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장백잠蔣伯潛(1892~1956)의 《십삼경개론十三經槪論》 가운데 서론緖論을 번역한 것이다. 경經은 학문의 출발점이며, 학문의 역사는 경經 해석의 역사다. 경은 본래 서적의 일반 명칭이었으나, 후대에 경을 높여 특별히 하나의 부류로 만들었다. 유가사상儒家思想이 중국문화, 더 나아가 동아시아문화의 주류를 이루었기 때문에, ‘경’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유가사상의 기본전적을 가리킨다. 따라서 경을 읽지 않으면 유가사상을 이해할 수 없고, 유가사상을 이해하지 못하면 중국문화와 동아시아문화를 이해할 수 없다.
중국과 일본에서 십삼경 관련 개설서가 여러 종 출판되었으나, 장백잠의 이 책만큼 간략하면서도 체계적인 책은 없다. 또한 이 책은 현대시각으로 연구하고, 금문경학今文經學이나 고문경학古文經學에 치우치지 않고 공평한 시각으로 논하였다는 평을 받는다. 경학에 필요한 지식과 경학의 흐름은 물론 지금까지 논란이 그치지 않는 금고문경학논쟁今古文經學論爭에 대한 큰 줄기를 파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Contents
01 경經과 십삼경十三經
1. 목록은 특별히 경부經部를 위하여 세운 것이다
2. 경經의 의미
3. 육경六經과 육예六藝
4. 육경六經의 쓰임
5. 육경六經에서 《악樂》이 없어지다
6. 공자孔子와 오경五經
7. 육경六經은 전적으로 유가儒家에만 예속하지 않는다
8. 십삼경十三經의 완성
02 경학략사經學略史
1. 도道를 전하고 경經을 전한 공자 문하의 두 파派
2. 진秦 시황始皇의 분서焚書
3. 서한시대西漢時代, 경經을 전수함이 성대해지다
4. 서한시대西漢時代 경학經學의 특징
5. 고문경古文經의 발견
6. 동한東漢 시기 금고문今古文의 분쟁과 혼합
7. 동한시대東漢時代 경학의 특징
8. 위진魏晉시대의 경학
9. 경학 쇠락의 인因과 연緣
10. 육조六朝시대부터 오대십국五代十國시대까지의 경학
11. 송宋나라 시대의 경학
12. 역대歷代의 석경石經
13. 청淸나라 시대 경학의 부흥
03 금문경학과 고문경학을 서술하고 평론하다
1. 금문今文과 고문古文의 분별
2. 사실事實을 바탕으로 금문경과 고문경을 비평하다
3. 주장主張을 바탕으로 금문경과 고문경을 비평하다
4. 후대에 끼친 영향을 바탕으로 금문경과 고문경을 비평하다
●부록: 금고문학파대조표
●옮긴이의 말
Author
장백잠,전병수
본명은 기룡起龍·윤경尹耕이고, 백잠伯潛은 자字다. 중국 절강성浙江省 부양현富陽縣(지금의 대원진大源鎭) 사람으로, 어려서부터 부친에게 사서四書 등을 배웠다. 1915년 북경고등사범학교北京高等師範學校 국문계國文系에 입학하여 전현동錢玄同, 호적胡適, 노신魯迅 등 명사들에게 훈도熏陶를 받았고, 상해上海 대복대학大復大學·상해시립사범전과학교上海市立師範專科學校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십삼경개론》, 《경여경학經與經學》, 《경학찬요經學纂要》, 《제자학찬요諸子學纂要》, 《제자통고諸子通考》, 《교수목록학校讐目錄學》 등 훌륭한 저술을 남겼다.
본명은 기룡起龍·윤경尹耕이고, 백잠伯潛은 자字다. 중국 절강성浙江省 부양현富陽縣(지금의 대원진大源鎭) 사람으로, 어려서부터 부친에게 사서四書 등을 배웠다. 1915년 북경고등사범학교北京高等師範學校 국문계國文系에 입학하여 전현동錢玄同, 호적胡適, 노신魯迅 등 명사들에게 훈도熏陶를 받았고, 상해上海 대복대학大復大學·상해시립사범전과학교上海市立師範專科學校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십삼경개론》, 《경여경학經與經學》, 《경학찬요經學纂要》, 《제자학찬요諸子學纂要》, 《제자통고諸子通考》, 《교수목록학校讐目錄學》 등 훌륭한 저술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