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이 숨쉰다

$14.04
SKU
979119606411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9/27
Pages/Weight/Size 138*210*20mm
ISBN 9791196064112
Categories 사회 정치 > 생태/환경
Description
희망제작소와 완주군이 손을 잡고 만든 전국 최초의 중간지원조직,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이야기. 전국 최초라는 이름표를 달고 계속 앞으로만 돌진했던 저자가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시간으로 저자는 처음으로 일을 시작할 때의 심정과 경험을 되묻고 곱씹어 그 깨달음을 글로 옮긴다. 그러면서 중간지원조직 운영과 공동체 사업을 위한 팁을 제공하려 한다. 더불어 새롭게 발견한 지역에 대한 어렴풋한 희망도 담았다.
Contents
| 추천의 말 1 | 처음 가는 사람의 길은 그대로 길이 된다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_5
| 추천의 말 2 | 그럴 수밖에 없었다
(임경수 전주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장) _7
| 저자의 말 | 함께, 우리, 마을, 희망, 공동체 _9

1장 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설명서 _15

1 외부 전문가의 도깨비방망이 17
2 커뮤니티비즈니스란? 22
3 중간지원조직이란? 27
4 왜 완주로, 완주에서 무엇을 33

2장 중간지원조직 체험기 (1) : 출발과 전개 _43
1 중간에 없는 중간지원조직 45
2 공무원과 민간인 사이 50
3 행정기관과 중간지원조직 55

3장 중간지원조직 체험기 (2) : 정체성 찾기 _61
1 독립과 자유 63
2 정치적 중립이라는 덫 68
3 군수와의 핫라인 73
4 중간지원조직의 정체성 77

4장 마을공동체의 생명력 _83
1 마을에 떨어진 횡재, 마을사업 85
2 노인들만 하는 사업, 마을의 미래는 90
3 마을공동체와 사업 사이 95
4 마을공동체 사업의 속사정 99
5 민원인과 빠꼼이 사이 103
6 마을사업 10년 후 108

5장 공모지원 사업의 안과 밖 _115
1 함께 행복하기 위한 공모지원 사업 117
2 인간적인 심사 과정 122
3 교육 기획자의 역할 129
4 서류로 말하는 사업의 한계 135
5 마을을 위한 공모지원 사업 141
6 마을 사이의 연대 146

6장 새로 배우는 공동체 _151
1 숟가락 ① : 몸으로 배우는 공동체 153
2 숟가락 ② : 행복하려고 모였다 159
3 숟가락 ③ : 공동체 유지 비결 164
4 숟가락 ④ : 끝없는 형평성의 딜레마 169
5 고산향 : 지원금보다 사람, 사업보다 공론의 장 174
6 딸기축제 : 다시, 왜 공동체인가 179
7 꽁냥마켓 : 시시한 만남에서 시작된다 185
8 완두콩 : 그곳에 돈이 굴러들어온다 189
Author
유영미
서울에서 태어났다. 동덕여대 아동학과를 졸업하고 성공회대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첫 공동체 경험은 동대문 창신동이었다. 2006년 여성노동복지터’에서 미싱을 밟던 어머니들과 ‘수다공방’을 만들었다. 2007년부터 일했던 희망제작소를 통해 ‘지역이 뿌리’라는 것을 배우고 완주로 귀촌한 지 8년째다. 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사무국장으로 일하면서 공동체를 지원하는 일을 하다가 ‘숟가락 육아공동체’를 함께하는 지금 그동안 머리로 배워 온 공동체를 몸으로 체험하며 서서히 땅에 발을 디뎌가는 중이다.
서울에서 태어났다. 동덕여대 아동학과를 졸업하고 성공회대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첫 공동체 경험은 동대문 창신동이었다. 2006년 여성노동복지터’에서 미싱을 밟던 어머니들과 ‘수다공방’을 만들었다. 2007년부터 일했던 희망제작소를 통해 ‘지역이 뿌리’라는 것을 배우고 완주로 귀촌한 지 8년째다. 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사무국장으로 일하면서 공동체를 지원하는 일을 하다가 ‘숟가락 육아공동체’를 함께하는 지금 그동안 머리로 배워 온 공동체를 몸으로 체험하며 서서히 땅에 발을 디뎌가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