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읽는 논어

삶의 기쁨과 희망을 주는 그림 속 논어 이야기
$19.44
SKU
979119417521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28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94175216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조선 회화와 공자 철학의 절묘한 만남

『그림으로 읽는 논어』는 담담하게 옛 그림 사이를 거닐며 2500년의 시간을 건너 우리에게 말을 거는 공자의 지혜를 직관적으로 만나게 되는 책이다.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읽는 새로운 형태의 『논어』라 할 수 있다. 저자 김정숙 교수는 동양화와 미술사학을 공부하는 동안 그림 속에 깃든 공자 철학을 발견하고, 그 매력에 빠져 『논어』를 탐독하며 삶의 지침과 희망이라는 메시지를 얻곤 했다고 전한다. 그의 다정한 그림 해설과 감상법을 통해 찬찬히 그림을 들여다보고 그 안에 담겨 있는 공자의 철학을 하나하나 되새기다 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배움의 기쁨이 커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Contents
프롤로그
옛 그림과 『논어』 사이에서 발견한 새로운 기쁨

제1장 배움의 즐거움

용비늘 가득한 늙은 소나무가 뜻하는 것│이명기 〈송하독서도〉
정조의 책 사랑과 책가도의 유행│이형록 〈책가도〉
가르침을 구하는 자의 숭고한 마음│정선 〈정문입설〉
절차탁마, 자공의 공부법│이인상 〈송하수업도〉
화가의 인품과 멋을 담은 그림│이인상 〈병국도〉
학문을 향한 소망과 도덕적 가치의 충돌│윤용 〈협롱채춘〉
발음의 유사성에 의미를 담다│김홍도 〈과로도기도〉 · 〈황묘농접도〉
죽은 물고기만이 강물을 따라 흐른다│이광사, 이영익 〈잉어도〉 · 민화 〈책가도〉
바빠서 공부할 시간이 없는가?│민화 〈삼여도〉
나는 조선의 노비 시인 정초부라오│정수영 〈휴류암〉 · 김홍도 〈도강도〉
벼슬보다 예술을 택한 행복한 수집가│정선 〈봉서정도〉 · 김홍도 〈서화감상〉

제2장 사람에 대한 사랑

벗을 찾아가는 그림, 방우도│전기 〈매화초옥도〉
어떤 벗을 사귈 것인가?│조맹견 〈세한삼우도〉 · 김득신 〈밀희투전〉
조광조와 양팽손의 우정│양팽손 〈산수도〉
난초와 영지의 만남│김정희 〈세외선향〉 · 권돈인 〈지란도〉
평범하지만 위대한 가족의 모습│김득신 〈짚신삼기〉
효를 실천하는 자세는 언제나 전전긍긍│강세황 〈약즙산수〉
사랑, 그 소중함과 마주하다│김홍도 〈행상〉

제3장 군자의 덕목

알아주는 이 없어도 묵묵히 향기를 발산하는 난│김정희 〈국향군자〉 · 〈불이선란도〉
역경에 굴하지 않는 소나무 같은 기상│이인상 〈설송도〉 · 김정희 〈세한도〉
남의 평가를 의식하지 않는 고졸한 자존감│김정희, 〈자화상〉
불확실함 속에서도 평온한 마음을 유지하는 힘│심사정 〈선유도〉
정신적 풍요가 발휘하는 진정한 가치│심사정 〈파교심매도〉
산수화 속에 빈 정자를 둔 까닭│정약용 〈원인필의산수도〉
매미에게 배우는 다섯 가지 덕목│정선 〈송림한선〉
학처럼 날아오르는 조선의 여검객│김홍도 〈비선검무도〉 · 이재관 〈여협도〉
서로의 개성을 존중하는 조화로운 만남│강희언 〈사인시음〉 · (전)김홍도 〈군현도〉
기방 앞에서 드러난 한심한 양반의 민낯│신윤복 〈유곽쟁웅〉

제4장 임금과 선비의 도

바람과 대나무에 깃든 덕치│이정 〈풍죽도〉
겨울의 끝자락에서 매화가 전하는 고통의 신비│오달제 〈묵매도〉
산수화에 드리운 병자호란의 아픔과 충절의 서사│정선 〈송파진〉 · 김윤겸 〈송파환도〉
부끄러움의 도리를 아는 마음│송시열 〈치〉 · 민화 〈문자도〉병풍
어부와 나무꾼은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이명욱 〈어초문답도〉 · 작가 미상 〈어초문답도〉
문인들이 사랑한 돌│강세황 〈괴석도〉 · 김유근 〈괴석도〉
양반이 기생을 모시고 떠난 봄나들이│신윤복 〈연소답청〉
선비의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거문고 소리│이경윤 〈월하탄금도〉 · 김홍도 〈단원도〉

제5장 성찰과 깨달음

고난으로 점철된 공자의 천하 주유│함윤덕 〈기려도〉
인격 완성의 길, 기다림│민화 〈삼고초려도〉
미래를 알고 싶은가?│김홍도 〈점괘〉
우유부단을 극복하는 방법│김득신 〈송하기승〉 · 이경윤 〈송하대기도〉
모든 행복을 다 누린 곽자의의 비결│작가 미상 〈곽분양행락도〉 병풍
성찰과 도덕적 예술론│심사정 〈명경대〉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그림│윤두서 〈자화상〉 · 강세황 〈자화상〉
깨달음의 빛│김명국 〈달마도〉 · 〈달마절로도강도〉
새로운 시선이 명작을 만든다│정선 〈금강전도〉

에필로그
물잔이 되지 말고 호수 같은 큰 그릇이 되어라
Author
김정숙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미술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한국외대, 한국문학번역원 등에서 강의했으며, 현재는 한국저작권보호 심의위원회에서 심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1992년 유네스코 본부로부터 ‘히라야마 실크로드 펠로우십 프로그램’의 연구자로 선정되어 3개월간 인도·파키스탄·네팔의 불교 유적을 답사했다. 2013년에는 고려대학교 최고강의상인 ‘석탑강의상’을 수상했다. 2015년 네이버 캐스트에 게재된 글 「서양화, 조선을 깨우다」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동아출판사, 2018)에 수록되었다. 지은 책으로는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예술세계』,『옛 그림 속 여백을 걷다』, 『그 마음을 그대는 가졌는가』가 있다. 함께 쓴 책으로는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동서예술과 미학』,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실학사설』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미술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한국외대, 한국문학번역원 등에서 강의했으며, 현재는 한국저작권보호 심의위원회에서 심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1992년 유네스코 본부로부터 ‘히라야마 실크로드 펠로우십 프로그램’의 연구자로 선정되어 3개월간 인도·파키스탄·네팔의 불교 유적을 답사했다. 2013년에는 고려대학교 최고강의상인 ‘석탑강의상’을 수상했다. 2015년 네이버 캐스트에 게재된 글 「서양화, 조선을 깨우다」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동아출판사, 2018)에 수록되었다. 지은 책으로는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예술세계』,『옛 그림 속 여백을 걷다』, 『그 마음을 그대는 가졌는가』가 있다. 함께 쓴 책으로는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동서예술과 미학』,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실학사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