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을 넘는 지리 이야기

세계의 해협, 운하, 터널, 산맥으로 처음 만나는 지정학
$18.14
SKU
979119441329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07
Pages/Weight/Size 140*210*20mm
ISBN 9791194413295
Categories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경제
Description
보이지 않는 세상의 흐름을 ‘선’으로 읽는다!
세계의 해협, 운하, 터널, 산맥으로 처음 만나는 지정학

나의 삶은 세계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그 흐름은 빠르게 바뀌며 얽히고설켜 있어 단번에 이해하기 어렵다. 이 장벽을 뛰어넘게 해 주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지리의 눈으로 세계 정치와 경제의 변화를 읽는 지정학이다.

책은 청소년이 지정학적 관점에서 세상을 보는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세계의 해협 · 운하 · 터널 · 산맥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해 나간다.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 지역 간의 경계’로서 선(線)의 모습을 띠고 있는 열두 장소다. 학교에서 지리를 가르치는 저자들은 왜 어떤 일들이 이 장소에서 일어나는지, 그리고 앞으로 무슨 일들이 벌어지게 될지 알려 준다. 각 장소의 지리적 특징뿐 아니라 그 장소가 다른 지역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세심히 설명한다. 조금 생소한 지역의 이야기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지도 · 도표 · 사진 등의 이미지 90여 컷을 풍성하게 실었다. ‘선을 넘는 이야기’ 코너로는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소개하거나 복잡한 지리 개념을 풀어서 전달했다.

책에 나오는 열두 경계를 다 넘고 나면 이 장소들과 연결된 세계의 정치와 경제, 문화와 역사를 입체적으로 바라보게 된다. 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통합 사회, 세계 시민과 지리, 한국 지리 탐구 수업 시간에 배우는 지역이나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들어가며

1부. 해협

믈라카 해협 - 세계 무역을 둘러싼 줄다리기
인도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가장 빠른 길
국제 해협이라는 카드
중국의 ‘믈라카 딜레마’
크라 운하가 가져올 미래
*선을 넘은 이야기 _동서 교역의 역사를 간직한 도시 믈라카

베링 해협 - 빙하가 열어 준 길
호모 사피엔스, 선을 넘다
미국과 러시아, 선을 긋다
*선을 넘은 이야기 _역적에서 영웅이 된 수어드
다시 선을 잇다: 런던부터 뉴욕까지
북극 항로의 주요 경로

호르무즈 해협 - 축복과 분쟁의 씨앗이 흐르는 곳
대한민국 유조선, 나포되다
호르무즈 해협의 정치적 갈등
문제는 석유 가격이 아니다
왜 이곳은 지나가기 어려울까?
*선을 넘은 이야기 _영해와 무해통항권
새로운 선택, 홍해

지브롤터 해협 - 세상의 끝을 사수하라
헤라클레스의 기둥, 대항해 시대를 열다
유럽 진출의 전진 기지
*선을 넘은 이야기 _지중해는 사막이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과 에스파냐 사이에서
지브롤터 해협의 경제적 가치

2부. 운하와 터널

수에즈 운하 - 고갈되지 않는 자원
배 한 척이 전 세계 물류의 흐름을 막다
바다와 바다의 연결 고리
이집트의 품으로 돌아오기까지
*선을 넘은 이야기 _500년간의 도전, 굴포 운하와 안면 운하
수에즈 운하는 스마트폰

파나마 운하 - 태평양과 대서양을 오가는 자유
운하 때문에 만들어진 나라가 있다?
끈질긴 야심은 막을 내리고
*선을 넘은 이야기 _파나마 vs 니카라과
파나마 경제의 중심이 되다
기후 변화가 일으킨 위기들

세이칸 터널 - 일본의 자부심, 대륙 진출의 꿈
참담한 침몰이 남긴 과제
균형 발전의 땅, 홋카이도를 향해
*선을 넘은 이야기 _아이누족의 수난
문화와 경제 그리고 마음의 경계를 허물다
러시아에서 유럽까지, 부산에서 인도까지?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 지구를 생각하는 선 긋기
한니발과 나폴레옹의 공통점
동서로 뻗은 벽, 알프스산맥
장벽을 뚫다: 북해와 지중해 잇기
*선을 넘은 이야기 _공간적 상호 작용 발생의 세 가지 원칙
효율보다 안전, 돈보다 환경

3부. 산맥

히말라야산맥 - 남아시아 패권 전쟁
인도와 중국을 가른 세계의 지붕
자연 국경도 지키지 못한 평화
14억 중국과 14억 인도 사이, 80만 부탄
네팔, 히말라야 너머를 보다
*선을 넘은 이야기 _인도와 파키스탄의 자존심을 건 발차기

우랄산맥 - 유라시아를 흔드는 러시아의 힘
러시아가 세계 영토 크기 1위인 이유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
자원과 사람을 이어 주는 열차의 탄생
우크라이나 전쟁이 의미하는 것
*선을 넘은 이야기 _시베리아 횡단 철도 여행

그레이트디바이딩산맥 - 자원 강국 오스트레일리아의 미래
기후를 나누는 거대한 선
호주 청정우는 어디에서 왔을까?
금을 찾아 산을 넘어 서쪽으로
광물 무역의 열쇠: 경제는 아시아, 역사는 유럽
*선을 넘은 이야기 _첫 번째 오스트레일리아인, 애버리지니

피레네산맥 - 유럽 연합 철도 사업 핵심 네트워크
프랑스-에스파냐 전쟁에 마침표를 찍다
카탈루냐와 바스크 독립 시위의 기원
드디어 이룬 염원, 유럽 본토 육상 교통
*선을 넘은 이야기 _피레네산맥 위에 있는 나라, 안도라

참고 자료
Author
성정원,이명준,이채림
경기도에서 지리를 가르치고 있다. 점으로 지역을 이해하고, 지역과 지역을 잇는 ‘선’으로 이뤄진 네트워크의 역동성을 강조하는 지정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학생들이 지리를 배우며 아직 경험하지 못한 세계에 호기심을 품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장소감을 바탕으로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흥미와 애착을 키우길 바란다.

학부 시절 교수님이 과제로 내준 “지리는 왜 배워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아직도 찾지 못해 고민하고 있다. 지리를 배운 아이들이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가질 수 있었으면, 소외된 공간의 사람들의 삶에 관심을 가질 수 있었으면, 내 주변의 환경에 대해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수원외국어고등학교에서 근무 중이다.
경기도에서 지리를 가르치고 있다. 점으로 지역을 이해하고, 지역과 지역을 잇는 ‘선’으로 이뤄진 네트워크의 역동성을 강조하는 지정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학생들이 지리를 배우며 아직 경험하지 못한 세계에 호기심을 품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장소감을 바탕으로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흥미와 애착을 키우길 바란다.

학부 시절 교수님이 과제로 내준 “지리는 왜 배워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아직도 찾지 못해 고민하고 있다. 지리를 배운 아이들이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가질 수 있었으면, 소외된 공간의 사람들의 삶에 관심을 가질 수 있었으면, 내 주변의 환경에 대해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수원외국어고등학교에서 근무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