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단순히 글쓰기 기술을 알려주는 책이 아니다. 글쓰기를 통해,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생각을 할 수 있을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자는 시도다. 글쓰기는 생각을 연습하는 가장 좋은 그리고 가장 쉬운 방법이다. 생각하는 힘이 강한 사람은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하며, 문제 해결 능력을 발휘한다. 또한 자신의 생각을 정교하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소통하며, 더 나아가 세상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을 만들어낸다. 이 책은 저자가 지난 십수 년간 글쓰기 관련 강의를 해오면서 ‘어떻게 하면 보다 쉽고 재미있게 글쓰기 수업을 할 수 있을까?’ 고민했던 과정에서 나왔다. 글쓰기 수업을 통해 글쓰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이론은 최소화하고 관찰, 체험을 많이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1부 읽고 요약하기: 글 속에 담겨 있는 생각을 분석하고 요약문을 작성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두었다.
- 2부 읽고 평가하기: 분석한 내용을 평가하고 논평문을 작성하는 능력
- 3부 나의 생각 글쓰기: 자신의 생각을 점검하며 체계적으로 정당화 구조의 글을 쓰는 능력
생성형 인공지능의 기계적 글쓰기가 인간의 글쓰기를 위협하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도 이러한 파도는 많은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생각 자체를 기계에 떠넘길 수는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 사고 교육으로서의 글쓰기가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는 상황에서 이 책이 사고와 표현 글쓰기 수업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Contents
서문
들어가며: 비판적 사고의 필요성
1부 읽고 요약하기
1장 주장, 문제, 명시적 근거 요약하기
1) 주장
2) 문제
3) 명시적 근거
종합문제
2장 개념, 목적, 맥락 요약하기
1) 개념
2) 목적
3) 맥락
종합문제
3장 숨겨진 근거, 관점, 함축 요약하기
1) 숨겨진 근거
2) 관점
3) 함축
종합문제
4장 분석적 요약문 쓰기
종합문제
2부 읽고 평가하기
1장 명확성, 중요성, 명료성 평가하기
1) 주장의 명확성
2) 문제의 중요성
3) 개념의 명료성
종합문제
2장 타당성과 수용 가능성 평가하기
1) 타당성
2) 수용 가능성
종합문제
3장 논의의 폭과 깊이 평가하기
1) 논의의 폭
2) 논의의 깊이
종합문제
4장 논평문 쓰기
1) 원 포인트 논평(요약+원 포인트 비판)
2) 종합적 논평
종합문제
3부 나의 생각 글쓰기
1장 연구(글쓰기)윤리
1) 표절이란
2) 인용하는 방법
3) 인용의 종류
4) 주석(note)의 종류와 외각주 작성법
5) 참고문헌
2장 단어, 문장, 문단
1) 단어
2) 문장
3) 문단
4) 간단한 문단 작성 연습
종합문제
3장 에세이의 구성
1) 주제 선정
2) 주제 연구
3) 입장 형성
4) 개요 짜기
5) 완성문 작성 및 퇴고
4장 에세이 쓰기
1) 글쓰기 전
2) 글쓰기: 본론의 구성
3) 글쓰기 후
실제 학부생의 에세이 작성문
종합문제
참고문헌
Author
김용성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철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 한성대학교, 우송대학교에서 ‘상상력 이노베이션’, ‘논리적 분석과 글쓰기’, ‘대학 글쓰기’ 등을 강의하였다. 현재는 울산대학교 객원교수로 재직하며, 울산대학교와 우송대학교에서 ‘철학입문’, ‘학술적 글쓰기’, ‘대학 글쓰기’를 강의하고 있다. 연구 논문으로는 「데카르트와 외재주
의적 지식」, 「신 존재 증명에서의 전제들이 가지는 인식론적 위상」 등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철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 한성대학교, 우송대학교에서 ‘상상력 이노베이션’, ‘논리적 분석과 글쓰기’, ‘대학 글쓰기’ 등을 강의하였다. 현재는 울산대학교 객원교수로 재직하며, 울산대학교와 우송대학교에서 ‘철학입문’, ‘학술적 글쓰기’, ‘대학 글쓰기’를 강의하고 있다. 연구 논문으로는 「데카르트와 외재주
의적 지식」, 「신 존재 증명에서의 전제들이 가지는 인식론적 위상」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