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단의 대표 평론가가 따뜻하고 섬세한 시선으로 읽어낸 김종철 시의 매혹
인간 존재를 향한 가없는 슬픔과 사랑을 뜨겁게 껴안은 서정시의 원형을 만나다
199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문학평론가로 문단에 나온 이래 활발한 평론 활동을 펼치며 대한민국 예술원상, 대산문학상, 김환태평론문학상, 인산시조평론상, 팔봉비평문학상, 편운문학상, 김달진문학상, 중산문학상 등을 수상한 유성호 평론가의 평론집 『김종철 시의 매혹』이 출간되었다. 국내에서 시집 해설을 가장 많이 한다고 알려진 저자는 평론가다운 날카로운 시선과 작가다운 섬세한 시선으로 김종철 시인이 남긴 작품과 시 세계를 톺아본다.
‘못’을 시의 테마로 삼아 평생 연작시를 꾸준히 발표해 온 고(故) 김종철 시인은 ‘윤동주 문학상(9회)’, ‘정지용문학상(5회)’, ‘박두진문학상(8회)’ 등 권위 있는 문학상을 수상하며 한국 서정시의 내질을 깊이 있게 천착한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저자는 김종철 시인의 시는 따뜻한 감성과 지적 치열성이라는 두 가지 축으로 결속되어 있다고 분석하고, 시인의 브랜드가 되어 버린 ‘못’의 시편들은 날카로운 금속성을 훌쩍 넘어 영성의 세계로 진입해 왔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한 편의 시 안에서 현실로부터 낭만적 초월을 감행할 때에도 무책임한 도피가 아니라 현실을 해석하고 기대지평을 암시할 때가 자주 있는 점을 생각하면 그가 남긴 시에는 서정시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상상적 고투의 시간들이 농밀하게 녹아 있다고 평가한다.
Contents
김종철 시인의 작품 세계 발간에 즈음하여_장경렬 … 5
머리말: 풍운의 삶과 운명의 시 … 8
‘시인 김종철’의 성장기 … 15
제1시집 『서울의 유서』
‘재봉’의 성스러움과 ‘둔주곡’의 비극성 … 21
제2시집 『오이도』, 제3시집 『오늘이 그날이다』
삶의 근원적 우수憂愁와 실존적 상상력 … 44
제4시집 『못에 관한 명상』, 제5시집 『등신불 시편』
‘못의 시인’ 김종철의 탄생 … 64
공동 시집 『어머니, 우리 어머니』, 제6시집 『못의 귀향』
‘어머니’라는 존재론적 기원 … 85
제7시집 『못의 사회학』
‘못’의 확장과 심화 과정 … 107
제8시집 『절두산 부활의 집』
유고시집에 담긴 ‘시인 김종철’의 커다란 뒤울림 … 120
김종철 시인 다시 읽기
따뜻한 영성을 세상에 노래한 서정시인 … 129
김종철 시인 연보 … 136
Author
유성호
1964년 경기 여주에서 태어났다. 연세대 국문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으로 등단했다. 서남대, 한국교원대를 거쳐 현재 한양대 국문과 교수이자 인문대 학장이다. 저서로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 『상징의 숲을 가로질러』, 『침묵의 파문』, 『한국 시의 과잉과 결핍』, 『현대시 교육론』, 『문학 이야기』, 『근대시의 모더니티와 종교적 상상력』, 『움직이는 기억의 풍경들』, 『정격과 역진의 정형 미학』, 『다형 김현승 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김달진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1964년 경기 여주에서 태어났다. 연세대 국문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으로 등단했다. 서남대, 한국교원대를 거쳐 현재 한양대 국문과 교수이자 인문대 학장이다. 저서로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 『상징의 숲을 가로질러』, 『침묵의 파문』, 『한국 시의 과잉과 결핍』, 『현대시 교육론』, 『문학 이야기』, 『근대시의 모더니티와 종교적 상상력』, 『움직이는 기억의 풍경들』, 『정격과 역진의 정형 미학』, 『다형 김현승 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김달진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