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우도와 우도론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19.44
SKU
979119398528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9/20 - Thu 09/2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9/17 - Thu 09/1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7/30
Pages/Weight/Size 152*224*20mm
ISBN 9791193985281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한국 고전문학에서의 우도(友道)와 우도론(友道論)의 의의를 밝히다

이 책은 메말라 가는 현대인의 우정에 감성을 되찾고자 하는 바람을 담아 출판하게 된 책이다. ‘군자(君子)’의 ‘우도(友道)’ 곧 참된 ‘벗사귐의 도리’는 서로 진실되게 일러주면서 착한 길로 인도하는 것이며, 남[벗]의 아름다운 점을 성취시켜 주되 남[벗]의 악한 점을 굳이 들추어내지 않는 것이며, 끝까지 신의(信義)를 저버리지 않는 것이며, 포용하는 자세로 널리 대중을 사랑하되 덕(德)을 벗삼기 위해서 어진 이[仁人]를 가까이하는 것이며, 사양(辭讓)하는 마음으로써 자기 자신보다 훌륭한 현자(賢者)를 사모하고 높이는 것이다. 그리고 시대와 연령의 차이를 초월하고 신분·지위 고하, 남녀를 초월하여 덕을 벗삼는 것이며, 진정으로 뜻이 통하는 참된 벗사귐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천하의 착한 사람들과 같아지려고 부단히 자기 몸을 갈고 닦아 자기의 덕을 고양하는 것이다. 이 책은 이와 같은 의미가 담긴 선인들의 고전문학 작품을 통해 실종된 우정의 의미를 되살려 보고자 한다.

중국 춘추시대 초(楚)나라에 거문고를 잘 타던 백아(伯牙)가 있었다. 백아의 거문고 소리를 종자기(鍾子期)가 잘 알아들었는데, 종자기가 죽자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고 세상에 ‘지음(知音)’[知己]이 없는 것을 애통해 하였다. 이 이야기로 유래된 말이 백아절현(伯牙絶絃)인데,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이다. 자신의 음악을 진정으로 알아주던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더 이상 음악을 할 수 없음을 애통히 여겨 거문고 줄을 끊었던 것이다. 백아절현을 줄여 절현(絶絃)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가장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비유할 때 사용한다. 아마도 가장 사랑하는 사람은 옆에 있는 아내를 지칭할 수도 있다. 그래서 사랑하는 아내의 죽음을 절현에 비유하기도 한다. 그런데 지금의 세태는 동고동락하던 반쪽이 먼저 세상을 떠나면 절현의 의미대로 상대방을 그리워하고 그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는 것이 아니라 애도(哀悼)의 시간도 가지지 않은 채, 새 줄로 바꿔 타는 행위를 서슴지 않고 있다. 이처럼 현대인은 우정과 애정 모두 땅에 떨어진 시대를 살고 있다. 이런 세태에 진정한 우도를 알려 세상사는 맛을 느끼게 하고픈 생각에 필자는 이 책을 세상에 내놓은 것이다.

또한 한편으로는 신분과 관계없이 사귀는 벗사귐도 살펴보았다. 요즘 직장에서 상사와 아래 직원과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도 있기에 신분상의 관계에서는 어떻게 처신해야 올바른 관계가 이루어지고 그 관계가 오래 갈 수 있는지 등을 이야기 하고 있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장 한국의 우도와 우도론을 연구하게 된 배경과 이유

제2장 우도와 우도론 및 그 문학적 형상화

1. 우도와 우도론
2. 우도와 우도론의 문학적 형상화

제3장 한국 고전문학에서의 우도와 우도론의 양상

1. 시가류
1) 한시
2) 향가
3) 시조
4) 민요

2. 산문류
1) 소설
2) 인물전 및 기타

제4장 우도와 우도론의 한국적 특색과 유형

1. 신의와 도의에 의한 수평적 벗사귐
1) 관포지교(管鮑之交)형
2) 도원결의(桃園結義)형
3) 지기(知己) 간의 붕우지도(朋友之道)

2. 신분과 지위를 초월한 수직적 벗사귐
1) 존현(尊賢)의 관계: 요 임금과 순 임금 · 유비와 제갈공명
2) 귀귀(貴貴)의 관계: 제갈공명과 유선 · 득오와 죽지랑
3) 사숙(私淑)의 관계: 시간과 공간의 초월

3. 자연물에 탁의(託意)한 심상과 상징성
1) 이미지: 風 · 花 · 栢 · 月 · 水 · 石 · 松 · 竹
2) 상징성: 절의(節義)의 불변성과 자강불식(自彊不息)의 태도

제5장 맺음말

참고문헌
Author
정만섭
서강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서강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우즈베키스탄 국립니자미사범대학교 명예박사(1998)
서강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 취득(2001)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국어교사
교육부국제교육진흥원교수(연구사)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한국교육원장
교육부 학교정책과/ 재외동포교육과 연구관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장학관
서울시 서부교육청 중등교육과장
서율시 구산중학교 교장
서울시 서부교육청 학무국장
서울시 강서교육청 교육장(퇴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서울시 남부지방법원 민사 조정위원
(現) 서울시 은평구청 옴부즈만 위원장
(現) 사단법인 다산 정약용문화교육원 상임고문

[ 논문 ]
『에밀 졸라의 移入과 영향에 관한 硏究』
『韓國 古典文學에 나타난 友道와 友道論 硏究』
『友道와 友道論의 槪念과 來歷』 등이 있음.
서강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서강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우즈베키스탄 국립니자미사범대학교 명예박사(1998)
서강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 취득(2001)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국어교사
교육부국제교육진흥원교수(연구사)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한국교육원장
교육부 학교정책과/ 재외동포교육과 연구관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장학관
서울시 서부교육청 중등교육과장
서율시 구산중학교 교장
서울시 서부교육청 학무국장
서울시 강서교육청 교육장(퇴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서울시 남부지방법원 민사 조정위원
(現) 서울시 은평구청 옴부즈만 위원장
(現) 사단법인 다산 정약용문화교육원 상임고문

[ 논문 ]
『에밀 졸라의 移入과 영향에 관한 硏究』
『韓國 古典文學에 나타난 友道와 友道論 硏究』
『友道와 友道論의 槪念과 來歷』 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