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기의 미래

AI라는 유혹적 글쓰기 도구의 등장, 그 이후
$30.02
SKU
979119337832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1/15
Pages/Weight/Size 142*220*30mm
ISBN 9791193378328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거대언어모델(LLM) 시대,
인간의 읽고-쓰기는 어디로 가는가

2022년 12월, 오픈AI가 챗GPT를 공개한 이후로 생성형 AI는 본격적으로 우리 삶의 일부로 자리했다. 챗GPT뿐만 아니다. 첨단 IT 기술은 어느덧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 맞춤법 검사기 등 우리에게 익숙한 도구가 되어 편리함을 제공한다. 명실상부 인류의 진보라고 할 만한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기능들이다. 우리는 이런 도구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 면에서 더욱 이득을 취하고, 금전적·시간적 재화를 더욱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한편으로 난처한 문제가 있다. ‘기만적일 정도로 편리한’ 이 도구들을 계속 사용한다면, 인간의 고유한 언어 능력은 어디로 나아갈 것인가? 우리는 이미 여기서 파생된 다양한 문제들에 맞닥뜨렸다.

인간이 AI와 효과적으로 ‘분업’하며 공존할 수 있을까? 만약 그렇다면 그 방법은 무엇일까? AI는 인간이 쓰기를 통해 발휘하는 창의성에 위협이 될까? AI가 ‘저작자’라는 개념을 재정의할까? 그리고 다시 인간의 문제로 돌아와 - 어떤 쓰기 능력이 우리가 지킬 가치가 있는 것일까? 언어학자이자 교육자로서 일찍이 AI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한 저자 나오미 배런은 이 책에서 AI와 언어, 글쓰기의 교차점을 통찰하고 때로는 비판적으로 되돌아보며, 그로부터 파생되는 다양한 질문과 관점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또한, 기술 발전에 따른 언어와 글쓰기의 진화, 그리고 AI가 제시하는 앞으로의 복잡한 과제와 기회를 조명한다.
Contents
서문: 인간 작가가 AI 자동 언어 기계를 만나다

1부 글쓰기 수업

1장 문해력 둘러보기
2장 왜 인간은 쓰는가─그리고 고쳐 쓰는가
3장 영작문과 그것이 미친 결과

2부 만약 기계가 글을 쓸 수 있다면

4장 언어 기계를 향한 꿈
5장 자연어 처리 자동 언어 기계
6장 기계번역 부활하다

3부 컴퓨터가 글을 쓰게 되면

7장 AI 작가의 등장
8장 글 쓰는 이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AI
9장 AI의 창의성

4부 컴퓨터가 우리와 협력한다면

10장 지브스 같은 AI
11장 인간과 AI의 공생
12장 우리는 늘 AI를 환영하는가
13장 왜 인간의 저자됨이 중요한가

해제: 글쓰기는 설레는 일이다
Author
나오미 배런,배동근
‘읽기와 학습’ 분야 연구의 최고 전문가로 손꼽히는 언어학자.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모국어 습득, 컴퓨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 글쓰기와 기술, 인간의 멀티태스킹 행동 등이 주요 연구 주제이다. 개인용컴퓨터가 본격적으로 보급된 1980년대부터 스마트폰이 일상화한 2020년대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기술이 우리의 언어와 사회적 상호작용 및 학습에 끼친 영향에 대해 연구해왔으며, 특히 지난 10년간은 휴대전화 사용과 언어, 종이 대 스크린 읽기 및 대학생들의 소셜 미디어 내 상호작용 등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이탈리아 등 세계 여러 대학교에서 강의하거나 방문학자로 활동하면서 각국의 읽기와 쓰기에 관한 여러 연구들을 수행했다. 구겐하임 펠로, 풀브라이트 펠로 등에 선정된 바 있으며, 미국기호학회 회장을 지냈다. 현재 미국 아메리칸대학교의 언어학 명예교수이다.
‘읽기와 학습’ 분야 연구의 최고 전문가로 손꼽히는 언어학자.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모국어 습득, 컴퓨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 글쓰기와 기술, 인간의 멀티태스킹 행동 등이 주요 연구 주제이다. 개인용컴퓨터가 본격적으로 보급된 1980년대부터 스마트폰이 일상화한 2020년대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기술이 우리의 언어와 사회적 상호작용 및 학습에 끼친 영향에 대해 연구해왔으며, 특히 지난 10년간은 휴대전화 사용과 언어, 종이 대 스크린 읽기 및 대학생들의 소셜 미디어 내 상호작용 등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이탈리아 등 세계 여러 대학교에서 강의하거나 방문학자로 활동하면서 각국의 읽기와 쓰기에 관한 여러 연구들을 수행했다. 구겐하임 펠로, 풀브라이트 펠로 등에 선정된 바 있으며, 미국기호학회 회장을 지냈다. 현재 미국 아메리칸대학교의 언어학 명예교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