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과 그의 파트너 찰리 멍거가 인정한 주식 투자의 귀재 리루!
그의 30년의 투자 원칙과 전략을 집대성한 단 한 권의 가치투자 바이블
만약 나에게 금융 자산이 있다면, 그것을 지키거나 늘리기 위해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이와 관련하여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와튼스쿨의 제레미 시겔 교수와 미국 상무부가 지난 200년(18011~2011) 동안 미국 주요 자산의 수익률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가 흥미롭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화폐 단위는 우리나라의 ‘원’으로 치환했다. 먼저 현금이다. 만약 200년 전 누군가가 1,000원짜리 지폐 한 장을 유리병 안에 넣고 밀봉하여 보관했다면 오늘날 그 가치는 어떨까? 50원에 불과하다. 현금의 구매력이 95% 하락한 것이다. 200년 전에는 1,000원으로 근사한 요리를 사먹을 수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과자 한 봉지도 살 수 없다. 두 번째는 금이다. 금은 꾸준히 가치가 상승하는 대표적인 안정 자산으로 여겨지지만 그 결과는 조금 실망스럽다. 200년 전의 시세에 따라 구입한 1,000원짜리 금 한 조각을 200년 뒤에 되팔면 3,120원을 받을 수 있다. 이제 채권을 살펴보자. 국채는 수익률이 은행 이자와 거의 비슷해서 물가 상승률을 조금 넘어서는 수준이다. 다만 단기 채권은 275배(275,000원) 상승했고, 장기 채권은 1,642배(1,642,000원) 상승했다.
마지막으로 주식. 1811년에 1,000원짜리 주식을 사서 대물림하며 200년 동안 유지했다면 2011년에 그 가치는 얼마일까? 100만 배 상승하여 무려 10억 원이다. 심지어 인플레이션을 적용하여 조정한 뒤의 평균 가치가 이렇다. 지난 200년 동안의 실제 연평균 수익률은 6.7%인데, 여기에 복리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수치가 나온다. 1,000원을 투자한 1년 뒤의 주식 가치는 1,067원이고, 2년째에는 1,067원에 6.7%의 수익률이 더해져서 가치는 1,139원이 된다. 3년째에는 1,215원이다. 이런 식으로 주식 가격을 계산하면 200년째에는 10억 원의 가치에 이르는 것이다.
이 조사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두 가지다. 현금을 그대로 갖고 있는 것은 결국 금융 자산 가치를 까먹는 일이어서 어디든 투자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점과 투자 대비 수익률이 가장 좋은 재테크 수단이 주식이라는 사실이다. 그런데 현실은 어떤가? 주식 시장에서 누군가는 돈을 벌지만 누군가는 돈을 잃는다. 매년 수익률이 6.7%씩 성장하는 견실한 투자처에서 수익을 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책의 저자 리루는 대다수의 투자자들이 주식 시장의 시스템을 잘못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워런 버핏의 파트너 찰리 멍거는 생전의 인터뷰에서, “인격과 성실성을 갖춘 펀드 매니저를 선택하는 기준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리루.”라고 답했다. 자, 이제 그 리루가 주식 투자자라면 누구나 숙지해야 할 주식 투자의 시스템과 노하우를 공개한다.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가치투자는 복리식 경제 성장을 보장하는 수단이다
추천사 1 멍거가 리루를 평하다 _ 찰리 멍거
추천사 2 친구이자 스승인 리루에게 바치는 찬사 _ 창진
추천사 3 내 인생의 문을 열어준 스승님 _ 리우리우
서문 진정하게 아는 것이야말로 의미가 있다
PART 1 문명, 현대화와 중국
제1강 중국의 오랜 문제와 새로운 역사학
제2강 문명은 어떻게 탄생하고 발전해왔을까?
