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풂의 즐거움

고대의 현자 세네카가 들려주는 불행한 시대를 이기는 방법
$19.44
SKU
979119516385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5/03/12
Pages/Weight/Size 150*217*20mm
ISBN 9791195163854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베풂에 관한 고대 서양인의 사유를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결정판

국내 최초로 한국어로 번역된 이 책은 고대 로마의 대표적 철학자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의 후기 저작으로 사람살이의 가장 중요한 행위인 은혜에 대한 모든 것을 냉철한 논리와 지혜로운 눈으로 풀어 놓은 책이다.

이 책의 원제는 De Beneficiis로 직역을 하면 “은혜에 대하여”로 할 수 있다. “Beneficiis”의 단수 원형은 “Beneficium”으로 영어의 Benefit에 해당한다. 이 말은 은혜, 자선, 친절, 우호, 도움, 특권, 권리, 봉사, 덕 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원문에서도 다양한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어 번역본에서는 다양하고 풍부한 뜻을 살리고자 “베풂”이라는 말을 찾아 『베풂의 즐거움』으로 하였다.

Contents
제1권
1 은혜의 정의 11
2 은혜의 관계 18
3 은혜의 효과 29

제2권
4 은혜의 방법 41
5 은혜의 금기 55
6 은혜의 보답 71

제3권
7 은혜의 배반 89
8 노예의 은혜 107
9 자식의 은혜 119

제4권
10 은혜의 순수 135
11 은혜의 결과 145
12 은혜의 덕성 157
13 은혜의 윤리 172

제5권
14 은혜의 경쟁 187
15 은혜의 투쟁 200
16 은혜의 의무 217

제6권
17 은혜의 불멸 229
18 은혜의 중용 247
19 은혜의 위대 269

제7권
20 은혜의 명예 289
21 은혜의 조건 297
22 은혜의 완성 312

해제 339
옮긴이 소개 383
Author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김혁,오명석,홍석준,안승택
후기 스토아철학 대표 사상가. 로마 제정시대 정치가이면서 웅변가이자 극작가. 히스파니아 코르도바에서 수사학자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로마에서 수사학과 철학을 공부했다. 정통 스토아철학과 피타고라스학파 이론을 융합했던 퀸투스 섹스티우스의 제자들 아래서 철학을 공부했으며, 스토아 철학자 아탈루스에게서 자기 성찰의 태도를 배웠다. 31년에 로마에서 법률가이자 정치가로서의 삶을 시작했으나, 41년에 클라우디우스 황제에 의해 코르시카로 추방당했다. 49년에 네로의 어머니 아그리피나의 부름을 받고 네로의 스승이 되지만, 54년에 황제가 된 네로는 곧 폭군으로 변하여 자기 어머니를 죽이고 세네카의 영향에서도 벗어났다. 62년에 세네카는 공직에서 은퇴했으나, 65년에 네로 암살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자살을 명령받아 생을 마감했다.

세네카는 철학 분야의 저작이 가장 많으나, 자연과학 저작들도 중요하다. 또한 중세에 기독교 사상에도 영향을 끼쳤으며, 단테는 『신곡』에서 그를 ‘도덕적인 세네카’로 묘사했다. 특히 「파이드라」를 쓴 비극 작가로서도 유명하다. 16세기 영국 엘리자베스 시대의 셰익스피어, 크리스토퍼 말로, 그리고 17세기 프랑스의 코르네유, 라신 등의 극작가들에게서도 그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후기 스토아철학 대표 사상가. 로마 제정시대 정치가이면서 웅변가이자 극작가. 히스파니아 코르도바에서 수사학자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로마에서 수사학과 철학을 공부했다. 정통 스토아철학과 피타고라스학파 이론을 융합했던 퀸투스 섹스티우스의 제자들 아래서 철학을 공부했으며, 스토아 철학자 아탈루스에게서 자기 성찰의 태도를 배웠다. 31년에 로마에서 법률가이자 정치가로서의 삶을 시작했으나, 41년에 클라우디우스 황제에 의해 코르시카로 추방당했다. 49년에 네로의 어머니 아그리피나의 부름을 받고 네로의 스승이 되지만, 54년에 황제가 된 네로는 곧 폭군으로 변하여 자기 어머니를 죽이고 세네카의 영향에서도 벗어났다. 62년에 세네카는 공직에서 은퇴했으나, 65년에 네로 암살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자살을 명령받아 생을 마감했다.

세네카는 철학 분야의 저작이 가장 많으나, 자연과학 저작들도 중요하다. 또한 중세에 기독교 사상에도 영향을 끼쳤으며, 단테는 『신곡』에서 그를 ‘도덕적인 세네카’로 묘사했다. 특히 「파이드라」를 쓴 비극 작가로서도 유명하다. 16세기 영국 엘리자베스 시대의 셰익스피어, 크리스토퍼 말로, 그리고 17세기 프랑스의 코르네유, 라신 등의 극작가들에게서도 그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