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대국이 금융을 지배하던 시대는 끝났다!
“비트코인은 왜 미국 대선의 쟁점이 되었는가?”
브레턴우즈 체제의 붕괴와 페트로달러의 종언
기득권의 경제적 특권을 무너뜨리는 새로운 화폐의 도래
비트코인은 기존의 화폐와 달리 어떤 정부와 기관에도 통제되지 않는 화폐다. 이 때문에 비트코인은 새로운 가치저장 수단으로서 주목받고 있지만 비트코인의 진짜 무서운 점은 따로 있다. 바로 소수의 국가와 사람들이 독점해 온 경제적 특권을 무너뜨리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은 브레턴우즈와 페트로달러 체제를 거치며 세계 경제가 금이 아닌 미국의 부채에 의존하도록 만들었다. 다른 나라는 도저히 따라 할 수 없는 이 방법을 통해 미국은 자국의 복지와 전쟁 비용을 다른 나라가 부담하도록 하는 특권을 누려왔다. 2024년 미국 대선에서 비트코인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던 것은 비트코인이 그동안 달러를 중심으로 작동하던 세계 경제 시스템을 흔들고 있으며, 이는 곧 미국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트럼프가 “미국이 비트코인을 모두 보유하겠다”고 선언한 것은 흔들리는 달러패권 속에서 미국의 힘을 공고히 하기 위함과 무관하지 않다.
경제적 특권은 인간의 역사에 내재한 속성이며, 역사의 방향을 좌우해 온 요인이기도 하다. 그리고 비트코인은 미국이라는 국가를 넘어 수많은 기득권의 특권을 무너뜨리고 있다. 기존의 금융 시스템을 비롯하여 그 어떤 정부나 독재자도 비트코인을 완벽하게 제재할 수 없다. 비트코인은 가자지구와 텔아비브, 하바나와 마이애미, 다카르와 파리, 워싱턴과 카라카스에 사는 모든 사람이 동등한 규약에 따라 대우받을 수 있는 공평한 운동장을 조성한다. 비트코인 규약은 모든 인류에 대해 중립을 지키며, 재산의 정도나 피부 색깔, 신념, 가계 이력, 종교, 국적 등에 따라 차별하지 않는다. 이것이 비트코인의 진짜 힘이다.
이 책은 투자 자산으로서 비트코인을 다루지 않는다. 금본위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경제적 특권을 지닌 계층이 어떻게 세계 경제를 지배해 왔는지 돌아보며 강대국이 개발도상국을, 기득권이 비기득권을, 독재자가 시민을 착취하는 것에 대한 대항마로서 비트코인을 이야기한다. 특히 미국이라는 ‘초제국’을 중심으로 작동했던 달러 체제의 균열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비트코인이 앞으로 대체할 수 없는 자산이 될 거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 사이퍼펑크의 탄생
· 사이퍼펑크 메일링 리스트
· 암호 전쟁
· 디지캐시에서 비트골드까지
· 비트코인 가동
· 제네시스 블록
· 기술적 경이
· 비트코인의 프라이버시 문제
· 기밀 거래
3장 페트로달러 체제의 숨은 비용
· 페트로달러의 탄생
· 페트로달러의 영향
· 미국의 외교 정책과 페트로달러
· 독재자, 불평등, 화석연료
· 비트코인과 다극 세계
4장 비트코인은 자유를 위한 트로이 목마
· 율리시스에서 사토시 나카모토까지
· 숫자 상승과 자유 상승
· 보이지 않는 혁명
· 이기심을 자유 확대로 전환하라
5장 마을과 독재자
· 번개처럼 빠른 라이트닝
· 금융혁명이 일어나기 힘든 곳
· 달러 전환의 상흔
· 마을
· 비트코인 비치
· 기부금
· 독재자
· 나 자신이 은행이 된다
· 열쇠가 없으면 내 돈이 아니다
6장 금융 식민 지배에 대항하는 오픈소스 코드
· CFA 체제의 메커니즘
· 파리다 나부레마의 토고 경제 자유화 투쟁
· 세네갈에 비트코인을 도입하는 포데 디오프의 사명
· 화폐와 국가의 분리
7장 팔레스타인의 통화 자유
· 상시 개방 검문소
· 금융 억압의 역사
· 파리의정서
· 의존의 문제점
· 야세르 아라파트의 부패가 남긴 것
· 라말라의 은행에서 비트코인까지
· 새로운 저항경제
· 이스라엘 비트코인 커뮤니티
· 이스라엘 정착민이 보는 비트코인
· 주권 쟁탈전
· 팔레스타인 비트코인의 미래
· 도덕성 과시를 넘어서는 운동?
