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하게 남겨진 라캉의 임상현장 다큐멘터리 기록물이 처음으로 소개된다는 점에서도 소중한 의미를 지닐 뿐 아니라, 일본의 라캉주의 정신분석가이자 현역 의사인 고바야시 요시키의 친절하고 소상한 해설을 통해 난해한 말들만 늘어놓는 엘리트적 우월의식을 지닌 사상가의 이미지로 존재했던 라캉은 오해의 그늘에서 벗어나 환자가 하는 말에 주목하고 그 삶을 다루는 임상의 현장을 한순간도 벗어난 적이 없는 치열한 정신분석 실천가로서의 본연의 모습을 되찾게 된다.
이 책의 근간은 어디까지나 라캉의 환자와의 대화 기록이다. 1976년 2월, 정신과 의사이자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은 파리의 생탄 병원에서 환자 제라르Gerard Lucas와 대화했다. 약 한 시간에 걸쳐 이루어진 이 대화는 이른바 라캉이 독자적으로 창안한 ‘단시간 세션-짧고 가변적인 상담’의 방식에 따라 진행된 것으로 주류 정신분석학계로부터 라캉이 파문되기에 이른 계기가 되기도 한 것이어서 그 자체로 흥미진진할 뿐 아니라, 라캉이 행한 정신분석 임상의 구체적인 절차는 물론 자폐증과 현대의 경증 정신병(이른바 보통정신병)이 어떻게 다른지를 라캉주의 정신분석의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토대가 된다.
Contents
추천의 글│백상현
옮긴이의 말
프롤로그
제1막 대화편 : 라캉과 환자의 대화
1 환자 제라르의 내력
2 대화 기록
제2막 이론편 :
1 거울 단계
2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거세
3 아버지의 이름의 배제, 팔루스 기능의 배제
4 보로메우스 이론, 아버지의 이름의 결여 / 팔루스 기능의 결여
5 내성형 정신병과 비내성형 정신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