와 이것이 ‘문화’라는 미명하에 청소년, 청년대학생, 30~40대 직장인들에 가까이 밀착하고 있는 바 그 저의가 무엇인지를 속속히 알려준다. 막스 추종자들이 혁명 이론을 변형하여 문화를 통해 조용하게 문화계, 종교계(특히 기독교회), 각 기관들을 장악하기 위해 유럽의 전통문화와 기독교 문화가 뿌리 내리고 있는 것이 혁명 실패의 원인인 것을 알고서 이것을 파괴하고 새로운 사고를 주입하는 것이 혁명에 성공하는 확실한 방법이라 생각했다. 그 새로운 전략이 ‘문화 막시즘’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반하는 사상이므로, 한국교회에 이 사악한 위험성을 알려서 일깨우기 위해 펴낸 다큐책이다.
Contents
추천사/ 프롤로그/ 역자의 글/ 내레이션
1. 문화 막시즘으로도 알려진 정치적 올바름
2. 프랑크푸르트학파
3. 비판 이론
4. 사회주의
5. 제너럴 웰페어
6. 남녀 양성 성
7. 빵과 서커스
8. 무에서 돈을 창조
9. 무력의 행사
10. 부정적인 영향력
11. 정치적 올바름만 전파하는 영화와 미디어
12. 공화국을 회복하는 일
에필로그/ 부록
Author
론 폴,테드 베어,패트릭 J. 뷰캐넌,에드윈 비에이라,에드워드 그리핀,김승규,오태용
1935년 미국에서 태어나 게티스버그대학에서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듀크대학에서 의학박사를 취득했다. 본업은 산부인과 의사였으나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리처드 닉슨의 금본위제도 포기선언이 계기가 되어 1974년에 정치에 입문하여 2013년까지 텍사스 주 하원의원을 지냈다. 2008년과 2012년에 공화당 대통령 경선 후보였으며, 미국 《뉴욕타임스》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으로 뽑히기도 하였다. 현재는 자유주의를 알리기 위한 다양한 사회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The Revolution: A Manifesto? (2008)》와 《Liberty Defined(2012)》, 《The School Revolution: A new answer for our broken Education System(2013)》, 《The Case For Gold(1982)》 등이 있다.
1935년 미국에서 태어나 게티스버그대학에서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듀크대학에서 의학박사를 취득했다. 본업은 산부인과 의사였으나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리처드 닉슨의 금본위제도 포기선언이 계기가 되어 1974년에 정치에 입문하여 2013년까지 텍사스 주 하원의원을 지냈다. 2008년과 2012년에 공화당 대통령 경선 후보였으며, 미국 《뉴욕타임스》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으로 뽑히기도 하였다. 현재는 자유주의를 알리기 위한 다양한 사회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The Revolution: A Manifesto? (2008)》와 《Liberty Defined(2012)》, 《The School Revolution: A new answer for our broken Education System(2013)》, 《The Case For Gold(198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