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뢰즈는 철학적인 주제가 될 것 같지 않은 마조히즘이라는 현상에 그의 철학 탐구활동의 전 기간을 거쳐 몇 편의 글을 남겼다. 이 글들 속에는 마조히즘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뒤엎는 매우 놀라운 생각들을 발견할 수 있다. 언뜻 철학과 거리가 멀어 보이는 마조히즘에 이 위대한 철학자는 왜 그토록 집요하게 천착했을까?
이 책은 들뢰즈의 마조히즘의 이해로부터 우리 인간 모두의 삶에 대해 매우 중요한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는 가장 근원적인 비밀을 파헤친다. 프로이트와 들뢰즈, 다윈, 베르그송을 거쳐 탄트리즘으로 이어지는 흐름 끝에, 우리의 세속적인 성욕에는 자기변형을 지향하는 성스럽고 영성적인 열망이 내재한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Contents
들어가며 ─ 성과 영성의 일치 가능성에 대하여 4
서장: 마조히즘을 통한 성의 참모습의 발견과 새로운 생명의 철학, 그리고 탄트리즘 15
I. 마조히즘이란 무엇인가? ─ 마조히즘의 증상론 87
‘엄마의 세 가지 이미지’라는 환상이 들려주는 이야기
1. 마조흐와 마조히즘: 마조흐의 소설들이 갖는 중요성 87
2. 마조흐의 세 여인 97
3. 마조흐의 환상과 바흐오펜의 시대 구분론의 일치 102
─ 이 일치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4. 엄마의 세 가지 이미지와 두 번째 엄마의 수수께끼 109
5. 두 번째 유형의 여인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12
─ 계약: 마조히즘적 관계를 성립시키는 본질적인 요건
6. 마조히즘의 ‘상징적 질서’: 엄마의 ‘상징적 기능’ 115
7. 마조히즘: 환상을 좇는 이상주의 126
8. 죄책감이라는 마조히스트 특유의 증상의 이유 129
9. 마조히즘의 가장 핵심적인 증상 132
10. 마조히즘의 자연주의 136
11. 마조히즘의 증상론에서 병인론으로 140
II. 마조히즘은 왜 발생하는가? ─ 마조히즘의 병인론 143
1. 마조히즘의 병인론에 대한 프로이트의 이해 147
2. 마조히즘의 병인론에 대한 들뢰즈의 이해 179
III. 무의식에 대한 새로운 이해 199
IV. 생명과 무의식: 베르그송의 ‘생명의 약동’ 이론 249
1. 프로이트 대 베르그송 249
2. 지속과 무의식 257
3. 생동하는 무의식: 본능의 신비 275
4. 변성 의식상태의 의미 307
5. 생명에 대한 베르그송의 이해를 통해서 본 마조히즘의 의미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