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몽자회』 한자음 연구

$26.45
SKU
979119398535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Tue 12/1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1/29 - Tue 1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10/30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91193985359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기존 중국 한자음을 토대로 훈몽자회 한자음 연구

조선시대 1527(중종 22)년 최세진(崔世珍)에 의해 쓰여진 『훈몽자회』는 한자 학습서로 3권 1책으로 되어 있다. 3,360자의 한자를 분류하여 네 자씩 묶어 33항목으로 갈라 한글로 음과 뜻을 달았다. 즉 한글 자모의 이름과 읽는 방법을 기록해 놓은 책이다. 『훈몽자회』는 중세국어의 어휘를 알 수 있어 중세국어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특히 훈민정음으로 쓰인 한자어 훈과 음이 달려 있어 중세국어 어휘를 다수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대 한글 자모 명칭의 기원이 된 책으로 평가된다.
Contents
추천사_홍윤표(전 연세대학교 교수)
머리말

제1장 서론

1. 한자의 기원
2. 한자의 형태
3. 한자의 어음
4. 한자의 의미
5. 한자의 수량
6. 한자의 우점과 결점 및 전도
7. 『훈몽자회(訓蒙字會)』 한자음 연구

제2장 『훈몽자회』 성모의 내원

1. 순음
2. 설두음
3. 설상음
4. 치두음
5. 정치음
6. 아음
7. 후음
8. 반설음
9. 반치음

제3장 『훈몽자회』 운모의 내원

1. 果攝
2. 假攝
3. 遇攝
4. 蟹攝
5. 止攝
6. 效攝
7. 流攝
8. 咸攝
9. 深攝
10. 山攝
11. 臻攝
12. 宕攝
13. 江攝
14. 曾攝
15. 梗攝
16. 通攝

제4장 『훈몽자회』 한자음 내원 분석에서 제기되는 문제

1. 『훈몽자회』 한자음의 특성
2. 『훈몽자회』 성모의 내원
3. 『훈몽자회』 한자음 성모 체계
4. 『훈몽자회』 운모의 내원
5. 『광운』 운모와 『훈몽자회』 운모의 대응 여부에 따른 분류
6. 순음 성모 뒤 개음의 탈락
7. 아후음 성모 뒤 개음 [i]의 탈락
8. 『훈몽자회』 운모가 지칭하는 『광운』 운모
9. 『훈민정음』의 자모 ‘·(아래아)’가 한국어 어음이 아니다
10. 조계 계열 성모 뒤의 ?개음 [i]의 탈락 여부에 따른 한자 발음의 차이
11. 『훈몽자회』 한자음 운모 체계
12. 16세기 한국어 모음 체계

제5장 결론

1. 한자음 연구의 필요성
2. 한자와의 접촉과 한자음의 형성
3. 한사군(漢四郡) 시기의 한자음
4. 삼국 시기와 고려 시기의 한자음
5. 이조 시기의 한자음
6. 당대의 한자음

참고문헌
Author
최희수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석사과정을 수료한 후, 동 대학교 조선어학과 교수로 정년퇴임하였다. 중국 국가철학사회과학 기금항목 평심위원·중국 조선어학회 비서장·중국 한국어교육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우수교사 칭호·한국 동숭학술연구상·한국정부 문화상 등을 받았다.

저서로 『조선어 한자음 연구』, 『한국어 기초문법』, 『한한어음 대비』, 『중국 조선족 언어 연구』(공저), 『한어음운학 통론』(공저), 『한국어 실용 문법』(공저), 『한국어 어음훈련 교정』(공저), 각종 한국어 교과서와 「15세기 조선어모음체계에 대하여」, 「조선민족 전설에서의 누르하치」 등 논문 수십 편이 있다.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석사과정을 수료한 후, 동 대학교 조선어학과 교수로 정년퇴임하였다. 중국 국가철학사회과학 기금항목 평심위원·중국 조선어학회 비서장·중국 한국어교육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우수교사 칭호·한국 동숭학술연구상·한국정부 문화상 등을 받았다.

저서로 『조선어 한자음 연구』, 『한국어 기초문법』, 『한한어음 대비』, 『중국 조선족 언어 연구』(공저), 『한어음운학 통론』(공저), 『한국어 실용 문법』(공저), 『한국어 어음훈련 교정』(공저), 각종 한국어 교과서와 「15세기 조선어모음체계에 대하여」, 「조선민족 전설에서의 누르하치」 등 논문 수십 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