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시의 초대

하루 한 편 고전 시가
$19.44
SKU
979119358496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Wed 05/1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Wed 05/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2/21
Pages/Weight/Size 115*180*20mm
ISBN 9791193584965
Categories 소설/시/희곡 > 시/희곡
Description
옛 시와 노래에서 피어오른 사랑과 낭만의 언어
고전 시가, 현대적 해석으로 다시 태어나다

하루 한 편으로 가볍게 즐기는 문학의 새로운 초대장

아름답고 숭고한 언어로 이루어진 고전 시가는 시대를 초월한 감정을 담은 예술적 유산이다. 하지만 현대 독자에게는 고전 시가가 어렵고 낯설게 느껴지기 쉽다. 〈오래된 시의 초대〉는 그 장벽을 허물고자 작품을 현대어로 풀이하고, 어려운 용어와 표현을 해설해 맥락과 의의를 쉽게 설명했다. 현직 국어 교사인 저자가 직접 선별한 사랑과 이별의 정서를 담은 고전 시가들로 내용을 구성했고, 사계절의 풍경을 떠올리며 사랑의 시가를 분류했다. 사랑이 꽃피는 봄과 사랑의 깊이를 보여 주는 여름, 흩날리는 이별의 가을과 추위에도 더욱 성숙해지는 겨울로 구분된 시가들을 읽으면 계절의 생생함과 함께 사랑의 감정을 섬세하게 느낄 수 있다. 이 책은 고려 가요에서 조선 시대 한시와 가사에 이르기까지, 각 작품의 고유한 정서와 이야기를 품는다. 고전 시가가 단순히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오늘날의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살아 있는 문학임을 깨닫게 만든다. “사랑이 문학의 양분이 되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라는 저자의 말대로 사랑은 문학의 기둥이다. 익숙하지만 낯선 사랑의 감정을 섬세하게 그려 낸 고전 시가로 멈춰 있던 사랑의 감각을 새롭게 느껴 보기를 바란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5

1부 나뭇잎 사이로 비치는 사랑의 기운, 봄


1일 너를 기다리는 동안 「임이 오마 하거늘」 19
2일 줄이고 늘이는 밤의 묘미 「동짓달 기나긴 밤을」 24
3일 영원한 사랑의 맹세 「정석가」 28
4일 꽃과 함께 건넨 마음 「헌화가」 34
5일 날카로운 사랑의 감각 「만전춘별사」 39
6일 천 리 길도 한달음에 「바람도 쉬어 넘는 고개」 44
7일 내 것이 아니더라도 「저 건너 흰옷 입은 사람」 48
8일 사탕보다 달콤한 사랑 「서방님 병들어 두고」 52
9일 아름다운 화답가 「북천이 맑다커늘」 56
10일 어여쁜 그대 「눈썹은 수나비 앉은 듯」 60

2부 뜨거운 태풍이 지나간 자리, 여름


11일 청산이 품은 속마음 「청산은 내 뜻이오」 67
12일 사랑의 격차 「사랑이 거짓말이」 71
13일 달님 앞에 비나이다 「정읍사」 75
14일 마음의 거리 「마음이 지척이면」 79
15일 홈빨며 감빨아 잇는 사랑 「모시를 이리저리 삼아」 83
16일 문학이 되는 사랑 「꿈으로 차사를 삼아」 87
17일 정표에 담긴 의미 「견흥」 91
18일 가파르고 험해도 「사랑을 찬찬 얽동혀」 95
19일 재치 있는 사랑의 마당 「상공을 뵈온 후에」 100
20일 사랑을 해 보니 「사랑이 어떻더니」 104

3부 어긋나고 흩어지는 마음, 가을


21일 떠나는 이에게 건네는 위로 「임 이별 하올 적에」 111
22일 이제 떠나야 할 때 「말은 가자 울고」 115
23일 대동강 엘레지 「송인」 119
24일 내 사랑 이야기를 들어 보오 「속미인곡」 123
25일 움직이는 사랑 「임이 혀오시매」 131
26일 나를 잊지 말아요 「묏버들 가려 꺾어」 135
27일 무심한 당신을 원망하며 「규원가」 139
28일 이별을 피하고 싶어서 「백초를 다 심어도」 146
29일 강물의 푸른빛은 언제 다시 돌아오나 「이별하던 날에」 151
30일 이별의 민낯 「방물가」 155

4부 굳은 땅속에 내리는 뿌리, 겨울


31일 꿈속 넋의 자취 「수심가」 163
32일 슬픔과 거리 두기 「재 위에 우뚝 선 소나무」 167
33일 아름다운 이별 「가시리」 171
34일 다시 만날 그곳에서 「제망매가」 175
35일 그리운 당신 「도망」 179
36일 나 홀로 외로이 「황조가」 183
37일 그리움을 위하여 「찬기파랑가」 187
38일 받아들이고 놓아 주며 얻는 승리 「처용가」 191
39일 슬픔의 격차 「두고 가는 이의 안과」 196
40일 하늘의 뜻 「증별」 200

참고 문헌 205
Author
안희진
‘문학의 생활화’를 실천하며, 꾸준히 읽고 쓰는 사람이 되기를 꿈꾼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행정학 및 고등교육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2010년부터 서울의 여러 고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쳐 왔다. 집필한 교과서로 《고등학교 고전(김종철 외)》이 있다.
‘문학의 생활화’를 실천하며, 꾸준히 읽고 쓰는 사람이 되기를 꿈꾼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행정학 및 고등교육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2010년부터 서울의 여러 고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쳐 왔다. 집필한 교과서로 《고등학교 고전(김종철 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