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르벌, 달천, 끝말, 다순구미…
딱딱한 한자어로 굳어지기 전,
우리 땅을 가리켰던 아름다운 이름들을 발견하다
고유어 지명을 찾아 나서는 흥미로운 인문학 탐방기
1986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해 온 시인이자, 30여 년 동안 우리나라 곳곳을 돌아다니며 지명을 답사해 온 인문학자 이경교의 인문학 견문록, 《지명발견록》이 문학수첩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백령도와 대청도부터 시작해 담양과 밀양, 태백과 제주 등 저자가 전국을 돌아다니며 조사한 우리 땅 이름의 유래와 속뜻을 인문학과 역사학의 관점으로 풀어내고 있다. 지명의 뒤꼍을 추적해 나가는 꼼꼼한 과정과 그 속에서 경탄의 순간을 포착해 낸 풍부한 사진 자료를 통해, 우리 땅의 본모습을 보다 가깝게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땅 이름에 관한 저자의 관심은 현재 사용하는 지명의 정확한 의미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드물다는 현실에 대한 발버둥이다. 사실 문산, 창녕, 익산 등 흔히 쓰는 한자어 지명은 일상에서 쉽게 쓰거나 읽으면서도 그 뜻이 무엇인지 와닿지 않는다. 더군다나 본래 고유어였던 땅 이름이 한자어로 바뀌면서 왜곡이 빈번하게 일어났고, 오늘날 사용되는 지명은 지역의 의미를 담고 있지 못할 때가 많다. 저자는 아름다운 자연과 찬란했던 역사의 현장으로 뚜벅뚜벅 걸어 들어가 우리 땅의 의미를 직접 만져본다. 그리고 땅이 원래 지녔던 의미가 숨겨지기까지의 과정을 찬찬히 타진하면서, 오롯이 그 땅을 밟고 있어야만 감각되는 지명의 본명을 나직하게 호명한다. 이 책은 햇살 좋은 날, 지명과 장소 그리고 사람의 뒤란을 발견하러 나가는 흥미로운 여정이다.
충절의 고장_ 홍성, 예산
예산의 백제 때 이름 오산현은 오산, 즉 ‘오서산’에서 연유한다 … 363
삼가, 불함_ 백두산
최남선은 백두산의 옛 이름 불함산을 ‘밝은 산’이란 뜻으로 풀었다 … 369
울음터를 찾아서_ 간도
박지원은 요동벌판의 인상을 울음터라고 불렀다 … 374
발해 땅을 밟다_ 연해주
수이푼강은 발해의 솔빈강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 379
참고문헌 … 385
Author
이경교
충남 서산에서 나고, 동국대 및 같은 대학원 국문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6년 『월간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했으며, 현재 명지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있다. 중국 CCIT대학 교환교수를 역임하였으며, KBS1 라디오 [책마을 산책], PBC TV [열려라 영상시대] 등을 진행하였다.
시집으로 『이응평전』 『꽃이 피는 이유』 『달의 뼈』 『수상하다, 모퉁이』 『모래의 시』 『목련을 읽는 순서』, 저서로 『한국현대시 정신사』 『북한문학강의』 『즐거운 식사』 『푸르른 정원』, 수상록으로 『향기로운 결림』 『화가와 시인』『낯선 느낌들』 『지상의 곁길』 『예술, 철학, 문학』, 역서로 『은주발에 담은 눈』 등이 있다.
충남 서산에서 나고, 동국대 및 같은 대학원 국문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6년 『월간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했으며, 현재 명지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있다. 중국 CCIT대학 교환교수를 역임하였으며, KBS1 라디오 [책마을 산책], PBC TV [열려라 영상시대] 등을 진행하였다.
시집으로 『이응평전』 『꽃이 피는 이유』 『달의 뼈』 『수상하다, 모퉁이』 『모래의 시』 『목련을 읽는 순서』, 저서로 『한국현대시 정신사』 『북한문학강의』 『즐거운 식사』 『푸르른 정원』, 수상록으로 『향기로운 결림』 『화가와 시인』『낯선 느낌들』 『지상의 곁길』 『예술, 철학, 문학』, 역서로 『은주발에 담은 눈』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