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를 기반으로 지역 브랜드의 활성화를 기대하며 경제적 활성화 측면에서는 문화 클러스터의 성공적인 개발과 운영은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관광객 유치, 지역 상품 및 서비스의 수요 증가,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지역 경제의 다양화와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사회문화 측면에서 문화 클러스터는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역민의 커뮤니티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문화적 활동과 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포용과 문화적 다양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도시재생 및 지역 브랜드 강화로 문화 클러스터는 방치되었거나 활용도가 낮은 도시 지역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지역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고, 지역을 대표하는 특색 있는 명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는 지속가능성을 촉진하여 문화 클러스터 개발 과정에서 스마트 모빌리티와 같은 현대적인 인프라 구축을 포함함으로써, 지역 내에서의 이동성 향상과 환경친화적인 도시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 문화 클러스터 개발 모델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수립과 장기적인 개발 계획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지역 특색에 맞는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문화 클러스터의 개발은 지방자치단체에게 경제적, 사회문화적 발전을 가져오는 동시에 지역의 장기적인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Contents
01. 들어가며 / 3
02. 지역브랜드 필요한가? / 17
왜 지역 클러스터인가? / 20
03. 문화 클러스터 / 25
문화 클러스터 환경변화 / 26
ㆍ가치관의 다양화와 변화의 시대 / 26
ㆍ고도 정보시대 / 27
ㆍ글로벌화의 진전 / 28
ㆍ지방자치시대 / 29
문화 클러스터의 개념 및 정의 / 30
ㆍ지역 문화 클러스터 / 31
ㆍ지역자원의 분류와 평가항목 / 40
문화 클러스터 유형별 연구 / 43
- 문화와 클러스터 유형 / 43
ㆍ문화단지 지역 지정현황 1차 / 52
ㆍ문화단지 지역 지정현황 2차 / 52
ㆍ지역산업 상관관계 및 성장요인 / 55
ㆍ해외 클러스터의 성공 요인 분석 / 55
- 문화 클러스터 자원의 유형 / 57
ㆍ지역 자원 중심형 / 57
ㆍ지역 자원의 유형도 / 59
ㆍ역사적 자원 / 59
ㆍ환경적 자원 / 60
ㆍ에코벨트 조성 / 63
ㆍ지역 문화적 자원 / 64
ㆍ지역 브랜드 창출형 / 65
ㆍ지역 메가 브랜드 / 66
ㆍ지역 제품 브랜드 / 69
ㆍ축제 / 71
ㆍ이벤트 / 75
ㆍ캠페인 / 76
문화 클러스터의 구성요소 / 78
ㆍ이미지메이킹 / 79
ㆍ문화 클러스터 구성요소 / 81
ㆍ강한 지역브랜드 이미지 구축의 예 / 84
ㆍ매력창출 / 89
ㆍ매력있는 브랜드를 지역 문화자원으로 만들기 위한 요소 / 89
ㆍ문화구현 / 91
ㆍ연관성의 문화적 클러스터 / 93
04. 문화 클러스터 개발 체계 구축 / 97
지역 브랜드와 문화 클러스터의 기본구조 / 99
ㆍ지역 문화 클러스터 개념도 / 101
ㆍ인적 요인 / 101
ㆍ지역적 요인 / 102
ㆍ시각적 요인 / 103
ㆍ문화적 요인 / 105
ㆍ체험적 요인 / 106
