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북한지역에서 천주교회사가 어떻게 전개되어왔는지를 소개한다. 특히 한국전쟁 이후 단절되었던 북한천주교회가 1980년대부터 재개된 과정, 그리고 이후의 역사를 상세히 살피고 있다. 이를 통해 저자는 북한천주교회에 대한 우리의 편견이 개선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Contents
서론
1장 일제 강점기 북한 지역의 가톨릭교회
1. 북한 지역 가톨릭교회의 교구 설립
1.1 일제 강점기 이전 북한 지역 가톨릭교회의 전래
1.2 북한 지역 가톨릭교회의 성장과 교구 설립
가. 원산교구 설립
나. 평양교구 설립
다. 연길교구 설립
2. 일제의 종교정책과 한국 가톨릭교회
2.1 일제의 종교정책과 가톨릭교회
가. ‘사립학교규칙 개정’과 가톨교회의 대응
나. ‘포교규칙’ 시행과 가톨교회의 대응
다. 전시체제와 가톨릭교회의 입장
2.2 북한 지역 가톨릭교회의 항일운동
2.3 항일운동에 대한 가톨릭교회 성직자들의 반응
3. 일제 강점기 공산주의 유입과 가톨릭교회
3.1 볼셰비키혁명과 가톨릭교회
3.2 일제 강점기 한국 가톨릭교회와 공산주의
가. 한국 공산주의 운동의 국내 유입
나. 한국 가톨릭교회의 반공주의
2장. 북한 정권 수립과 가톨릭교회
1. 소련군 점령과 북한 가톨릭교회
1.1 소련 군정의 종교정책
1.2 북한 정권의 종교정책과 가톨릭교회 대응 5
가. 이중적인 종교정책
나. 가톨릭교회의 대응
1.3 북한 정권의 민주개혁과 가톨릭교회의 대응
가. 민주개혁 조치와 가톨릭교회의 피해
나. 가톨릭교회의 대응
2. 북한 정권 수립과 가톨릭교회
2.1 덕원수도원 폐쇄
2.2 함흥교구 박해
2.3 홍용호 주교 피랍과 평양교구 박해
3. 한국전쟁과 가톨릭교회
3.1 한국 전쟁 시 가톨릭교회의 피해
가. 북한 지역 가톨릭교회의 피해
나. 남한 지역 가톨릭교회의 피해
다. 죽음의 행진과 생환
3.2 가톨릭교회의 대응
3.3 한국 전쟁 후 북한 가톨릭교회
3장. 북한 가톨릭교회의 재출현
1. 북한 가톨릭교회 재출현의 내부적 배경
1.1 북한 내 정치·사상적 배경
가. 김일성의 종교체험과 연관성
나. 주체사상에 입각한 종교 재해석
다. 김정일의 실용적 종교정책
2. 북한 가톨릭교회 재출현의 외부적 배경
2.1 해외 종교인들 방북
가. 개신교의 접촉과 방북
나. 고종옥 마태오 신부 방북
2.2 바티칸의 접촉과 대표단 방북
가. 비공식 채널에 의한 접촉
나. 바티칸 대표단 파견
다. 바티칸의 북한 신자 초청
3. 북한 가톨릭교회의 재출현
3.1 조선카톨릭교협회 결성
가. 조선카톨릭교협회 결성 과정
나. 활동
⑴ 대내 활동
⑵ 대외 활동
3.2 장충성당 건립과 신앙생활
가. 장충성당 건립 과정
나. 구조와 형태
다. 장충성당의 신자현황과 신앙생활
라. 장충성당에서의 미사 봉헌
⑴ 장충성당 첫 미사 봉헌
⑵ 재미 교포 사제들의 미사
⑶ 문규현 신부의 두 차례 미사 봉헌
⑷ 주교들의 방북과 미사
결론
표 목차
<표 1> 1950년 6월 24일과 이후 북한에서 체포된 신부들과 그 후의 행적
<표 2> 천주교 신자 찾기 사업의 진전 상황
Author
김연수
1996년 조선대학교 불어불문과 졸업
1998년 예수회 입회
2003년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철학석사
2008년 호주 멜버른 신학교 신학석사
2008년 사제서품
2013년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2018년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
(주제: 북한 가톨릭교회의 역사적 변천 연구)
2013년부터 현재까지 예수회 민족화해위원회 위원장
1996년 조선대학교 불어불문과 졸업
1998년 예수회 입회
2003년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철학석사
2008년 호주 멜버른 신학교 신학석사
2008년 사제서품
2013년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2018년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
(주제: 북한 가톨릭교회의 역사적 변천 연구)
2013년부터 현재까지 예수회 민족화해위원회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