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품격』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주최한 "2024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스토리 부문 대상 수상작"이다. 세종의 북방 정책인 4군 6진 설치가 “나는 음식으로 여진족을 정벌해 볼 생각입니다.”라는 임금의 한마디 말과 왕족 이교가 차린 ‘소박한 밥상’에서 비롯됐다는 작가의 새로운 ‘역사 해석’, 그리고 『세종실록』과 그 밖의 역사 기록물을 토대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2024년에 투고된 2,500편의 작품 중에서 "역사적 상상력 기반으로 현대적인 감각과 완성도 조화"라는 평을 받으며 대상으로 선정된 만큼 작품성이 충분히 검증된 작품이다.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7년여간 대학 강사로 일했다. 지금은 호주 시드니에서 인문학 강사로 활동 중이며, 외국인들에게 한국 역사와 문화를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첫 장편 『조선의 등 굽은 정원사』로 2020년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스토리 부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글쓰기를 시작했고, 2024년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스토리 공모대전에서 『조선의 품격』으로 대상을 차지했다. 그 외의 작품으로는 『조선의 왈가닥 비바리』 등이 있다. 저자는 조선 시대 역사를 기반으로 한 글쓰기에 관심이 많아, 조선 시대 문헌 속에 갇힌 인물들을 발굴하고, 그들을 생동감 있게 표현해내는 후속 작품들을 집필 중이다.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7년여간 대학 강사로 일했다. 지금은 호주 시드니에서 인문학 강사로 활동 중이며, 외국인들에게 한국 역사와 문화를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첫 장편 『조선의 등 굽은 정원사』로 2020년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스토리 부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글쓰기를 시작했고, 2024년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스토리 공모대전에서 『조선의 품격』으로 대상을 차지했다. 그 외의 작품으로는 『조선의 왈가닥 비바리』 등이 있다. 저자는 조선 시대 역사를 기반으로 한 글쓰기에 관심이 많아, 조선 시대 문헌 속에 갇힌 인물들을 발굴하고, 그들을 생동감 있게 표현해내는 후속 작품들을 집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