ㆍ지역금융 기능적 요인 / 107
지역 브랜드와 문화 클러스터 입지여건 / 108
ㆍ문화 클러스터 입지여건 / 111
ㆍ지역 브랜드 개발을 위한 고찰 / 112
지역 브랜드와 문화 클러스터 성립형태 / 116
- 지역 아이덴티티 도입 / 116
- 지역 가치 최대로 높이기 / 121
- 파워 지역 문화 브랜드 구축 / 122
ㆍ일관성의 법칙 / 23
ㆍ혁신의 법칙 / 124
- 클러스터 브랜딩 / 125
- 지역별 차별화된 문화 클러스터 / 126
- 체험 커뮤니케이션 중시 / 127
- 독자적 문화 클러스터의 필요성 / 128
지역 브랜드와 문화 클러스터의 발전 / 129
- 지역 문화 클러스터의 필요성 / 129
- 문화의 상품자본화 / 133
ㆍ지역 문화 클러스터 구조도 / 135
- 문화 클러스터의 브랜드화 / 135
- 국내 문화 클러스터 발전조건 / 137
ㆍ문화관광권 및 특화주제 / 138
05. 지역 문화 클러스터개발 성공사례 / 141
캠페인 개발모델 사례 / 143
- 시즈오카현 하마마쓰 : 외국인을 위한 ‘지역공생’ 마을조성 / 143
- 시골집 생활 『낙원 신슈』 : 신슈 / 145
지역자원 개발 모델 사례 / 147
- 밝고 활기 찬 전통 가게 : 도쿠시마현 사다미쓰정 / 147
- 매력 있는 지역으로 재생 : 구로카베 / 149
- 아트 플랜21 : 미카와 사쿠도 / 153
친환경적 개발모델 / 156
- 독창적이며 자발적인 지역 녹화 : 히바루 오카야마수 / 156
- 시즈오카현 : 녹차 클러스터 / 157
체험적 커뮤니티 개발모델 / 158
- 자연체험촌 ‘곤충의집’ : 오호츠크 / 158
- 아이를 위한 문화 예술공간 : 미야자끼 / 161
- 하기소 하나레 : 도쿄 / 164
06. 지역 문화 클러스터 개발 전략 / 167
캠페인 개발모델 / 172
지역자원 개발모델 / 177
친환경적 개발 모델 / 181
체험적 커뮤니티 개발 모델 / 184
07. 맺음말 / 189
참고문헌 / 194
Abstract / 197
〈표 목차〉
〈표 1〉 지역개발디자인 및 지역아이덴티티와 지역이미지 형성 / 40
〈표 2〉 문화 클러스트 유형 / 46
〈표 3〉 문화단지 지역의 지정현황 1차 지정 / 52
〈표 4〉 문화단지 지역의 지정현황 2차 지정 / 52
〈표 5〉 문화단지 해외 사례 / 54
〈표 6〉 문화 클러스터 입지여건 분류 / 112
〈표 7〉 국내 문화 클러스터 발전조건 / 138
〈그림 목차〉
〈그림 1〉 지역 문화 클러스터/ 31
〈그림 2〉 문화 클러스터 유형별 사례 / 48
〈그림 3〉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클러스터 활용방안 / 49
〈그림 4〉 CT클러스터의 발전전략과 정책방향 / 50
〈그림 5〉 지역산업 상관관계 / 55
〈그림 6〉 지역 자원 유형도 / 59
〈그림 7〉 서울시 브랜드 변화 / 66
〈그림 8〉 지역 메가 브랜드 / 69
〈그림 9〉 상주곶감 이미지 / 70
〈그림 10〉 해외 축제 사례 / 74
〈그림 11〉 브랜드 요소 / 81
〈그림 12〉 문화 클러스터 구성요소 / 84
〈그림 13〉 브랜드 이미지 유형 / 86
〈그림 14〉 브랜드의 요소 / 87
〈그림 15〉 지역 문화 클러스터 개념도 / 101
〈그림 16〉 앤홀트의 육각형(Hexagon) 모델 / 119
〈그림 17〉 앤홀트의 육각형(Hexagon) 모형 / 119
〈그림 18〉 파워 지역 구축 / 125
〈그림 19〉 지역 문화 클러스터 구조도/ 135
〈그림 20〉 일본 사례 / 146
〈그림 21〉 일본 사례 / 148
〈그림 22〉 일본 사례 / 151
〈그림 23〉 일본 사례 / 154
〈그림 24〉 일본 사례 / 158
〈그림 25〉 일본 사례 / 162
〈그림 26〉 하기소 소개 / 164
〈그림 27〉 하기소 전경 / 165
〈그림 28〉 문화 클러스터 개발 전략 / 172
〈그림 29〉 캠페인 개발 전략 / 176
〈그림 30〉 지역자원 개발모델 / 180
〈그림 31〉 친환경형 개발 전략 / 183
〈그림 32〉 체험형 커뮤니티 개발 전략 /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