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의 일기장

백문백답으로 읽는 인간 다산과 천주교에 얽힌 속내
$43.20
SKU
979119433053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12/09
Pages/Weight/Size 152*225*35mm
ISBN 979119433053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젊은 날 다산이 감추었던 행간을 풀어내자
비로소 온전한 그의 시대가 보였다.”
고전학자 정민 교수가 세밀한 독법으로 밝혀낸 다산 정약용의 일기에 숨은 진실

다산에게 일기란 무엇이었는가? 왜 철저히 감정을 배제하고 사실만 나열했는가? 이 일기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33세 다산이 사학삼흉(邪學三凶)으로 몰려 지방으로 좌천된 후 겨우 상경했다가 다시 외직으로 밀려나기까지. 2년간의 일기 〈금정일록〉 〈죽란일기〉 〈규영일기〉 〈함주일록〉을 다각적으로 분석해 다산이 언표하지 못했던 속마음을 면밀하게 추적한다. 천주교를 둘러싼 시대적 맥락과 치밀하고 세심한 독법을 통해야만 일기에 숨겨진 다산의 진실을 읽을 수 있다. 학자이자 정치가, 신자이자 배교자였던 ‘인간 다산’의 복잡한 내면을 생생하고도 정교하게 복원한 역작. 마침내 다산 자신의 목소리로 그의 시대를 더 깊이, 더 정직하게 만난다.
Contents
서문

백문백답을 열며

001 다산의 4종 일기, 어떤 글인가?
002 4종 일기의 작성 시기와 정리 시점은 언제였나?
003 다산의 일기를 어떻게 읽을까?
004 젊은 날의 다산은 어땠나?

금정일록

005 [금정일록]의 기사와 동선은 어떻게 짜였나?
006 주문모 신부 실포 사건과 [금정일록]은 어떤 관계가 있나?
007 다산과 한영익은 어떤 관계였을까?
008 박장설의 상소는 왜 문제가 되었나?
009 다산은 왜 하필 금정으로 좌천되었을까?
010 정조가 제시한 다산 좌천의 이유는?
011 수원유수 조심태가 다산에게 한 이야기의 의미는?
012 다산은 왜 이승훈을 ‘이형’이라고 불렀을까?
013 당시 금정역의 건물 구성과 환경은 어땠나?
014 당시 다산에게 주어진 금정찰방의 역할은?
015 관찰사 유강에게 보낸 편지 속 ‘즙민지방’은 무슨 뜻인가?
016 다산이 홍주목사 유의에게 보낸 편지의 의미는?
017 채씨 집성촌과 다산 주변 채씨의 그림자를 어찌 볼까?
018 8월 5일 다산이 이삼환과 주고받은 편지의 내용은?
019 이인섭이 다산에게 편지를 보낸 이유는?
020 당시 호남에서 벌어진 선동의 내막과 내용은?
021 석문 진사 신종수와의 교유는?
022 다산이 검거한 천주교인 김복성의 실체는?
023 김복성과 금정 역졸들의 천주교 조직은 어떻게 구성되었나?
024 다산이 당시 금정에서 천주교 신자들을 대상으로 행한 일은?
025 이익운은 8월 17일에 왜 다산에게 시를 보냈을까?
026 다산이 한강동과 천방산의 한산이씨 일문을 방문한 목적은?
027 다산은 홍주목사 유의와 만나 무슨 이야기를 나눴나?
028 다산과 방산 이도명의 갈등과 충돌 내막은?
029 오서산 일원의 유람 목적은 무엇이었나?
030 다산과 이삼환이 주고받은 두 번째 편지의 행간은?
031 북계 진사 윤취협을 찾은 목적은 무엇이고, 한백원과 함께한 백제 유적 여행은 어땠나?
032 공주에서 만난 오국진과 권기는 어떤 사람인가?
033 ‘성주산의 일’은 무엇을 말하나?
034 장령 이유수와 이일운의 잇단 방문과 관찰사가 보낸 답서의 내용은?
035 이존창의 검거는 언제 어떻게 이루어졌나?
036 윤규범의 시와 이익운의 편지에는 어떤 행간이 있나?
037 이기경은 왜 난데없이 다산에게 편지를 보냈을까?
038 다산의 답장은 왜 그토록 격렬했나?
039 다산이 이삼환에게 보낸 편지의 맥락은?
040 공주 창곡 관리의 난맥상을 고발한 장시의 내용은?
041 강학회 직전에 이도명은 왜 다산에게 편지를 보냈나?
042 서암강학회의 일정과 일과는 어땠고, 분위기는 어떠했나?
043 서암강학회의 참석자는 누구며, 어떤 성격의 모임이었나?
044 [서암강학기]는 어떤 내용이고, 왜 썼나?
045 이승훈은 어째서 [서암강학기] 참석자 명단에서 누락되었을까?
046 이광교가 보내온 편지와 다산의 답장은 무슨 이야기를 담았나?
047 [도산사숙록]은 어떤 글이고, 왜 썼나?
048 [도산사숙록]에서 다산은 자신에 대해 어떻게 반성했나?
049 존덕성 도문학 공부에 관한 논의가 왜 자꾸 나올까?
050 다산은 왜 11월 윤취협에게 편지를 보냈고, 편지의 좌명은 누구인가?
051 강이원에게 보낸, 윤기환에 대한 다산의 청탁 편지는 어떤 맥락에서 나왔나?
052 강학회 이후 지은 시의 분위기는 어땠나?
053 11월 27일에 이승훈에게 보낸 편지의 의미는?
054 이치훈은 어떤 사람이었나?
055 이삼환의 다산에 대한 평가는 어땠나?
056 이삼환이 ‘지방지술’을 특별히 말한 이유는?
057 다산은 왜 역촌 부로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나?
058 이가환과 주고받은 편지의 맥락은?
059 허적의 관작 회복 소식에 다산은 왜 이렇게 기뻐했나?
060 다산이 채제공에게 직접 편지를 보낸 속내는?
061 어느 따스한 겨울날의 기억은 왜 새로웠을까?
062 이 시점에 다산은 왜 관찰사 유강에게 편지를 보냈을까?
063 포폄제목과 이정운의 시를 본 다산의 소회는?
064 마침내 상경하게 된 다산의 감회는 어떠했나?
065 다산의 금정 시절은 그에게 어떤 기억을 남겼을까?
066 다산은 왜 이존창 문제로 이익운 형제와 충돌했나?
067 이승훈에게 보낸 연말 편지에는 다산의 어떤 마음이 담겼나?

