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도박, 게임, SNS, 음식, 마약…
당신은 지금도 도파민의 속삭임을 듣고 있다
당신의 뇌는 이 모든 유혹을 견딜 준비가 되었는가?
서울대학교 병원 중독 분야 권위자가 말하는
우리가 사로잡힌 중독의 재발견
중독은 단순한 의지력의 문제가 아니다. 알코올, 마약, 도박, 스마트폰, 심지어 음식까지, 다양한 형태의 '사용 장애'는 현대인의 일상을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왜 특정한 것들에 집착하게 될까?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웅구 교수와 박선영, 안유석 교수가 공동 집필한 『도파민의 배신』은 중독을 뇌과학과 사회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며, 우리가 멈출 수 없는 이유를 탐구한다. 특히 한국의 대표적인 1세대 중독 치료 정신과 전문의인 강웅구 교수는 30년 이상 중독 환자들을 치료하며 쌓은 임상 경험과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중독에 대한 가장 과학적이고 현실적인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 책은 중독을 개인의 나약함이 아닌 도파민이 지배하는 뇌의 보상 시스템과 사회적 요인이 결합된 문제로 바라본다. 도파민은 원래 생존을 돕는 필수적인 신경전달물질이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반복적인 자극을 통해 우리의 행동을 조종하고 중독을 유발한다. 단순한 도덕적 판단이 아닌, 뇌과학과 정신의학의 관점에서 중독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발생하는지,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Contents
이 책에 대하여 ─ 4
1장 중독은 어떤 병인가
다정한 치료가 필요하다 ─ 12
어디서부터 중독인가 ─ 15
중독은 어쩌다 병이 되었나 ─ 27
행복과 파멸 사이에 놓인 사람들 ─ 37
2장 우리 뇌는 어떻게 중독되나
중독이 뇌를 조종하는 법 ─ 46
도파민은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 59
뇌가 약물에 빠져드는 순간 ─ 71
3장 중독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약물 중독, 의존하고 남용하는 사람들 ─ 82
도박 중독, 멈추지 못하는 사람들 ─ 103
사이버 중독, 스마트폰에 갇힌 사람들 ─ 116
음식 중독, 먹는 일이 어려운 사람들 ─ 129
중독, 우리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 137
4장 일상으로 복귀하는 길
노예 상태에서 해방되기 ─ 148
어떻게 하는 게 중독 치료일까 ─ 158
중독을 치료하는 전략들 ─ 172
중독 약물 각개 격파 ─ 192
알코올 | 중추신경계 억제제 | 오피오이드 | 중추신경계 자극제 | 환각제 | 대마 | 기타 약물
나와 우리의 중독 해방 일지 ─ 246
책을 마치며 ─ 260
Author
강웅구,박선영,안유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수다. 주요 저술로 『전기경련치료 이론과 실제』(2019, 공저), 『중독정신의학』(2019, 제2판, 공저), 『신경정신의학』(2017, 공저), 『비정형 항정신병제의 임상』(2005, 공저)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198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1996)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수(1997~)
대표 저서: 정신분열병의 약물치료, 비정형 항정신병제의 임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수다. 주요 저술로 『전기경련치료 이론과 실제』(2019, 공저), 『중독정신의학』(2019, 제2판, 공저), 『신경정신의학』(2017, 공저), 『비정형 항정신병제의 임상』(2005, 공저)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198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1996)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수(1997~)
대표 저서: 정신분열병의 약물치료, 비정형 항정신병제의 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