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죽는 준비를 단단히 해야 합니다

행복한 나의 미래를 돌보는 엔딩 맵
$19.44
SKU
979119452210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25
Pages/Weight/Size 140*200*20mm
ISBN 9791194522102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고독사 시대, 존엄한 죽음을 생각하다
나는 죽음에 준비가 되어 있는가?
우리가 죽음을 바라보는 방식이 달라진다면 삶은 어떻게 변할까?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현재 한국의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35%를 넘었다. 머지않아 전체 가구의 절반이 1인 가구인 시대가 닥친다. 2인 이상 기존 가족관계 설정도 지금은 해체되었다. 이는 뉴스에 오르내리는 ‘고독사’가 이젠 독거노인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의미와 같다.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고립, 고독사 문제는 점점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많은 수의 1인 가구가 자신만이 자신을 돌봐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중위소득 이상의 소득이 있는 1인 가구는 국가의 안전망 밖에 있다. 누가 진짜 1인 가구의 모습일까? 국가 시스템의 도움이 필요한 진짜 1인 가구는 원룸의 어르신일 수도 있지만, 거리를 지나가는 평범한 젊은이나 중장년층의 근로자일 수도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 볼 문제다.

신간 『혼자 죽는 준비를 단단히 해야 합니다』는 ‘나혼산’ 시대에 더 이상 지나칠 수 없는 문제, ‘혼자 맞이하는 죽음’에 대해 적극적으로 들여다봐야 한다고, 1인 가구의 죽음을 더 이상 고독사라는 비참한 이름으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우리를 잡아끄는 책이다. 누구나, 언제든, 1인 가구가 될 수 있다. 원하든, 원치 않든, 숨을 거두는 순간만큼은 철저히 혼자다. 죽음은 그 누구도 동반하지 않는다. 독거노인, 돌싱, 비혼주의자, 싱글을 넘어 설령 지금 혼자가 아니라 해도, 죽음 앞에 둘은 없다. 고독사만이 문제일까? 1인 가구가 혼자 감당해야 하는 여러 어려움 중에서도 혼자 살다가 겪게 되는 불의의 사고들, 그 사고들과 이어지는 준비 되지 않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이들이 감당해야 할 여러 큰 어려움 중 하나일 것이다.

저자는 둘째 출산 후 자가면역질환이라는 희귀난치병을 앓게 되면서 죽음을 직접적으로 생각하게 된다. ‘나는 죽음에 준비가 되어 있는가?’ 병으로 인해 자기의 죽음을 직면하게 되면서, 처음으로 진지하게 질문했다. 그렇게 시작된 고민은 자신의 죽음뿐만 아니라, 주변 지인들의 안녕과 죽음까지 돌아보게 했다. 죽음에 대한 생각은 혼자 죽음을 준비하는 ‘엔딩 맵’을 고안하는 행동으로 이어졌다. 저자는 우리 각자 스스로 마지막 인생을 설계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막연한 두려움으로만 여겨졌던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이 사실은 지금 이 삶을 더욱 나답게 살아가기 위한 길임을 저자는 이야기한다. 저자 역시 죽음을 제대로 바라봤을 때, 비로소 삶을 제대로 바라보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혼자 맞이하는 죽음’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고민해야 한다.

많은 1인 가구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열심히 살아왔다. 단지 혼자 사는 삶을 선택한 것일 뿐인데, 삶의 형태가 다르다고 해서 그 결말까지 위태롭다면, 이는 사회구성원 전부의 책임이다. -본문 중에서
Contents
프롤로그_ ‘나혼산’의 시대, 고독사가 싫다면?

1장. 나 혼자 살고, 나 혼자 죽을래

혼자 사는 당신, 준비되어 있나요?
막연한 불안함의 끝
고독사의 증가
죽음을 계획하는 사람들

2장. 1인 가구 시대를 산다

1인 가구는 왜 증가할까?
혼자 사니 더 좋다
세계는 지금, 1인 가구

3장. 1인 가구의 민낯

숨어있는 복지의 사각지대
지금, 1인 가구의 진짜 모습은?

4장. 혼자라서 생기는 현실적 문제들

혼자라서 외로운 사람들
고립과 불안감, 그리고 경제적 어려움
혼자 산다는 것에 대하여 - 인터뷰

5장. 혼자 죽는 준비를 단단히 해야 한다

나는 죽음에 준비가 되어 있는가?
먼저 마음의 준비를 해라
현실적인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할까?

6장. 남겨진 사람들을 위하여

남겨진 사람들의 상처, 그리고 마지막 배려

7장. 내 인생을 돌보는 엔딩 맵

엔딩 맵이 뭔가요?
나만의 엔딩 맵 만들기

에필로그_ 혼자 죽음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부록_ 엔딩 맵 활용하기
Author
서윤미
평범한 일상을 사는 소시민이었다가 희귀난치병 발병 후, 인생의 전환점을 맞았다. 인생 목표를 ‘죽을 때 후회 없기’로 세우고,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 진짜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찾아다녔다. 남들이 안정적인 직장이라 칭송하는 교사를 21년 만에 미련 없이 때려치우고, 잘 살기 위해 잘 죽는 방법을 연구하며 ‘엔딩 맵’을 만들었다. 이후 이직이 어려운 한국 사회에서 중년의 나이에 인생 2회차에 도전, 공공기관 인재 채용 외부 면접관, 공공미술관 관람객 대상 교육 담당, 음식점과 물류회사 아르바이트, 스타트업 인사 담당 매니저,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공공기관 마약분석팀, 무역회사 운영 등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프로 직업 수집가’가 되었다.

호기심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냅다 신문에 칼럼을 기고해 버리는 무모함이 있다. 하고 싶은 일은 단 1초도 참지 않고 실행에 옮기며, 내가 행복해야 가정이 행복하다는 명분을 내세워, 가고 싶은 여행지가 있으면 수험생 자녀가 있어도 바로 떠난다. 첫째와 유튜버 침착맨의 팝업 스토어에 줄을 서고, 둘째와 BTS 덕질을 같이한다. 현재는 1인 가구를 포함해 사람들의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 주목하며, ‘홈 옵저버(Home Observer, 방구석 관찰자)’로 활동 중이다.
평범한 일상을 사는 소시민이었다가 희귀난치병 발병 후, 인생의 전환점을 맞았다. 인생 목표를 ‘죽을 때 후회 없기’로 세우고,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 진짜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찾아다녔다. 남들이 안정적인 직장이라 칭송하는 교사를 21년 만에 미련 없이 때려치우고, 잘 살기 위해 잘 죽는 방법을 연구하며 ‘엔딩 맵’을 만들었다. 이후 이직이 어려운 한국 사회에서 중년의 나이에 인생 2회차에 도전, 공공기관 인재 채용 외부 면접관, 공공미술관 관람객 대상 교육 담당, 음식점과 물류회사 아르바이트, 스타트업 인사 담당 매니저,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공공기관 마약분석팀, 무역회사 운영 등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프로 직업 수집가’가 되었다.

호기심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냅다 신문에 칼럼을 기고해 버리는 무모함이 있다. 하고 싶은 일은 단 1초도 참지 않고 실행에 옮기며, 내가 행복해야 가정이 행복하다는 명분을 내세워, 가고 싶은 여행지가 있으면 수험생 자녀가 있어도 바로 떠난다. 첫째와 유튜버 침착맨의 팝업 스토어에 줄을 서고, 둘째와 BTS 덕질을 같이한다. 현재는 1인 가구를 포함해 사람들의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 주목하며, ‘홈 옵저버(Home Observer, 방구석 관찰자)’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