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소의 사회계약론

$31.86
SKU
979119379616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4/14 - Fri 04/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9 - Fri 04/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25
Pages/Weight/Size 130*150*30mm
ISBN 9791193796160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프랑스혁명의 이론적 기반이 됐으며 민주주의의 교과서이기도 합니다. 국민투표에 의한 직접민주주의 방식과 주권재민, 그리고 의회제와 같은 근대 민주주의 정치 원리가 이 책에서 비롯됐습니다. 오늘날 지방자치제를 통한 참여 민주주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사회계약’을 통한 ‘일반의지’의 실현이라는 루소의 제안은 국민의 참여를 통한 민주주의 실현의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할 수 있는 지침이 될 수 있습니다.
Contents
제1권

01. 첫 번째 책의 주제에 관하여 / 24
02. 초기 사회에 관하여 / 26
03. 가장 강한 자의 권리에 관하여 / 33
04. 노예 제도에 관하여 / 36
05. 우리는 항상 첫 번째 대회로 돌아가야 한다 / 45
06. 사회 협약에 관하여 / 47
07. 주권자에 관하여 / 53
08. 정치 상태에 관하여 / 58
09. 소유권에 관하여 / 61

제2권

01. 주권은 양도할 수 없다 / 68
02. 주권은 분할 될 수 없다 / 71
03. 일반의지가 잘못될 수 있다면 / 76
04. 주권적 권력의 한계에 관하여 / 80
05. 삶과 죽음의 권리에 관하여 / 87
06. 법률에 관하여 / 91
07. 입법자(국회의원)에 관하여 / 98
08. 국민에 관하여(1) / 106
09. 국민에 관하여(2) / 110
10. 국민에 관하여(3) / 115
11. 다양한 입법 체계에 관하여 / 121
12. 법의 분류에 관하여 / 126

제3권

01. 정부 일반에 관하여 / 130
02. 다양한 형태의 정부를 구성하는 원칙에 관하여 / 140
03. 정부의 분류에 관하여 / 146
04. 민주정에 관하여 / 149
05. 귀족정에 관하여 / 153
06. 군주제(왕정)에 관하여 / 158
07. 혼합 정부에 관하여 / 169
08. 모든 정부 형태가 모든 나라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 172
09. 좋은 정부의 징후에 관하여 / 182
10. 정부의 권력남용과 그 타락 경향에 관하여 / 185
11. 정치체의 죽음에 관하여 / 194
12. 주권적 권위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1) / 197
13. 주권적 권위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2) / 200
14. 주권적 권위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3) / 204
15. 대의원 또는 대표에 관하여 / 206
16. 정부 설립은 결코 계약이 아니다 / 214
17. 정부 설립에 관하여 / 217
18. 정부의 찬탈을 방지하는 수단에 관하여 / 220

제4권

01. 일반의지는 파괴될 수 없다 / 226
02. 투표에 관하여 / 231
03. 선출에 관하여 / 238
04. 로마 민회에 관하여 / 243
05. 호민관 제도에 관하여 / 264
06. 독재관 제도에 관하여 / 268
07. 감찰관 제도에 관하여 / 274
08. 시민 종교에 관하여 / 278
09. 결론 / 298

장 자크 루소의 삶 / 300
ㆍ가장 독창적인 사상가로 평가받다 / 300
ㆍ제네바에서 시계공의 아들로 태어나다 / 301
ㆍ아버지가 루소를 버리고 제네바를 떠나다 / 302
ㆍ음악에 관심을 가지다 / 305
ㆍ부퐁논쟁에 뛰어들다 / 309
ㆍ계몽주의를 비판한 계몽주의자였다309
ㆍ공작 가문의 후원으로 저술에만 몰두하다 / 315
ㆍ1778년 7월 2일 파리 교외의 에름농빌에서 세상을 떠나다 / 323
ㆍ자연 상태에서 인간의 감성적인 모습에 초점을 맞추다 / 325
ㆍ루소는 전체주의의 시조인가? / 328
ㆍ루소의 사상은 직접민주주의인가? / 333
ㆍ루소는 다수결을 무조건 옳다고 생각했는가? / 338
ㆍ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되지’의 유포자였나? / 341
ㆍ루소의 사상은 사회에 준 영향은 엄청나게 크다 / 342
ㆍ『에밀』은 서구 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 349
ㆍ16살 때 갑자기 알 수 없는 충동에 휩싸이다 / 355
ㆍ5명의 자식을 고아원에 버리다 / 357
ㆍ루소는 여성혐오주의자였나? / 360
ㆍ자연으로 돌아가라? / 364
ㆍ종교 개혁에 관한 평가는 비판적이었다 / 365
ㆍ19세기의 대표적 작가로서 계몽사상가 중 한 사람이었다 / 365
ㆍ루소의 저서 / 366
ㆍ루소의 어록 / 367
Author
루소
18세기 프랑스의 사상가이자 소설가. 1712년 '유럽의 가장 작은 공화국’ 제네바의 시계 수리공 집안에서 태어난 루소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 손에서 자랐다. 10살이 되던 해 아버지가 칼부림 사건으로 도피한 후부터는 외숙부 밑에서 자랐다. 그는 외사촌과 함께 한 목사의 집에서 라틴어를 비롯한 여러 교육을 받았으나 엄격하고 인위적인 교육 방법은 그에게 맞지 않았다. 그 후 법원 서기의 필사 수습 사환, 동판 조각사의 견습공 등으로 일했으나 독서열과 상상력을 펼칠 수 없는 나날은 그에게 크나큰 짐이 되었다.

