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

$32.40
SKU
979119464116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10
Pages/Weight/Size 188*257*35mm
ISBN 9791194641162
Categories 대학교재 > 경상계열
Description
본 교재에서는 현재 사회 여러 부문에서 응용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라고 하는 현상을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라는 주제하에 집필하였다. 그리고 각 장의 주제에 대하여 보다 실질적인 적용에 대한 사례를 선정하여 실무적 활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Contents
Part 1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 개요
Chapter 1 디지털 콘텐츠 이해
제1절 디지털 콘텐츠 개념과 구성
제2절 디지털 콘텐츠 분류
제3절 디지털 콘텐츠 가치사슬
제4절 디지털 콘텐츠 제작
Chapter 2 디지털 콘텐츠 산업
제1절 디지털 콘텐츠 산업 개요
제2절 디지털 콘텐츠 산업 동향 및 가치구조
제3절 디지털 콘텐츠 산업 발전 방안
Chapter 3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
제1절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 현황
제2절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 이해
제3절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 사업자
제4절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 주요 성공요인

Part 2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 이해
Chapter 4 디지털 게임 비즈니스
제1절 디지털 게임의 개요
제2절 디지털 게임 비즈니스 단계
제3절 디지털 게임 비즈니스의 주요 트렌드
제4절 주요 디지털 게임 기업 동향
Chapter 5 디지털 방송 비즈니스
제1절 디지털 방송의 개요
제2절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제3절 디지털 방송의 발전 방향
Chapter 6 디지털 영상 비즈니스
제1절 디지털 영상의 개요
제2절 디지털 영상 비즈니스 단계
제3절 디지털 영상 비즈니스의 주요 트렌드
제4절 주요 디지털 영상 기업 동향
Chapter 7 디지털 애니메이션 비즈니스
제1절 디지털 애니메이션 개요
제2절 디지털 애니메이션 비즈니스 단계
제3절 디지털 애니메이션 비즈니스의 주요 트렌드
제4절 주요 디지털 애니메이션 기업 동향
Chapter 8 디지털 음악 비즈니스
제1절 디지털 음악의 개요
제2절 국내외 디지털 음악 시장 동향
제3절 디지털 음악 산업의 변화와 발전 방향
Chapter 9 이러닝 콘텐츠 비즈니스
제1절 이러닝 콘텐츠 비즈니스 개요
제2절 이러닝 콘텐츠 유형
제3절 이러닝 콘텐츠 산업의 구조와 특징
제4절 이러닝 콘텐츠의 발전 방향
Chapter 10 전자책 비즈니스
제1절 전자책 콘텐츠의 개념과 특징
제2절 전자책 콘텐츠 산업 구조
제3절 전자책 콘텐츠의 유형
제4절 전자책 시장의 미래와 발전 방향

Part 3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 응용
Chapter 11 모바일 콘텐츠 비즈니스
제1절 모바일 콘텐츠 개념
제2절 모바일 콘텐츠 특성
제3절 모바일 콘텐츠 분류체계
제4절 모바일 콘텐츠 비즈니스 유형
제5절 모바일 콘텐츠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Chapter 12 모바일 콘텐츠 산업
제1절 모바일 콘텐츠 산업 동향
제2절 모바일 콘텐츠 산업 구조
제3절 모바일 콘텐츠 산업 가치사슬
제4절 모바일 콘텐츠 산업 분류
Chapter 13 디지털 콘텐츠 유통
제1절 디지털 콘텐츠 유통의 이해
제2절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제3절 주요 디지털 콘텐츠 장르별 유통 배급
Author
김대완
한국 중앙대학교에서 경영학박사, 영국 런던대학교(University of London)에서 컴퓨터과학 석사, 영국 런던정경대학교(LSE)에서 전자상거래 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의 경영대학(Harvard Business School: HBS) 객원교수, 미국 MIT의 경영대학(Sloan School of Management) 객원교수, 그리고 영국 런던대학교(University of London)의 컴퓨터 과학 및 정보시스템 대학(School of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Systems)에서 객원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영남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한국디지털융합학회 회장과 (사)한국디지털경영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재)한국디지털융합진흥원 이사장과 (사)한국중소기업협업진흥협회 공동협회장으로 봉사중이다. 현재까지 12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와 해외 저널에 게재하였으며, 27권의 책을 집필 및 출판하였다. 최근에는 미국 Chicago Business Press에서 『Digital Business』(2015년), 영국 Routledge에서 『Managing Convergence in Innovation』(2016년), 한국 도서출판 창명에서 『디지털 경영, 1판』(2017년), 도서출판 청람에서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2018년), 박영사에서 『빅데이터 경영론』(2019년), 도서출판 창명에서 『디지털 경영, 2판』(2020년), 집현재에서 『경영학의 이해』(2021년), 도서출판 창명에서 『디지털 경영, 3판』(2022년), 그리고 박영사에서 『디지털 경영, 4판』(2024년)을 출간하였다.
한국 중앙대학교에서 경영학박사, 영국 런던대학교(University of London)에서 컴퓨터과학 석사, 영국 런던정경대학교(LSE)에서 전자상거래 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의 경영대학(Harvard Business School: HBS) 객원교수, 미국 MIT의 경영대학(Sloan School of Management) 객원교수, 그리고 영국 런던대학교(University of London)의 컴퓨터 과학 및 정보시스템 대학(School of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Systems)에서 객원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영남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한국디지털융합학회 회장과 (사)한국디지털경영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재)한국디지털융합진흥원 이사장과 (사)한국중소기업협업진흥협회 공동협회장으로 봉사중이다. 현재까지 12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와 해외 저널에 게재하였으며, 27권의 책을 집필 및 출판하였다. 최근에는 미국 Chicago Business Press에서 『Digital Business』(2015년), 영국 Routledge에서 『Managing Convergence in Innovation』(2016년), 한국 도서출판 창명에서 『디지털 경영, 1판』(2017년), 도서출판 청람에서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2018년), 박영사에서 『빅데이터 경영론』(2019년), 도서출판 창명에서 『디지털 경영, 2판』(2020년), 집현재에서 『경영학의 이해』(2021년), 도서출판 창명에서 『디지털 경영, 3판』(2022년), 그리고 박영사에서 『디지털 경영, 4판』(2024년)을 출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