제3강 인류 문명의 첫 번째 도약: 아프리카에서 지구 곳곳으로
제4강 인류 문명의 두 번째 도약: 농업 문명의 탄생
제5강 농업 문명의 한계를 세 차례에 걸쳐 돌파하다
제6강 농업 문명 시대의 사상 혁명과 제도 혁신
제7강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과 범대서양 경제의 형성
제8강 현대화의 분수령, 1776년
제9강 중국이 놓친 현대화의 기회
제10강 현대화의 전파와 현대화로 가는 길의 투쟁
제11강 현대화의 본질과 철칙
제12강 중국의 미래 예측: 경제 측면의 변화
제13강 중국의 미래 예측: 문화 측면의 변화
제14강 중국의 미래 예측: 사회와 정치 측면의 변화
제15강 오늘날의 중·미 관계와 기술 문명 시대의 동서양 관계
제16강 인류 미래의 공동 운명
PART 2 가치투자와 중국
중국에서의 가치투자 전망
가치투자의 핵심, 지행합일
가치투자의 상식과 방법
투자는 자신을 발견하는 과정이다
투자, 투기 그리고 증시
외국인 투자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중국 경제의 미래
PART 3 읽고, 생각하고, 깨닫다
책 속에 황금의 집이 있다
타이완어판 『가난한 찰리의 보통 상식』 추천사
지혜를 추구하는 것은 인류의 도덕적 책임
세계화의 숙명
TED 17년을 증언하다
인간 본성과 금융위기
우리 시대를 사색하며
50세의 술회
후기
부록: 추천 도서
감수의 글
Author
리루,이철,주봉의,홍진채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의 신임을 받은 투자자로, 히말라야 캐피털 매니지먼트(Himalaya Capital Management)의 창업자 이자 회장이다. 1966년 중국 허베이성 탕산시에서 태어났다. 난징 대학교 물리학과에 재학 중이던 1989년, 학생 대표로 천안문 시위를 주도한 뒤 미국으로 망명했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경영대학원에서 MBA, 법과대학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3개의 학위를 취득한 최초의 인물로 기록되었다. 1997년 히말라야 캐피털을 설립한 이후 회사의 주요 자금을 관리해왔다.
리루는 2015년 베이징 대학교에서 ‘중국의 가치투자 전망’이라는 주제로 권위 있는 연설을 했으며, 2020년 4월에는 존 애덤스(John Adams), 존 핸콕(John Hancock) 등 미국의 건국자들이 창설한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에서 공익과 비즈니스 경력을 인정받아 ‘비즈니스, 기업 및 자선 리더십’ 부문의 회원이 되었다. 2021년 5월, 아시안 아메리칸 파운데이션(The Asian American Foundation), TAAF을 공동 창립해 현재 이사회 의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중국·한국·일본 등 아시아에서 이주한 2,300만 명의 미국 내 아시아계 사람들이 차별·비방·폭력으로부터 벗어나 소속감을 느끼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의 신임을 받은 투자자로, 히말라야 캐피털 매니지먼트(Himalaya Capital Management)의 창업자 이자 회장이다. 1966년 중국 허베이성 탕산시에서 태어났다. 난징 대학교 물리학과에 재학 중이던 1989년, 학생 대표로 천안문 시위를 주도한 뒤 미국으로 망명했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경영대학원에서 MBA, 법과대학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3개의 학위를 취득한 최초의 인물로 기록되었다. 1997년 히말라야 캐피털을 설립한 이후 회사의 주요 자금을 관리해왔다.
리루는 2015년 베이징 대학교에서 ‘중국의 가치투자 전망’이라는 주제로 권위 있는 연설을 했으며, 2020년 4월에는 존 애덤스(John Adams), 존 핸콕(John Hancock) 등 미국의 건국자들이 창설한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에서 공익과 비즈니스 경력을 인정받아 ‘비즈니스, 기업 및 자선 리더십’ 부문의 회원이 되었다. 2021년 5월, 아시안 아메리칸 파운데이션(The Asian American Foundation), TAAF을 공동 창립해 현재 이사회 의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중국·한국·일본 등 아시아에서 이주한 2,300만 명의 미국 내 아시아계 사람들이 차별·비방·폭력으로부터 벗어나 소속감을 느끼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도록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