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백두대간의 모든 것!
우리 땅의 뛰어난 지리철학을 한 권에 담아낸 진정한 백두대간 교육서
오랜 시간의 연구와 분석, 현장 경험과 교육을 통해 짚어낸 백두대간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18세기 실학적 지리학의 계보와 백두대간의 개념이 완성되기까지의
치열했던 역사와 기록을 담다!
백두대간. 일제강점기에 잃어버린 그 이름을 진정 되찾은 게 맞을까. 백두대간 종주, 백두대간 수목원, 백두대간 그란폰도 등 수많은 사람의 입에서 오르내리는 백두대간을 과연 우리는 얼마나 이해하고 있을까. 산경표로 본 백두대간과 지명 연구에 대한 논문을 쓴 김우선 박사 외 5인이 공동 집필한 이 책은 아직 갈 길이 먼 백두대간 교육과 연구에 대해 깊이 있는 진단을 내린다. 이 책은 여암 신경준의 〈동국문헌비고〉와 〈산경표〉를 통하여 비로소 완성된 백두대간의 1대간 1정간 13정맥 체계에 대한 연구 과정과 기록을 치밀하게 담고 있다. 백두대간의 개념과 현대적 의미는 물론, 여섯 명의 저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던 현장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백두대간 교육 방법들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백두대간은 대동여지도, 백두산과 더불어 100대 민족문화상징 중의 하나이며, 백두산을 중심으로 하여 이 나라 땅을 하나의 살아 있는 생명체로 파악한 뛰어난 지리철학이다. 산줄기와 물줄기, 진산과 360여 개의 읍치를 아우르며 그곳에 터를 잡고 살아온 사람들의 삶을 반영하는 완벽한 체계이므로 백두대간을 제대로 아는 것은 곧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아는 길이기도 하다. 하지만 식민지 시기 이래 100년도 넘게 태백산맥·낭림산맥 같은 이름이 교과서에 실려 있다든가, 북한 쪽 백두대간에 관해서는 무지하다는 점, 생태와 환경 중심으로 편중된 연구 경향 등은 백두대간 연구의 부족한 현실을 여실히 드러내 준다.
여섯 명의 저자는 우리가 백두대간을 찾아 너무 안으로만 들어가 있는 것은 아닌지 묻는다. 산에서 길을 잃으면 무작정 밑으로 치달을 것이 아니라 산 위로 올라야 하는 것처럼, 백두대간의 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가 몰랐던 백두대간』은 그런 점에서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인문교양서이며, 통일한국의 미래 세대를 위한 창의적인 교육 지침서이다. 백두대간 교육, 지금부터 진짜 시작이다
Contents
1장 · 창의적인 백두대간 교육을 위한 제안
스마트형 백두대간 이동 교실을 갖는다는 건 불가능한 꿈일까? · 10
성공적인 백두대간 수업의 첫 번째 조건이자 근본적인 전제는? · 18
생활 속 백두대간을 찾아라 · 21
뉴스에 나온 반달가슴곰 오삼이의 백두대간 종주 · 23
백두대간 산마을의 너와집과 굴피집 · 25
호식총과 태백산 호랑이 이야기 · 29
애국가와 교가 속에 숨겨진 풍수지리와 백두대간 · 33
백두대간을 관통하는 고속도로 터널, 그리고 옛길 · 37
생태 지명 가운데 가장 많이 나오는 백두대간의 동물과 식물은? · 43
생태지도를 펼치면 백두대간의 미래가 보인다 · 46
Chat GPT의 백두대간 지식, 아직 불완전하지만 활용하기 나름 · 52
치유와 명상의 숲길을 걷다 · 57
2장 · 쉽게 풀어 쓴 산경표와 백두대간
북한에도 『산경표』가 있다 · 62
국립중앙도서관 수장고에서 만난 산경표 필사본, 『箕封』 · 66
故 이우형, 1986년 ‘백두대간학’을 예언한 산악인 · 69
산경표를 살렸다가 죽인 최남선 · 72
규장각에서 17번째로 찾아낸 『팔도로표산경(八道路表山經)』 · 75
산경표와 똑같은 체재의 족보, 『만가보(萬家譜)』 · 78
『여지편람』「산경표」는 여암 신경준의 수고진본(手稿眞本)일까? · 81