죽란일기

068 [죽란일기]의 주요 내용과 당시 다산의 상황은?
069 다산은 왜 오태증의 규개일 기사를 불쑥 실었을까?
070 윤규범에 대한 다산의 애틋함의 실체는?
071 정조가 다산에게 중화척을 내린 뜻은?
072 왜 중간을 건너뛴 채 대보단 제사 문제로 넘어갔을까?
073 꽃 없는 봄 이야기와 책봉 회갑례 기사의 의미는?
074 김종수는 왜 갑자기 금강산 유람을 떠났을까?
075 김상우가 보내온 시 2수의 의미는?
076 흰 무지개가 해를 꿰는 재변에 대한 정조의 반응은?
077 군영 상번 문제를 둘러싼 이주국과 윤숙의 공방 내막은?
078 이승훈의 석방 소식을 다산은 왜 뒤늦게 짤막하게 실었을까?
079 느닷없이 강세정의 편지를 인용한 의도는?
080 [죽란일기] 끝에 인용된 시는 왜 제목과 창작 시기를 바꿔놓았나?
081 왜 [죽란일기]는 3월 말에 멈췄나?

규영일기

082 [규영일기]와 1796년 11월 16일 규영부 교서로 들어가게 된 전후 사정은?
083 《사기영선》 편찬과 제명 과정에 얽힌 이야기는?
084 다산은 이 시절을 어떻게 기억했나?

함주일록

085 [함주일록]을 따로 묶은 이유와 ‘함주’의 의미는?
086 다산은 왜 이 시점에 [변방소]를 올렸을까?
087 다산의 [변방소]에 대한 정조와 대신들의 반응은?
088 목만중의 칭찬과 홍인호의 갑작스러운 방문은 어떤 의미였나?
089 23일의 해제 조처와 26일 어용겸의 송서 사건 맥락은?
090 조진관의 홍낙안·이기경을 품자는 말에 이익운은 왜 발끈했을까?
091 [변방소]에서 가장 뜨거운 논란이 있었던 대목은?
092 심환지는 왜 다산을 두둔했나?
093 곡산부사 이지영 전최 평가 수정의 행간 의미는?
094 민종현은 다산에게 무엇을 물었나?
095 판서들과의 대화에는 어떤 맥락이 담겨 있나?
096 훈련대장 이경무의 서학에 대한 언급은 어떤 의미인가?
097 이병모는 왜 임금 앞에서 다산을 비난한 뒤 다산 앞에서는 변명했을까?
098 어째서 심환지는 다산 앞에서 공치사를 하지 않고 딴청을 부렸나?
099 곡산으로 떠나는 다산의 심경은 어땠나?
100 다산에게 일기는 어떤 의미였을까?

