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는 언제부터 개인의 ‘최후 수단’과 동의어가 되었을까? 1765년까지도 노예제도를 비판하는 목소리는 극히 드물었다. 그렇다면 인권은 언제, 어떤 계기로 부상했을까? 프랑스 혁명이 권리 사상에 미친 중대한 사실은 뭘까? 오늘날 신자유주의로 이어지는 자유주의 경제학 창시자 케네와 중농주의자들이 자연권을 강력하게 옹호하고 사회경제적 권리를 주장하면서 인권 선언문에 영향을 끼친 사실을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이 책은 그동안 제기돼왔던 권리 이야기를 새로운 차원으로 이끈다. 또 서구의 오랜 정치 사상과 철학, 문화, 종교의 역사를 인권이라는 렌즈로 보게 한다. 미국의 독립혁명, 프랑스 계몽주의, 영국의 정치사, 자연법 이론, 신스콜라주의, 위그노 저항이론, 중세 후기 공의회우위설, 로마법에 이르기까지 인권의 뿌리가 어떻게 서구문화와 지적 역사에 새겨져 있는지 추적하고, 오늘날 각국의 헌법과 정치 영역에까지 획기적으로 영향을 끼친 근대 초 권리 이야기를 웅장한 한 편의 파노라마처럼 흥미진진하게 그려낸다.
Contents
서론 근대 초기의 유럽인들은 어떻게 권리를 사유했는가? 1. 권리는 어떻게 ‘권리’가 되었는가?
2. 지각 변동과 구조상의 변화, 문화 변동을 가져온 두 모델
3. 자연법 혁명? 객관적 권리에서 주관적 권리로, 다시 객관적 권리로
4. 권리와 주권, 국가를 넘어
5. 권리의 양도와 양도 불가능성
6. 로마법, 렉스 레지아, 그리고 권리체제의 계보
7. 디지털 시대에 지성사 쓰기
1부 근대 초기의 권리체제
1장 권리는 언제 ‘권리’가 되었는가? 종교전쟁에서 계몽주의 여명기까지
1. 군주제 반대와 폭군 살해, 프랑스 종교전쟁과 자연권
2. 영국의 자유와 자연권, 영국 내전과 수평파 논쟁
3. 축소되는 자연권, 홉스와 고교회파
4. 위임했지만 검증한다? 권리양도체제, 스피노자에서 로크까지
바뤼흐 스피노자 / 제임스 크래퍼드 / 존 로크 / 매튜 틴달
5. 계몽주의 속으로, ‘카토’와 허치슨
2장 프랑스 계몽주의와 자연권, 자유주의에서 자유로
1. 프랑스 자연법 이론의 배경, 1700-1750
철학자와 계몽주의 철학자, 권리 이야기의 변증법적 대결
프랑스의 계몽주의와 로크의 ‘통치론’
18세기 자연권과 번역물
2. 자연권과 중농학파
경제이론보다 정치사상, 프랑수아 케네 / 자연권을 확장시킨 중농학파
3. 계몽주의와 자연권 이야기
4. 유화적인 보수의 반응
5. 국민의 권리와 입헌주의, 폭정에 저항하다
2부 사회적 자연주의
3장 신스토아 철학과 과학에서의 자연법칙 1. 스토아 철학의 수용
자연에 따라 사는 것, 자연법과 스토아 철학 그리고 도덕적 담론
계몽주의와 신스토아 철학, 다시 한번 감성으로
2. 자연계의 법칙, 새로운 과학
4장 자유시장 이데올로기에서 노예제도 폐지까지
1. 얀센파와 자본주의 정신, 장 도마와 자연 질서, 자유시장 이데올로기의 기원
2. 인권의 확장, 노예제도와 공감
공감과 인권, 그리고 루소, 스미스, 린 헌트
몽테스키외, 노예제도, 그리고 로마법
《백과전서》와 노예제도
중농학파와 노예폐지론
3. 결론
3부 권리와 혁명
5장 자연적 입헌주의와 미국의 권리
1. 보스턴과 로크, 자연권(1715-64)
대각성 운동 / 럼주 밀매와 자연권 / 전쟁의 대가와 권리 주장, 제임스 오티스
2. 블랙스턴과 영국 보통법
3. 자연권과 혁명
4. 권리 선언문, 자연법에서 다시 영국 보통법으로
6장 프랑스의 혁명적 권리, 자연에서 국민으로
1. 누구의 권리인가?, 삼부회 청원서와 권리 이야기
2. 국민 의회에서 벌어진 권리 논쟁
3. 프랑스 인권 선언문의 법적 정신
4. 권리의 충돌
5. 결론
7장 보편적 세계인권선언문, 1789-1948
1. 가톨릭교회와 자연법, 그리고 인권
2. 여러 국가의 헌법에서 국제 선언문으로
아이티와 중남미 국가의 헌법과 권리
19세기 유럽의 입헌주의
사회경제적 권리
법률가와 연맹, 세계인권선언문
3. 고고학적 세계인권선언문
감사의 글
주석 및 참고문헌
인권역사에 관한 참고 문헌
찾아보기
옮긴이의 글
Author
댄 에델스타인,정원순
스탠퍼드 대학의 William H. Bonsall 프랑스어 교수이자 역사와 정치학 교수이며, 서구의 지적 역사에서 18세기 역사가로 높이 평가받는다. 18세기 계몽주의 문학과 철학, 정치, 문화를 가르치고 이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책을 썼다. 『자연권에 대한 공포The Terror of Natural Right』, 『계몽주의 계보학The Enlightenment: A Genealogy』 등 세 권의 책을 썼고, 『권력과 시간Power and Time』을 포함하여 여섯 권의 책을 공동으로 출간했다.
스탠퍼드 대학의 William H. Bonsall 프랑스어 교수이자 역사와 정치학 교수이며, 서구의 지적 역사에서 18세기 역사가로 높이 평가받는다. 18세기 계몽주의 문학과 철학, 정치, 문화를 가르치고 이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책을 썼다. 『자연권에 대한 공포The Terror of Natural Right』, 『계몽주의 계보학The Enlightenment: A Genealogy』 등 세 권의 책을 썼고, 『권력과 시간Power and Time』을 포함하여 여섯 권의 책을 공동으로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