하버드 옌칭도서관에 있는 『본국산경(本國山徑)』 · 85
18세기 위대한 실학적 지리학의 계보와 백두대간 개념의 완성 · 90
고산자는 『대동여지도』 제작에 『산경표』를 참조했을까? · 93
『산경표』는 어떻게 만들었을까? · 96
『산경표』에 대한 엉터리 이야기들 · 98
산경도(山經圖)가 『산경표(山經表)』라고? · 102
대통령도 손석희도 몰랐던 백두대간 · 106
일제강점기에도 신문에 나온 백두대간 · 109
백두대간 마루금, 어둠 속에서도 빛나리 · 115
백두대간, 일제의 금지 조치에도 계속 알려졌다 · 120
3장 · 백두대간의 현대적 의미
대간정맥 고개 넘어 동서남북으로 이어지던 조선 9대로 · 128
『산경표』 백두대간을 펼치면 새로운 것이 보인다 · 131
백두대간 넘어 대형산불을 일으키는 바람 ‘양간지풍(襄杆之風)’ · 135
백두대간 풍력발전, 자연 이용? 환경 파괴? · 140
백두대간에는 전쟁과 질병, 기근이 없는 이상향이 있다 · 144
백두대간에 담긴 풍수지리의 현대적 의미 · 149
산수(山水)를 살아 있는 생명체로 본 탁월한 환경론, 백두대간 · 154
핵실험으로 오염된 북한의 장백정간 만탑산 · 160
제주 한라산도 백두대간일까? · 164
국립산악박물관 소장 초기 필사본 『산경표』 발굴 · 167
백두대간으로 풀어낸 조선 최고의 인문지리서 『택리지』 · 172
대한민국 헌법정신에 위배되는 대통령의 백두대간법 시행령 · 180
호남정맥이 가른 서편제와 동편제 · 183
경인아라뱃길에 동강 난 한남정맥 · 187
백두대간의 소리 · 190
4장 · 백두대간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지도학습을 위한 사회과 교육 · 194
미래의 유산 백두대간 교육 · 209
초등 국토(환경, 생태)교육을 위한 백두대간 · 215
국립등산학교 〈우리 산 바로 알기 백두대간탐험대〉 · 231
백두대간 교육 방법에 대하여 · 255
Author
김우선,김광선,신인수,박경이,차성욱,이문희
서울교대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지리교육을 공부했다.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강화의 산과 간척지, 역사지리, 해안지형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오면서 여러 신문과 잡지 등에 글을 써왔다. 1980년대에 4년간 교사 생활을 한 후 산악 전문지 기자로 전업하여 2005년까지 월간 「사람과 산」에서 근무했다. 현재는 세계 최고의 빙벽을 보유한 우이동 ‘오투월드’ 이사이자 글과 사진을 함께 작업하는 시인, 여행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1992년 제1회 한국산악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저서로는 산악시집 『대청에 부는 바람』과 『한국의 사계』가 있고, 『새천년 7대륙의 정상』과 『사단법인 대한산악연맹 40년사』 등을 편찬했다.
서울교대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지리교육을 공부했다.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강화의 산과 간척지, 역사지리, 해안지형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오면서 여러 신문과 잡지 등에 글을 써왔다. 1980년대에 4년간 교사 생활을 한 후 산악 전문지 기자로 전업하여 2005년까지 월간 「사람과 산」에서 근무했다. 현재는 세계 최고의 빙벽을 보유한 우이동 ‘오투월드’ 이사이자 글과 사진을 함께 작업하는 시인, 여행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1992년 제1회 한국산악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저서로는 산악시집 『대청에 부는 바람』과 『한국의 사계』가 있고, 『새천년 7대륙의 정상』과 『사단법인 대한산악연맹 40년사』 등을 편찬했다.