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ing soon

티베트 불교 반야심경 강해:반야심경을 통해 배우는 대승불교 현관 차 제의 정수

$30.24
SKU
9791193385166

 

COMING SOON [판매 예정] 상품입니다.

[판매 예정] 상품은 출간일(Publication Date) 이후 주문이 가능합니다.

 

▷출간일 이후에도 아직 [판매 예정]으로 보이는 경우 info@kbookstore.com 으로 문의주세요.

주문 가능 여부를 확인 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COMING SOON [판매 예정] 상품입니다.

[판매 예정] 상품은 출간일(Publication Date) 이후 주문이 가능합니다.

* 출간일 이후에도 아직 [판매 예정]으로 보이는 경우 info@kbookstore.com 으로 문의주세요.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25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91193385166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반야심경』은 대승불교권의 불교도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달라이라마 법왕의 법문에서는 세계 각지에서 모인 불자들이 각자 그들의 언어로 『반야심경』을 염송 공양올리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반야심경』은 경전이지만 짧은 언어로 공성의 정수를 함축하고 있는 『반야경(般若經)』으로 매일 기도문처럼 염송하기도 한다. 그만큼 『반야심경』은 우리에게 익숙한 경전이지만 그뜻이 함축적이고 심오하기에 『반야심경』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이 책은 티베트 암도 지역 겔룩파 사원인 톨래(툴리) 사원의 수장 아쿠 아왕 갸초린포체의 『반야심경』 해설이다. 『법해보장(法海寶藏)』이라는 이름의 이 법본(法本)은 대승불교 현밀(顯密)의 체계를 광대하게 설한 구결로 그 중 『반야심경』의 주해는 제5권에 해당한다. 전체적인 구성은 한역 『반야심경』의 틀에 맞추어 티베트불교의 『반야심경』과 대승불교의 체계를 폭넓게 해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야심경』의 마지막 구절에 해당하는 반야바라밀주(般若波羅蜜呪)는 인도 대승불교 5도(五道) 10지(十地)의 체계를 압축적으로 드러낸 진언이다. 인과의 의미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는 인도불교의 도차제(道次第)는 티베트불교로 계승되었다. 그것은 승의제를 꽃피우는 공성의 지혜가 모래성과 같은 허무한 공에 떨어지지 않도록 단단한 뿌리와 같은 역할을 한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반야심경』의 핵심이 되는 공성의 지혜뿐만 아니라 뿌리를 다져가며 나아가는 대승불교 깨달음의 단계를 함께 배울 수 있다. 진제와 속제가 어느 한 곳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있게 나아갈 때 세존께서 우유죽을 드시며 깨달은 최초의 진리인 중도를 잃지 않고서 반야의 길로 온전하게 나아갈 수 있다.

저자인 아왕 갸초 린포체는 능숙한 중국어와 한자 능력을 바탕으로 티베트불교와 한역(漢譯)불교 모두를 관통하는 통찰을 이 책 곳곳에서 보여준다. 원전 번역의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은 직접 여러 판본을 대조하면서 해설하였다. 전체적인 흐름의 순서는 한역에 맞추었지만, 한역에 없는 부분일 경우는 티베트본을 인용함으로써 내용에 있어서 어느 하나 빠지지 않고 원만함을 갖추었다. 게다가 한역불교의 전통에 익숙한 우리 한국인들에게는 티베트불교와 어떠한 부분에 차이가 드러나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한역 『반야심경』을 독송하는 한국의 불교도들에게는 익숙한 한역에 맞추어 인도 대승불교의 전통을 이은 티베트불교의 정수를 익힐 수 있는 귀한 가르침이 될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톨래 사원의 역사와 아왕 갸초 린포체 약전
일러두기
티베트본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현장역(玄?譯)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제1장 『반야심경』의 총설
제1절 『반야심경』이 설해진 장소와 시간
제2절 『반야심경』의 다른 판본
제3절 심(心), 경(經)에 내포된 뜻
제4절 『반야심경』의 내용 개술

제2장 『반야심경』의 정문(正文)
제1절 예비 수행(前行)

제3장 인무아(人無我)와 보살 자량도(資糧道)
제1절 인무아(人無我)
제2절 보살 자량도(資糧道)

제4장 법무아(法無我)와 보살 가행도(加行道)
제1절 법무아(法無我)
제2절 보살 가행도(加行道)
제3절 보살 가행도의 수지(修持) 법문
제4절 보살 가행도의 공덕

제5장 보살 견도(見道)
제1절 번뇌의 억누름(押伏)과 단멸(斷滅)에 대한 구별
제2절 보살 견도(見道)

제6장 보살 수도(修道)

제7장 유학도(有學道)
제1절 십팔계(十八界)
제2절 십이연기(十二緣起)
제3절 연각도(緣覺道)
제4절 공성을 깨닫는 것(證悟)의 어려움
제5절 사성제(四聖諦)
제6절 부처님의 말씀을 남김없이 섭수한 성문
제7절 삼승(三乘)의 네 가지 유학도
제8절 대소승의 차이

제8장 무학도(無學道)
제1절 멸(滅)
제2절 아라한과(阿羅漢果)
제3절 대승 무학도

제9장 삼사도(三士道)

제10장 보살(菩薩)
제1절 보리살타(菩堤薩?)
제2절 십바라밀다(十波羅蜜多)

제11장 내윤회(內輪廻)
제1절 번뇌
제2절 업
제3절 장애
제4절 4가지 전도(顚倒)

제12장 열반
제1절 네 가지 열반
제2절 삼세(三世)의 모든 부처님의 과위
제3절 원만 과위

제13장 산스끄리뜨어(梵語)
제1절 산스끄리뜨어의 공덕
제2절 『반야심경』 진언의 정확한 염송법

제14장 결찬(結讚)

제15장 『반야심경』의 관상수행법
제1절 세 가지의 수승함
제2절 『반야심경』 관상수행법

제16장 『반야심경』의 밀의(密意)
Author
톨래 켄 린포체 아왕 갸초,롭뽄 도제 텐진,텐진 닝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