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만 바라보고 살아왔던 재즈 연주가 정태호의 에세이집. 음악을 하면서 느꼈던 삶과 술, 영화 그리고 고독에 관하여 담담하게 풀어간다. 자신을 음악가, 즉 ‘악사’라고 고집하는 그가 사람들에게 음악과 술, 그리고 조용한 곳으로의 산책을 권한다. 그것이 처방전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악사의 처방전’이다. 친절하게도 챕터마다 술과 노래를 곁들인 처방전을 적어 두어, 병원에 가지 않고도 우울함과 고독함을 즐기게 한다. 그와 함께 긴 여정을 시작해보자.
“술 인생 30년, 악사 인생 25년을 담은 책을 발매하게 되었습니다. 술과 음악을 통해 만난 소중한 인연, 아름다운 순간, 잊지 못할 기억을 담아 쓴 글입니다.”
Contents
INTRO
1__내 서늘한 가슴에 있네
안개 속으로 가버린 사랑
부에나 비스타 코리안 클럽
시간을 견뎌온 자리
음주인을 위한 10가지 주계명
라벨의 볼레로와 끝없이 이어지는 술잔
2__그렇게 우리는 익어간다
Viva, Cuba Libre
현해탄 달빛 아래 술잔은 흔들리고
헛헛함 뒤에 남은 것
막걸리 블루스
나와 타이스의 명상곡
우리 술이 너무 슬퍼서였습니다
그녀와 그녀의 미더덕찜
3__그리움에 취하고
비 오는 날 오후 3시엔 라가불린을 마신다
보리수염주, 나의 때늦은 성장통
나의 애정하고 애증하는
모두의 와이키키를 위하여
기억의 숲 어디쯤
도라지 위스키는 곁에 없지만
대숲에 실어 보낼 이야기
OUTRO
Author
정태호
대원외국어고등학교 독일어과를 졸업한 후 고려대학교 경영학과에 진학했으나 자본주의 수업에 적응하지 못하고 헤매다 2점 초반의 학점으로 겨우 졸업했다. 전공 관련 일은 해본 적이 없고 음악의 길로 주구장창 살아왔다. 20대 초반 록 드러머로 데뷔해 군악대 제대 후엔 재즈씬에 뛰어들었고, 탱고에 미쳐 독학으로 아코디언 연주자가 되었다. 작곡과 편곡 작업으로 여러 작품의 음악감독을 역임했고 현재는 피아니스트로서 연주 활동도 하고 있다. 술에 대한 지독한 철학을 가지고 있어 술과 음악이 있으면 어디든 간다.
대원외국어고등학교 독일어과를 졸업한 후 고려대학교 경영학과에 진학했으나 자본주의 수업에 적응하지 못하고 헤매다 2점 초반의 학점으로 겨우 졸업했다. 전공 관련 일은 해본 적이 없고 음악의 길로 주구장창 살아왔다. 20대 초반 록 드러머로 데뷔해 군악대 제대 후엔 재즈씬에 뛰어들었고, 탱고에 미쳐 독학으로 아코디언 연주자가 되었다. 작곡과 편곡 작업으로 여러 작품의 음악감독을 역임했고 현재는 피아니스트로서 연주 활동도 하고 있다. 술에 대한 지독한 철학을 가지고 있어 술과 음악이 있으면 어디든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