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생명·우주

마조히즘에 대한 들뢰즈의 이해로부터 살펴본 <자연과 영성(靈性)의 일치 가능성>에 대하여
$32.08
SKU
979119451309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25
Pages/Weight/Size 152*224*17mm
ISBN 9791194513094
Categories 인문 > 철학/사상
Description
들뢰즈는 철학적인 주제가 될 것 같지 않은 마조히즘이라는 현상에 그의 철학 탐구활동의 전 기간을 거쳐 몇 편의 글을 남겼다. 이 글들 속에는 마조히즘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뒤엎는 매우 놀라운 생각들을 발견할 수 있다. 언뜻 철학과 거리가 멀어 보이는 마조히즘에 이 위대한 철학자는 왜 그토록 집요하게 천착했을까?

이 책은 들뢰즈의 마조히즘의 이해로부터 우리 인간 모두의 삶에 대해 매우 중요한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는 가장 근원적인 비밀을 파헤친다. 프로이트와 들뢰즈, 다윈, 베르그송을 거쳐 탄트리즘으로 이어지는 흐름 끝에, 우리의 세속적인 성욕에는 자기변형을 지향하는 성스럽고 영성적인 열망이 내재한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Contents
들어가며 ─ 성과 영성의 일치 가능성에 대하여 4
서장: 마조히즘을 통한 성의 참모습의 발견과 새로운 생명의 철학, 그리고 탄트리즘 15

I. 마조히즘이란 무엇인가? ─ 마조히즘의 증상론 87

‘엄마의 세 가지 이미지’라는 환상이 들려주는 이야기
1. 마조흐와 마조히즘: 마조흐의 소설들이 갖는 중요성 87
2. 마조흐의 세 여인 97
3. 마조흐의 환상과 바흐오펜의 시대 구분론의 일치 102
─ 이 일치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4. 엄마의 세 가지 이미지와 두 번째 엄마의 수수께끼 109
5. 두 번째 유형의 여인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12
─ 계약: 마조히즘적 관계를 성립시키는 본질적인 요건
6. 마조히즘의 ‘상징적 질서’: 엄마의 ‘상징적 기능’ 115
7. 마조히즘: 환상을 좇는 이상주의 126
8. 죄책감이라는 마조히스트 특유의 증상의 이유 129
9. 마조히즘의 가장 핵심적인 증상 132
10. 마조히즘의 자연주의 136
11. 마조히즘의 증상론에서 병인론으로 140

II. 마조히즘은 왜 발생하는가? ─ 마조히즘의 병인론 143

1. 마조히즘의 병인론에 대한 프로이트의 이해 147
2. 마조히즘의 병인론에 대한 들뢰즈의 이해 179

III. 무의식에 대한 새로운 이해 199

IV. 생명과 무의식: 베르그송의 ‘생명의 약동’ 이론 249

1. 프로이트 대 베르그송 249
2. 지속과 무의식 257
3. 생동하는 무의식: 본능의 신비 275
4. 변성 의식상태의 의미 307
5. 생명에 대한 베르그송의 이해를 통해서 본 마조히즘의 의미 318

V. 탄트리즘: 성과 영성의 근본적인 일치 329

1. 내재성의 존재론과 종교의 초월주의의 화해 330
2. 탄트리즘의 우주론 355
참고문헌 365
Author
조현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서양철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에서 베르그송에 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연세대, 성공회대 등에서 철학 강의를 했으며 능인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성·생명·우주 : 마조히즘에 대한 들뢰즈의 이해로부터 탄트리즘(밀교)의 재발견으로』, 『질 들뢰즈의 ‘마조히즘’ 읽기』, 『프랑스철학과 정신분석』(공저),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공저)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우연과 필연』(자크 모노 저)이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서양철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에서 베르그송에 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연세대, 성공회대 등에서 철학 강의를 했으며 능인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성·생명·우주 : 마조히즘에 대한 들뢰즈의 이해로부터 탄트리즘(밀교)의 재발견으로』, 『질 들뢰즈의 ‘마조히즘’ 읽기』, 『프랑스철학과 정신분석』(공저),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공저)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우연과 필연』(자크 모노 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