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파명리 간지오의

사주명리중의 맹파명리학 철학적 이야기
$38.88
SKU
979119629380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2/15
Pages/Weight/Size 150*225*30mm
ISBN 9791196293802
Categories 종교 > 역학/사주
Description
형(形)과 기(氣)에 대하여
명리의 본질은 인생을 표하는데 있다. 맹파명리는 바로 이러한 인생의 표술을 잘 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고, 개개인이 스스로 명리의 개념을 깨닫고 논리를 이끌어 내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책에 서술되어 있는 형과 기, 체와 용, 간지허실, 십신과 육친, 십간과 십이지지의 활용, 천과 파, 지지의 묘 등은 기존의 명리와 다른 맹파명리만의 특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명리 초보자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명리를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시원한 청량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부터 살펴볼 주제는 형(形)과 기(氣)이다. 무엇이 형(形)이며 무엇이 기(氣)인가? 간단하게 말하자면, 형(形)은 실(實)한 것이고, 기(氣)는 허(虛)한 것이다. 우리가 앞에서 살펴보았던 음양오행(陰陽五行)이 곧 기(氣)인데, 만일 그것을 오질(五質)이라고 이해한다면 金, 木, 水, 火, 土 다섯 종류의 물질이 곧 형(形)이다. 오행을 형(形)과 기(氣)로 나누어보면, 우리가 동서(東西) 동서를 잡는다는 것은 卯와 酉를 잡는다는 것이다. 卯와 酉는 형체가 있는 형(形)을 나타내는 관계로 우리는 木과 金의 조합에서 은행의 상을 유추해 내었다. 를 잡는다고는 말하지만 남북(南北)을 잡는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동서(東西)는 목(木)과 금(金)이므로 형체가 있어 잡을 수 있지만, 남북은 화(火)와 수(水)로 형체가 없어 잡을 수 없으므로 그것을 기(氣)라 한다.

오행(五行)을 간단하게 분류한다면, 금목(金木)은 형(形)이 되고, 수화(水火)는 기(氣)가 되며, 토(土) 또한 형(形)의 범주에 속한다. 형(形)과 기(氣)를 나누는 것은 어떤 뜻이 있는가? 그 의의가 아주 큰데, 우리 인류의 진화사(進化史)는 곧 형(形)이 기(氣)로 화(化)하는 역사인 것이다. 형(形)과 기(氣)로 인명(人命)의 고저(高低)를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형(形)이 왕(旺)한 사람은 주로 체격이 건성(健盛)하고, 기(氣)가 왕(旺)한 사람은 주로 지혜가 일반 사람들을 뛰어넘는다. 형(形)을 쓰는 사람은 대부분 물질을 향수(享受)하는 것을 기뻐하고, 기(氣)를 쓰는 사람은 정신생활을 추구한다. 화(火)의 기는 감성적인 사유(思惟)로 치우치고, 수(水)의 기는 이성적인 사유로 치우친다.

형(形)과 기(氣)로 인명(人命)의 고저(高低)를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형(形)이 왕(旺)한 사람은 주로 체격이 건성(健盛)하고, 기(氣)가 왕(旺)한 사람은 주로 지혜가 일반 사람들을 뛰어넘는다. 형(形)을 쓰는 사람은 대부분 물질을 향수(享受)하는 것을 기뻐하고, 기(氣)를 쓰는 사람은 정신생활을 추구한다. 화(火)의 기는 감성적인 사유(思惟)로 치우치고, 수(水)의 기는 이성적인 사유로 치우친다.
Contents
서언(序言)? ------------------------------8
역자서문 -------------------------------14

1부 맹파명리의 철학적 원리
?
제 1절: 천도(天道)의 깨우침----------------18
제 2절: 음양의 도--------------------------27
제 3절: 음양의 상의(象義)? -----------------35
제 4절: 오행의 상의(象義)? -----------------44
제 5절: 오행의 생극(生剋)? -----------------52
제 6절: 형(形)과 기(氣) --------------------58
제 7절: 체(體)와 용(用)------------- -------66
제 8절: 명리의 이치 -----------------------74
제 9절: 은성인과(隱性因果) ----------------82
제 10절: 십간(十干)의 위치 ----------------91
제 11절: 간지(干支)의 성질-----------------100
제 12절: 천간(天干) 오합(五合)의 상의(象義) -109
제 13절: 십신(十神)의 석의(釋義) -----------118
제 14절: 십신(十神)의 사회적 의미 ----------131
제 15절: 십신(十神)과 육친(六親)------------139
제 16절: 사주(四柱)의 궁위(宮位)------------147

2부 맹파명리의? 실전응용
?제 17절: 십천간(十天干)의 갑(甲)------------156
제 18절: 십천간(十天干)의 을(乙)------------164
제 19절: 십천간(十天干)의 병(丙)------------173
제 20절: 십천간(十天干)의 정(丁)------------182
제 21절: 십천간(十天干)의 무(戊)------------191
제 22절: 십천간(十天干)의 기(己)------------200
제 23절: 십천간(十天干)의 경(庚)------------209
제 24절: 십천간(十天干)의 신(辛)------------217
제 25절: 십천간(十天干)의 임(壬)------------227
제 26절: 십천간(十天干)의 계(癸)------------237
제 27절: 간지(干支)의 관계-----------------247
제 28절: 오행(五行)의 생사(生死)1----------254
제 29절: 오행(五行)의 생사(生死)2----------260
제 30절: 지지(地支)의 둔장(遁藏)-----------266
제 31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6합(合)------272
제 32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6충(?)------280
제 33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6천(穿)------286
제 34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삼합극(三合局)-293
제 35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형파(刑破)----298
제 36절: 지지(地支)의 묘(墓)----------------303
제 37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자(子)--------310
제 38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축(丑)--------317
제 39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인(寅)--------324
제 40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묘(卯)--------332
제 41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진(辰)--------339
제 42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사(巳)--------347
제 43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오(午)--------354
제 44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미(未)--------361
제 45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신(申)--------368
제 46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유(酉)--------375
제 47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술(戌)--------381
제 48절: 십이지지(十二地支)의 해(亥)--------388
제 49절: 간지(干支)의 허실(虛實) 관계-------395
제 50절: 간지(干支)의 자합(自合)------------401????
Author
단건업,박형규
맹파명리 창시인으로 『맹파명리』, 『명리진보』, 『단씨이상학』, 『간지오의』, 『직업상법신해』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포르,미국,캐나다, 이탈리아 등 10여국에서 많은 제자들이 맹파명리를 공부하고 있다.
맹파명리 창시인으로 『맹파명리』, 『명리진보』, 『단씨이상학』, 『간지오의』, 『직업상법신해』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포르,미국,캐나다, 이탈리아 등 10여국에서 많은 제자들이 맹파명리를 공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