열여섯에 제네바를 떠난 루소는 바랑 부인을 만나게 된다. 바랑 남작부인과 루소의 관계는 마치 모자간의 사랑과 이성간의 사랑이 기묘하게 뒤섞인 것 같았다고 한다. 바랑 부인은 그에게 지적 성장의 기회를 제공했고, 루소는 이때 철학과 문학에 대한 소양을 풍부히 갖추게 된다. 불우한 소년기를 보낸 그는 스물여덟에 가정교사로 일하는 등 사회 활동을 하다가 파리에 정착하게 되었다.

1742년 파리로 나온 그는 디드로가 공동 편집을 진행하던 『백과전서』의 여러 항목을 집필하면서 본격적인 저술가로 활동하게 된다. 선되었고 이것이 『학문과 예술론』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어 사상가로서의 출발점에 서게 되었다. 그 후 저작에만 몰두하여 『불평등기원론』, 『정치 경제론』, 『신 엘로이즈』등 많은 저술활동을 하였다. 마흔이 되던 1762년 4월에 자유 실현에 관한『사회계약론』을, 5월에 인간 교육에 관한 사상을 담은 『에밀』을 출간했으나, 파리 의회는 『에밀』을 압수하는 한편 루소를 체포하라고 명령한다. 그는 스위스로 도피했지만 제네바 당국도 『사회계약론』과 『에밀』에 대해 유죄 판결을 내리고 책을 불태우는 등 적대 분위기는 고조되었다.

1768년에는 1745년 이래 지내온 테레즈 르바쇠르와 정식으로 이혼한 루소는 피해망상에 괴로워하기도 하였다. 1770년 파리로 돌아와 자기 변호를 위한 작품 『루소, 장 자크를 재판하다』를 쓰기도 했다. 주변의 박해로 여러 곳을 떠돌던 그는 지라르댕 후작의 배려로 그의 영지에서 집필 활동을 하다가 집필 중이던 『고독한 산책가의 몽상』을 완성하지 못하고 1788년 생을 마쳤다.

그는 이성 중심의 사상을 허물고 낭만주의의 탄생에 공헌했으며, 자유가 보편적인 동경의 대상이라고 역설하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미했다. 그의 개혁 사상은 당시 예술에 혁신을 가져왔고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혁명에서 그의 자유민권사상은 혁명지도자들의 사상적 지주가 되었으며 19세기 프랑스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자 역할을 하였다. 주요 저작으로 『학예론』, 『인간 불평등 기원론』, 『신 엘로이즈』, 『음악 사전』 ,『고백록』,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 등이 있다.
18세기 프랑스의 사상가이자 소설가. 1712년 '유럽의 가장 작은 공화국’ 제네바의 시계 수리공 집안에서 태어난 루소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 손에서 자랐다. 10살이 되던 해 아버지가 칼부림 사건으로 도피한 후부터는 외숙부 밑에서 자랐다. 그는 외사촌과 함께 한 목사의 집에서 라틴어를 비롯한 여러 교육을 받았으나 엄격하고 인위적인 교육 방법은 그에게 맞지 않았다. 그 후 법원 서기의 필사 수습 사환, 동판 조각사의 견습공 등으로 일했으나 독서열과 상상력을 펼칠 수 없는 나날은 그에게 크나큰 짐이 되었다.

열여섯에 제네바를 떠난 루소는 바랑 부인을 만나게 된다. 바랑 남작부인과 루소의 관계는 마치 모자간의 사랑과 이성간의 사랑이 기묘하게 뒤섞인 것 같았다고 한다. 바랑 부인은 그에게 지적 성장의 기회를 제공했고, 루소는 이때 철학과 문학에 대한 소양을 풍부히 갖추게 된다. 불우한 소년기를 보낸 그는 스물여덟에 가정교사로 일하는 등 사회 활동을 하다가 파리에 정착하게 되었다.

1742년 파리로 나온 그는 디드로가 공동 편집을 진행하던 『백과전서』의 여러 항목을 집필하면서 본격적인 저술가로 활동하게 된다. 선되었고 이것이 『학문과 예술론』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어 사상가로서의 출발점에 서게 되었다. 그 후 저작에만 몰두하여 『불평등기원론』, 『정치 경제론』, 『신 엘로이즈』등 많은 저술활동을 하였다. 마흔이 되던 1762년 4월에 자유 실현에 관한『사회계약론』을, 5월에 인간 교육에 관한 사상을 담은 『에밀』을 출간했으나, 파리 의회는 『에밀』을 압수하는 한편 루소를 체포하라고 명령한다. 그는 스위스로 도피했지만 제네바 당국도 『사회계약론』과 『에밀』에 대해 유죄 판결을 내리고 책을 불태우는 등 적대 분위기는 고조되었다.

1768년에는 1745년 이래 지내온 테레즈 르바쇠르와 정식으로 이혼한 루소는 피해망상에 괴로워하기도 하였다. 1770년 파리로 돌아와 자기 변호를 위한 작품 『루소, 장 자크를 재판하다』를 쓰기도 했다. 주변의 박해로 여러 곳을 떠돌던 그는 지라르댕 후작의 배려로 그의 영지에서 집필 활동을 하다가 집필 중이던 『고독한 산책가의 몽상』을 완성하지 못하고 1788년 생을 마쳤다.

그는 이성 중심의 사상을 허물고 낭만주의의 탄생에 공헌했으며, 자유가 보편적인 동경의 대상이라고 역설하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미했다. 그의 개혁 사상은 당시 예술에 혁신을 가져왔고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혁명에서 그의 자유민권사상은 혁명지도자들의 사상적 지주가 되었으며 19세기 프랑스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자 역할을 하였다. 주요 저작으로 『학예론』, 『인간 불평등 기원론』, 『신 엘로이즈』, 『음악 사전』 ,『고백록』,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