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ing soon

지역브랜드가 세계브랜드다

도시 재생, 스마트 시티 준비를 위한 필독서
$16.20
SKU
9791193796221

 

COMING SOON [판매 예정] 상품입니다.

[판매 예정] 상품은 출간일(Publication Date) 이후 주문이 가능합니다.

 

▷출간일 이후에도 아직 [판매 예정]으로 보이는 경우 info@kbookstore.com 으로 문의주세요.

주문 가능 여부를 확인 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COMING SOON [판매 예정] 상품입니다.

[판매 예정] 상품은 출간일(Publication Date) 이후 주문이 가능합니다.

* 출간일 이후에도 아직 [판매 예정]으로 보이는 경우 info@kbookstore.com 으로 문의주세요.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25
Pages/Weight/Size 150*210*20mm
ISBN 9791193796221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본서를 기반으로 지역 브랜드의 활성화를 기대하며 경제적 활성화 측면에서는 문화 클러스터의 성공적인 개발과 운영은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관광객 유치, 지역 상품 및 서비스의 수요 증가,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지역 경제의 다양화와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사회문화 측면에서 문화 클러스터는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역민의 커뮤니티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문화적 활동과 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포용과 문화적 다양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도시재생 및 지역 브랜드 강화로 문화 클러스터는 방치되었거나 활용도가 낮은 도시 지역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지역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고, 지역을 대표하는 특색 있는 명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는 지속가능성을 촉진하여 문화 클러스터 개발 과정에서 스마트 모빌리티와 같은 현대적인 인프라 구축을 포함함으로써, 지역 내에서의 이동성 향상과 환경친화적인 도시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 문화 클러스터 개발 모델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수립과 장기적인 개발 계획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지역 특색에 맞는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문화 클러스터의 개발은 지방자치단체에게 경제적, 사회문화적 발전을 가져오는 동시에 지역의 장기적인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Contents
01. 들어가며 3

02. 지역 브랜드 필요한가? 17

- 왜 지역 클러스터인가? 20

03. 문화 클러스터 25

- 문화 클러스터 환경변화 26
가치관의 다양화와 변화의 시대 26
고도 정보시대 27
글로벌화의 진전 28
지방자치시대 29
- 문화 클러스터의 개념 및 정의 30
지역 문화 클러스터 31
지역자원의 분류와 평가항목 40
- 문화 클러스터 유형별 연구 43
ㆍ문화와 클러스터 유형 43
문화단지 지역 지정현황 1차 52
문화단지 지역 지정현황 2차 52
지역산업 상관관계 및 성장요인 55
해외 클러스터의 성공 요인 분석 55
ㆍ문화 클러스터 자원의 유형 57
지역 자원 중심형 57
지역 자원의 유형도 59
역사적 자원 59
환경적 자원 60
에코벨트 조성 63
지역 문화적 자원 64
지역 브랜드 창출형 65
지역 메가 브랜드 66
지역 제품 브랜드 69
축제 71
이벤트 75
캠페인 76
- 문화 클러스터의 구성요소 78
이미지메이킹 79
문화 클러스터 구성요소 81
강한 지역 브랜드 이미지 구축의 예 84
매력창출 89
매력있는 브랜드를 지역 문화자원으로 만들기 위한 요소 89
문화구현 91
연관성의 문화적 클러스터 93

04. 문화 클러스터 개발 체계 구축 97

- 지역 브랜드와 문화 클러스터의 기본구조 99
지역 문화 클러스터 개념도 101
인적 요인 101
지역적 요인 102
시각적 요인 103
문화적 요인 105
체험적 요인 106
지역금융 기능적 요인 107
- 지역 브랜드와 문화 클러스터 입지여건 108
문화 클러스터 입지여건 111
지역 브랜드 개발을 위한 고찰 112
- 지역 브랜드와 문화 클러스터 성립형태 116
ㆍ지역 아이덴티티 도입 116
ㆍ지역 가치 최대로 높이기 121
ㆍ파워 지역 문화 브랜드 구축 122
일관성의 법칙 123
혁신의 법칙 124
ㆍ클러스터 브랜딩 125
ㆍ지역별 차별화된 문화 클러스터 126
ㆍ체험 커뮤니케이션 중시 127
ㆍ독자적 문화 클러스터의 필요성 128
- 지역 브랜드와 문화 클러스터의 발전 129
ㆍ지역 문화 클러스터의 필요성 129
ㆍ문화의 상품자본화 133
지역 문화 클러스터 구조도 135
ㆍ문화 클러스터의 브랜드화 135
ㆍ국내 문화 클러스터 발전조건 137
문화관광권 및 특화주제 138

