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는 함께 모여 살게 된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살도록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제 영역에서 이전 세대들로부터 전해진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끊임없는 혁신을 추구했다. 사람이 만든 도시가 역사 속에서 수행한 다양한 기능과 역할은 결국 사람들의 의지와 기대를 투영한다. 고대도시에서 스마트시티까지 도시 문명으로 보는 인류의 역사.
Contents
들어가는 글
1장_문명의 탄생과 고대도시
도시의 기원
메소포타미아 문명, 이집트 문명과 도시
인더스 문명, 황허 문명과 도시
고대 지중해 도시 네트워크와 그리스 도시국가
로마의 유산
2장_전근대 도시 문명의 발전
이슬람 세계의 도시
실크로드, 인도양 무역과 도시
동아시아 도시의 성장
유럽 중세 도시의 자치운동
유럽의 중세와 르네상스 도시 문화
3장_근대세계체제와 도시 네트워크
근대세계체제와 유럽의 도시 발전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의 도시화
서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도시화
명·청 시대 중국의 도시화와 도시 문화
조선과 일본 에도 막부의 도시 문화
4장_산업화와 도시화의 확산
산업혁명과 도시의 팽창
사회주의와 노동운동의 성장
공중보건과 도시환경 개선
제국주의 식민도시
동아시아의 개항과 서양 도시 문화의 수용
5장_현대 도시의 위기와 기회
유럽과 미국 도시의 성장과 한계
도시재생과 재활성화
동아시아 도시의 성장
제3세계 과잉 도시화와 도시 혁신 시도
기후 위기와 도시 문명의 지속가능성
참고문헌
Author
민유기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글로컬역사문화연구소장, 도시사학회장.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박사. 현대 프랑스 도시문화사, 정치문화사, 사회정책사 등을 연구한다.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파리I대학에서 석사학위를,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논문으로 「프랑스 사회주의 시정의 탄생」「파리의 세입자 운동과 주거권의 요구 1880~1914」등이 있고, 2006년에 논문 「‘출산파업’과 민족의 자살‘에 대한 사회적 대응-프랑스 가족보호정책의 기원(1874~1914)」으로 한국서양사학회 우수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지은 책으로 『도시는 역사다』(공저) 『도시화와 사회갈등의 역사』(공저), 옮긴 책으로 『도시와 인간』, 『무방비 도시』 등이 있다.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글로컬역사문화연구소장, 도시사학회장.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박사. 현대 프랑스 도시문화사, 정치문화사, 사회정책사 등을 연구한다.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파리I대학에서 석사학위를,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논문으로 「프랑스 사회주의 시정의 탄생」「파리의 세입자 운동과 주거권의 요구 1880~1914」등이 있고, 2006년에 논문 「‘출산파업’과 민족의 자살‘에 대한 사회적 대응-프랑스 가족보호정책의 기원(1874~1914)」으로 한국서양사학회 우수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지은 책으로 『도시는 역사다』(공저) 『도시화와 사회갈등의 역사』(공저), 옮긴 책으로 『도시와 인간』, 『무방비 도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