부록
비방에 대해 변명하며 동부승지를 사직하는 상소문
도산사숙록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Author
정민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선 지성사의 전방위 분야를 탐사하여 한문학 문헌에 담긴 깊은 사유와 성찰을 우리 사회에 전해온 인문학자이자 고전학자.

저서로 연암 박지원의 산문을 살핀 《비슷한 것은 가짜다》 《오늘 아침, 나는 책을 읽었다》, 18세기 조선 지식인과 문헌을 파고든 《호저집》 《고전, 발견의 기쁨》 《열여덟 살 이덕무》 《잊혀진 실학자 이덕리와 동다기》 《미쳐야 미친다》, 한시의 아름다움을 탐구한 《우리 한시 삼백수》 《한시 미학 산책》 등이 있다. 청언소품집인 《점검》 《습정》 《석복》 《조심》 《일침》, 조선 후기 차 문화사를 총정리한 《한국의 다서》 《새로 쓰는 조선의 차 문화》, 산문집 《체수유병집-글밭의 이삭줍기》 《사람을 읽고 책과 만나다》, 어린이를 위한 한시 입문서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등 다수의 책을 지었다.

조선에 서학 열풍을 불러온 천주교 수양서 《칠극》을 번역해 제25회 한국가톨릭학술상 번역상을 받았고, 서학 연구의 연장선으로 초기 교회사를 집대성한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를 저술해 제5회 롯데출판문화대상 대상을 받았다. 《서양 선비, 우정을 논하다》 《역주 눌암기략》 《역주 송담유록》 등 서학 관련 주요 문헌을 역주해 펴냈다.

오랜 시간 다산 정약용을 연구해 《파란》 《다산과 강진 용혈》 《다산 증언첩》 《삶을 바꾼 만남》 《다산의 재발견》 《다산어록청상》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등 역사적·문화적·개인적 맥락에서 다산의 복잡다단한 면모를 되살려왔다.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선 지성사의 전방위 분야를 탐사하여 한문학 문헌에 담긴 깊은 사유와 성찰을 우리 사회에 전해온 인문학자이자 고전학자.

저서로 연암 박지원의 산문을 살핀 《비슷한 것은 가짜다》 《오늘 아침, 나는 책을 읽었다》, 18세기 조선 지식인과 문헌을 파고든 《호저집》 《고전, 발견의 기쁨》 《열여덟 살 이덕무》 《잊혀진 실학자 이덕리와 동다기》 《미쳐야 미친다》, 한시의 아름다움을 탐구한 《우리 한시 삼백수》 《한시 미학 산책》 등이 있다. 청언소품집인 《점검》 《습정》 《석복》 《조심》 《일침》, 조선 후기 차 문화사를 총정리한 《한국의 다서》 《새로 쓰는 조선의 차 문화》, 산문집 《체수유병집-글밭의 이삭줍기》 《사람을 읽고 책과 만나다》, 어린이를 위한 한시 입문서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등 다수의 책을 지었다.

조선에 서학 열풍을 불러온 천주교 수양서 《칠극》을 번역해 제25회 한국가톨릭학술상 번역상을 받았고, 서학 연구의 연장선으로 초기 교회사를 집대성한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를 저술해 제5회 롯데출판문화대상 대상을 받았다. 《서양 선비, 우정을 논하다》 《역주 눌암기략》 《역주 송담유록》 등 서학 관련 주요 문헌을 역주해 펴냈다.

오랜 시간 다산 정약용을 연구해 《파란》 《다산과 강진 용혈》 《다산 증언첩》 《삶을 바꾼 만남》 《다산의 재발견》 《다산어록청상》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등 역사적·문화적·개인적 맥락에서 다산의 복잡다단한 면모를 되살려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