05. 지역 문화 클러스터개발 성공사례 141

- 캠페인 개발모델 사례 143
ㆍ시즈오카현 하마마쓰 : 외국인을 위한 ‘지역공생’ 마을조성 143
ㆍ시골집 생활 「낙원 신슈」 : 신슈 145
- 지역자원 개발 모델 사례 147
ㆍ밝고 활기 찬 전통 가게 : 도쿠시마현 사다미쓰정 147
ㆍ매력 있는 지역으로 재생 : 구로카베 149
ㆍ아트 플랜21 : 미카와 사쿠도 153
- 친환경적 개발모델 156
ㆍ독창적이며 자발적인 지역 녹화 : 히바루 오카야마수 156
ㆍ시즈오카현 : 녹차 클러스터 157
- 체험적 커뮤니티 개발모델 158
ㆍ자연체험촌 ‘곤충의집’ : 오호츠크 158
ㆍ아이를 위한 문화 예술공간 : 미야자끼 161
ㆍ하기소 하나레 : 도쿄 164

06. 지역 문화 클러스터 개발 전략 167

- 캠페인 개발모델 172
- 지역자원 개발모델 177
- 친환경적 개발 모델 181
- 체험적 커뮤니티 개발 모델 184

07. 맺음말 189

- 참고문헌 194
- Abstract 197

〈표 목차〉

〈표 1〉 지역개발디자인 및 지역아이덴티티와 지역이미지 형성 / 40
〈표 2〉 문화 클러스트 유형 / 46
〈표 3〉 문화단지 지역의 지정현황 1차 지정 / 52
〈표 4〉 문화단지 지역의 지정현황 2차 지정 / 52
〈표 5〉 문화단지 해외 사례 / 54
〈표 6〉 문화 클러스터 입지여건 분류 / 112
〈표 7〉 국내 문화 클러스터 발전조건 / 138

〈그림 목차〉

〈그림 1〉 지역 문화 클러스터/ 31
〈그림 2〉 문화 클러스터 유형별 사례 / 48
〈그림 3〉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클러스터 활용방안 / 49
〈그림 4〉 CT클러스터의 발전전략과 정책방향 / 50
〈그림 5〉 지역산업 상관관계 / 55
〈그림 6〉 지역 자원 유형도 / 59
〈그림 7〉 서울시 브랜드 변화 / 66
〈그림 8〉 지역 메가 브랜드 / 69
〈그림 9〉 상주곶감 이미지 / 70
〈그림 10〉 해외 축제 사례 / 74
〈그림 11〉 브랜드 요소 / 81
〈그림 12〉 문화 클러스터 구성요소 / 84
〈그림 13〉 브랜드 이미지 유형 / 86
〈그림 14〉 브랜드의 요소 / 87
〈그림 15〉 지역 문화 클러스터 개념도 / 101
〈그림 16〉 앤홀트의 육각형(Hexagon) 모델 / 119
〈그림 17〉 앤홀트의 육각형(Hexagon) 모형 / 119
〈그림 18〉 파워 지역 구축 / 125
〈그림 19〉 지역 문화 클러스터 구조도/ 135
〈그림 20〉 일본 사례 / 146
〈그림 21〉 일본 사례 / 148
〈그림 22〉 일본 사례 / 151
〈그림 23〉 일본 사례 / 154
〈그림 24〉 일본 사례 / 158
〈그림 25〉 일본 사례 / 162
〈그림 26〉 하기소 소개 / 164
〈그림 27〉 하기소 전경 / 165
〈그림 28〉 문화 클러스터 개발 전략 / 172
〈그림 29〉 캠페인 개발 전략 / 176
〈그림 30〉 지역자원 개발모델 / 180
〈그림 31〉 친환경형 개발 전략 / 183
〈그림 32〉 체험형 커뮤니티 개발 전략 / 185
Author
김혜정
한라대학교 영상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디자인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박물관, 전시관, EXPO 등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적인 체험형 에듀테인먼트와 기술디자인에 대하여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국내 아트디렉터 권위자로 (사)한국공간디자인학회에서 우수 논문심사위원상 수상, 대한민국인물대상전 디자인콘텐츠 대상, 코리아혁신대상에서 디자인산업부문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사)전국여교수연합회 부회장 및 광고위원장, (사)한국색채학회 이사, (사)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의 심의위원,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심사위원, 강원도 지역혁신위원, 인천광역시 경관위원, 경기도 경관위원, 원주시 공공디자인 및 경관·기술자문 위원이다.
한라대학교 영상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디자인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박물관, 전시관, EXPO 등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적인 체험형 에듀테인먼트와 기술디자인에 대하여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국내 아트디렉터 권위자로 (사)한국공간디자인학회에서 우수 논문심사위원상 수상, 대한민국인물대상전 디자인콘텐츠 대상, 코리아혁신대상에서 디자인산업부문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사)전국여교수연합회 부회장 및 광고위원장, (사)한국색채학회 이사, (사)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의 심의위원,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심사위원, 강원도 지역혁신위원, 인천광역시 경관위원, 경기도 경관위원, 원주시 공공디자인 및 경관·기술자문 위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