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가정론

$24.84
SKU
979119405619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3/7 - Thu 03/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3/4 - Thu 03/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02
Pages/Weight/Size 190*230*235mm
ISBN 9791194056195
Categories 대학교재 > 예체능/문화/기타 계열
Description
제1장 가족의 의미, 제2장 한국 가족의 변화와 관련된 내용을 통해 가족과 가정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가족의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며, 한국가족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건강가정의 의미, 제4장에서는 건강가정의 요소를 알아본다. 제5장에서는 건강가정의 구성과 탄력성을 통해 튼튼한 가족을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제6장에서는 가족정책 관련법을 통해 정책 추진의 토대가 되는 법규를 배운다.

제7장에서는 건강가정사의 역할과 정의를, 제8장에서는 건강가족정책과 다문화정책의 기본계획을, 제9장에서는 이를 위한 건강가족정책을 파악해 본다. 제10장에서는 이혼, 재혼, 한부모, 조손가족 등 혼인과 관련된 가족 변화와 가족구조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제11장에서는 맞벌이, 입양, 장애, 다문화가족의 형태를 통해 가족기능의 가족 변화를 도모한 가족 구성형태를 알아본다. 제12장에서는 건강가정사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실천과정, 실천기술, 사티어의 의사소통을 통한 실천방안을 찾아본다. 제13장에서는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를 알아봄으로써 건강가정을 위한 사업들의 효율적인 진행방향을 익힌다. 제14장은 건강가정사업에 대한 이론적 접근, 제15장은 건강가정사업에 대한 이론적 접근 방향과 가족치료과정을 통해 건강가정사업 시행 대상별 실천내용을 점검한다.
Contents
CHAPTER 01 가족의 의미와 기능

1. 가족과 가정의 정의
2. 가족의 구조와 기능

CHAPTER 02 한국 가족의 변화

1. 한국 사회의 변화
2. 글로벌 환경 변화
3. 가족 가치관의 변화
4. 가족 유형의 변화
5. 생애주기별 가족관계

CHAPTER 03 건강가정의 의미

1. 건강가정의 이해
2. 건강가정의 정의와 특성
3. 건강가정에 관한 학계의 논의
4. 가족에 대한 신념
5. 건강가족이 되기 위한 전략
6. 가족의 건강성

CHAPTER 04 건강가정의 요소

1. 건강가정의 특징과 양성 평등한 가족관계
2. 의사소통과 바람직한 부모역할
3. 가족 공동여가 및 일과 가정의 조화

CHAPTER 05 건강가정의 구성과 탄력성

1. 건강가정의 구성
2. 가족의 건강성을 회복시키는 가족탄력성

CHAPTER 06 가족정책 관련 법

1. 가족정책 관련 법
2. 건강가정기본법

CHAPTER 07 건강가정사의 정의와 역할

1. 건강가정사의 정의
2. 건강가정사의 역할
3. 건강가정사의 직업윤리
4. 건강가정사가 협력해야 하는 주요 관련자
5. 건강가정사 현장실습
6. 건강가정사 직원교육

CHAPTER 08 건강가정기본계획과 다문화정책 기본계획

1. 건강가정기본계획
2. 다문화정책 기본계획

CHAPTER 09 건강가족정책

1. 건강가족정책의 정의
2. 한국의 건강가족정책
3. 외국의 건강가족정책

CHAPTER 10 혼인과 관련된 가족 변화

1. 이혼가족
2. 재혼가족
3. 한부모가족
4. 조손가족

CHAPTER 11 가족 기능에 따른 가족 변화

1. 맞벌이가족
2. 입양가족
3. 장애가족
4. 다문화가족

CHAPTER 12 건강가정사업

1.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과정
2.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기술
3. 사티어의 의사소통

CHAPTER 13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

1. 건강가정 전달체계의 구성
2. 건강가정서비스 전달체계의 조직
3. 다문화가족지원센터
4. 한부모가족지원센터

CHAPTER 14 건강가정에 대한 이론적 접근

1. 가족체계이론
2.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3. 가족발달이론
4. 페미니스트(여성주의) 이론
5. 교환이론
6. 갈등이론
7. 생태이론

CHAPTER 15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접근방향 및 가족치료

1.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접근방향
2. 가족치료
Author
정완립,오정화,임광혁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석사
미국 New Hope University 특수교육학 석사
미국 Vision International University 사회복지학 박사
경기도의회 의원 역임
장안대, 수원과학대, 대신대학원대, 칼빈대대학원 외래교수 역임
평생교육원 교수(한국복지문화, SE사이버, 한보육, 여기스터디)
미국 Vision International University(KAVIU담당 부총장)

현, 서정대학교 사회복지상담과 교수
사단법인 대한노인회 정책위원
(비) 한국복지문화협회 대표이사장
(복) 무지개동산 법인이사, 예가원 운영자문위원장
예가장애인활동지원기관 센터장

저서: 사회복지현장실습(공저, 양서원, 2020), 건강가정론(공저, 양서원, 2021)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석사
미국 New Hope University 특수교육학 석사
미국 Vision International University 사회복지학 박사
경기도의회 의원 역임
장안대, 수원과학대, 대신대학원대, 칼빈대대학원 외래교수 역임
평생교육원 교수(한국복지문화, SE사이버, 한보육, 여기스터디)
미국 Vision International University(KAVIU담당 부총장)

현, 서정대학교 사회복지상담과 교수
사단법인 대한노인회 정책위원
(비) 한국복지문화협회 대표이사장
(복) 무지개동산 법인이사, 예가원 운영자문위원장
예가장애인활동지원기관 센터장

저서: 사회복지현장실습(공저, 양서원, 2020), 건강가정론(공저, 양서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