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의 한가운데에 살고 있다. 이처럼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는 시기에는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커지고, 혁신적인 기업일수록 직원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성과향상에 더욱 중요해진다. 직원들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생산과 서비스에 적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직원들이 비난의 두려움 없이 자신들의 의견을 제시하고, 실패의 두려움 없이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분위기는 결국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조직에서 조성될 수 있다. 본서는 이처럼 물적자원보다는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민주적인 조직이 증가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판하게 되었다.
정치 영역에서의 민주주의뿐만 아니라 경제?경영 영역에서도 민주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경제?경영 영역에서의 민주주의는 이념적이고 윤리적인 측면보다는 실용적인 의미에서의 민주주의이다. 즉 조직이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서 조직 민주주의가 필요하다. 조직 구성원들의 지식과 기술,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지고 이러한 인적자본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이 충분히 동기부여가 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과거에는 직원들이 단순?반복적으로 일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하려고 하였으나, 점차 직무순환이나 직무충실화 등으로 동기를 부여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요즘에는 직무조정이나 개별 근무조건 협상 등으로 직원들 스스로가 직무를 설계하도록 변하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상사들이 일방적으로 부하직원들의 성과를 평가해왔으나, 점차적으로 부하직원이 상사와 동료들을 평가하는 데에 참여시키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직원들이 자신의 일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인적자원관리 정책에도 참여함으로써 직장이 민주적인 분위기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직원들의 만족과 조직성과가 동시에 증가함으로써 조직의 지속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서는 다양한 민주적인 인적자원관리 정책들을 제시함으로써 조직 민주주의와 직원들의 만족, 조직성과가 동시에 달성될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 나가고자 한다.
Contents
1부 민주적 인적자원관리 이해
1장 인적자원관리 소개
제1절 인적자원관리
제2절 민주적 인적자원관리
제3절 인적자원관리의 기능
제4절 인적자원관리 환경
제5절 인적자원관리의 접근방법
2장 조직 민주주의
제1절 조직 민주주의
제2절 의사결정 참여
제3절 재무 참여
제4절 소유 참여
12장 고참여 인적자원관리
제1절 고참여 인적자원관리의 의미
제2절 고참여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
제3절 고참여 작업시스템의 구성요소
제4절 고참여 작업시스템의 결과
제5절 고참여 인적자원관리가 적합한 상황
13장 민주적 리더십
제1절 리더십의 의미
제2절 리더십의 중요성
제3절 화이트와 리피트의 세 가지 리더십 유형
제4절 독재적 리더십
제5절 민주적 리더십
제6절 공유 리더십
14장 고용관계
제1절 고용관계의 의미
제2절 고용관계의 중요성
제3절 고용관계의 이론적 배경
제4절 고용관계의 주요 당사자
제5절 노동조합
제6절 노동쟁의
제7절 노동조합 몰입도
제8절 노동조합 대표
제9절 노동조합 효과
15장 사회적 경제 및 협동조합
제1절 사회적 경제
제2절 협동조합
제3절 직원협동조합
Author
박노근,김안드레아
고려대학교에서 화학 학사, 경제학 석사, Rutgers University에서 Industrial Relations & Human Resources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8년부터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재직하였으며, 2013년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인사조직 분야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직민주주의, 자율성, 의사결정 참여, 성과급, 그리고 직원협동조합 등이다.
주요 저서로 「조직 민주주의: 참여와 노동자협동조합」, 「Shared capitalism in the U.S. economy」 등이 있고, Journal of Business & Psychology,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등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고려대학교에서 화학 학사, 경제학 석사, Rutgers University에서 Industrial Relations & Human Resources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8년부터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재직하였으며, 2013년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인사조직 분야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직민주주의, 자율성, 의사결정 참여, 성과급, 그리고 직원협동조합 등이다.
주요 저서로 「조직 민주주의: 참여와 노동자협동조합」, 「Shared capitalism in the U.S. economy」 등이 있고, Journal of Business & Psychology,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등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