· 돈을 바로잡으면 세상이 바로잡힌다
8장 쿠바의 비트코인 혁명
· 화폐 정화
· 비트코인을 통한 자유
· 쿠바 경제 곤경의 역사
· 쿠바의 인권 위기
· 계속되는 금수조치의 영향
· 비트코인은 쿠바 체제를 푸는 ‘치트키’
· 아바나의 비트코인 경제 건설
· 새로운 쿠바가 온다
9장 아프가니스탄의 경제적 자유
· 인터넷과의 만남
· 마부브의 성채
· 비트코인 입문
· 난민의 탈출
· 경제 붕괴
· 비트코인이 해결한다
· 부패의 잔재
· 새로운 장
10장 비트코인이 인도주의와 환경문제에 미치는 영향
· 중개인을 몰아낸다
· 착취 사회
· 자립을 위한 불쏘시개
· 콩고의 비트코인 채굴
· 함정에 조심하라
11장 비트코인과 미국의 이상
· 비트코인과 블랙 아메리카
· 바그다드에서 비트코인까지
· 안장과 기수
12장 초제국주의의 종말
· 채권국 미국의 흥망성쇠· 브레턴우즈 체제의 실패
· 금본위제의 소멸과 국채 본위제의 부상
· 초제국주의 미국은 어떻게 베트남전 비용을
· 세계에 전가했나
· OPEC이 구조에 나서다
· 개발도상국 착취
· 국채 본위제의 재정적 시사점
· 반박 이론과 비판
· 한 시대의 종말?
· 비트코인 대 초제국주의
미주
Author
알렉스 글래드스타인,김동규,오태민
시민의 자유를 증진하기 위한 비영리재단인 휴먼라이츠재단(Human Rights Foundation)의 최고전략책임자(Chief Strategy Officer, CSO)를 역임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인 인권 행사 오슬로자유포럼(Oslo Freedom Forum)의 전략부의장(Vice President of Strategy)을 맡고 있다. 자유로운 사회와 인권 향상을 위해 수많은 정책 입안자와 비즈니스 리더, 예술가, 시민단체와 소통하고 있다. MIT부터 스탠퍼드대학까지 다양한 대학에서 연설하고 유럽의회와 미국 국무부에서 발표한 바 있다. 세계적인 비트코인 권위자 중 한 명으로 비트코인과 돈의 미래에 대하여 싱귤래리티대학(Singularity University)에서 강연하기도 했다. 인권과 기술에 대한 그의 견해는 디애틀랜틱(The Atlantic), BBC, CNN, 패스트컴퍼니(Fast Company), 가디언(Guardian),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 NPR, 타임(Time),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 등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시민의 자유를 증진하기 위한 비영리재단인 휴먼라이츠재단(Human Rights Foundation)의 최고전략책임자(Chief Strategy Officer, CSO)를 역임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인 인권 행사 오슬로자유포럼(Oslo Freedom Forum)의 전략부의장(Vice President of Strategy)을 맡고 있다. 자유로운 사회와 인권 향상을 위해 수많은 정책 입안자와 비즈니스 리더, 예술가, 시민단체와 소통하고 있다. MIT부터 스탠퍼드대학까지 다양한 대학에서 연설하고 유럽의회와 미국 국무부에서 발표한 바 있다. 세계적인 비트코인 권위자 중 한 명으로 비트코인과 돈의 미래에 대하여 싱귤래리티대학(Singularity University)에서 강연하기도 했다. 인권과 기술에 대한 그의 견해는 디애틀랜틱(The Atlantic), BBC, CNN, 패스트컴퍼니(Fast Company), 가디언(Guardian),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 NPR, 타임(Time),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 등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